• 제목/요약/키워드: Probe Microphon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프로브 마이크로폰을 사용한 귓속형 보청기 성능 검사장치 개발 (ITE Hearing Aid Specification Testing Devise Development using Probe Microphones)

  • 장순석;권유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44-1047
    • /
    • 2003
  • An acoustic testing device composed of 2 probe microphones was developed for the electro-acoustic specification testing of the ITE (In-The-Ear) hearing aid (HA). The amplitude ratio and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incident pressure onto the HA microphone and the outward pressure of the HA receiver were measured by the present acoustic system. The microphones were particularly used because of small acoustic cavities where input and output pressures were present. The acoustic wall composed of clay completely blocks the propagation of the sound pressure between the small acoustic cavities. The system has an advantage of structural flexibility for the acoustic testing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of ITE-type HAs.

  • PDF

3차원 음향 인텐시티 프로브의 고주파 영역 감도 보상 연구 (A Study on the Sensitivity Compensation of Three-dimensional Acoustic Intensity Probe in the Higher Frequency Range)

  • 김석재;;김천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0-50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음향 인텐시티 프로브의 고주파 영역에서 발생하는 감도 저하 현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주파 영역에서 측정오차는 음향 인텐시티 프로브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으로 수음한 신호들의 위상차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 오차는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보다 측정대상 음향신호의 파장일 작을 경우, 즉 신호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크게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두개의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 1차원 프로브의 보정법들을 제안하여 그 유효성을 컴퓨터 수치계산으로 검토하였다. 음향 인텐시티 프로브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 사이의 위상차를 음원의 추정된 방향으로 보정하는 방법이 가장 유용하였으며, 이를 3차원 프로브에 적용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전파하는 음원에 대해 컴퓨터 수치계산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마이크로폰을 60mm 간격으로 구성한 3차원 프로브로 1dB 이하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주파수 범위가 약 1.2kHz 이였던 것을 제안한 보정방법을 적용한 후, 약 2.8kHz까지 감도가 향상됨이 확인되어 제안한 보정법의 유효성이 증명되었다.

  • PDF

선내 탑재된 소음기 성능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lencer Performance Assessment under Onboard Condition)

  • 이도경;진봉만;이철원;김노성;최수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31-736
    • /
    • 2004
  • The exhaust noise of auxiliary engine in ships is directly transmitted to bridge wing with only distance attenuation. It is not easy to find out practical treatment to be applied between exhaust pipe and bridge wing to reduce the transmission of the exhaust noise. In general, therefore, a silencer is fitted to reduce the exhaust noise and correspondingly noise of bridge wing. The silencer should be properly design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exhaust noise and the required performance such as noise reduction or insertion loss. In general, the gas inside the exhaust pipe flows with high temperature and speed and thus onboard test condition is more adverse than the standard atmospheric condition. In this study, the test method to evaluate silencer performance using a probe microphone is introduced.

  • PDF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용 마이크로폰의 위치 결정을 위한 물리적 귀 모델의 구현 (Implementation a Physical Ear Model for Determinating Location of the Microphone of Fully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 김동욱;성기웅;임형규;김민우;정의성;이장우;이명원;이정현;김명남;조진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27-33
    • /
    • 2009
  • 일반적으로,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의 이식형 마이크로폰은 측두골 부근에 이식되어진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이 외부 충격이나 생체 노이즈의 영향 받을 수 있으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식용 마이크로폰을 외이도 내에 이식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소골에 이식된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고막으로부터 외이도 방향으로 음향 반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귀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귀 모델을 제작하여 프로브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변경해가며 외이도의 음향 반향을 측정하였고 실험결과를 통하여 외이도 내에서의 마이크로폰의 이식 위치를 추정해 보았다. 분석 결과 외이도에 마이크로폰을 이식할 경우 고막에서 멀어질수록 반향 신호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는 있었으나, 반향 신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외이도에 마이크로폰을 이식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선내 탑재된 소음기 성능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lencer Performance Assessment under Onboard Condition)

  • 이도경;진봉만;이철원;김노성;최수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76-183
    • /
    • 2005
  • The exhaust noise of auxiliary engine in ships is directly transmitted to bridge wing with only distance attenuation. It is not easy to find out practical treatment to be applied between exhaust pipe and bridge wing to reduce the transmission of the exhaust noise. In general, therefore, a silencer is fitted to reduce the exhaust noise and correspondingly noise of bridge wing. The silencer should be properly design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exhaust noise and the required performance such as noise reduction or insertion loss. In general, the gas inside the exhaust pipe flows with high temperature and speed and thus onboard test condition is more adverse than the standard atmospheric condition. In this study, the test method to evaluate silencer performance using a probe microphone is introduced.

음장과 외이도 내부에서의 음성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voice between the free field and the external auditory canal)

  • 허승덕;김리석;고도흥;이정학
    • 음성과학
    • /
    • 제7권4호
    • /
    • pp.83-9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m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ear canal. It was assumed that a sound outside the external auditory canal could be different from the sound inside the external auditory canal. The acoustic signals were captured by a probe microphone placed at a distance within 1 cm from the tympanic membrane, and a reference microphone was placed over the upper pinna. Three vowels /a/, /i/, /u/ were recorded from a normal adult male speaker. The parameters such as the formant frequency ($Fl\simF5$) and the peak intensity were measured using a speech analyser, PCquirer. It was found that the entering part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functions as a narrowing point as to the speech that passes through the free field. Results show that acoustic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for speech discrimination rather than speech perception.

  • PDF

Development of a Practical Two-Microphone Impedance Tube Method for Sound Transmission Loss Measurement of Sound Isolation Materials

  • Ro, Sing-Nam;Hwang, Yoon;Lee, Dong-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 /
    • 제11권3호
    • /
    • pp.105-113
    • /
    • 2003
  • This study developed a practical two-microphone impedance tube method to measure the sound transmission loss of sound isolation materials without the use of an expensive reverberation room or an acoustic intensity probe.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ation and applicability of the two-microphone impedance tube method, sound transmission losses for several sound isolation materials with different surface density and bending stiffness were measured, and the measured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e reverberation room method and the theory.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ccuracy of sound transmission loss obtained by the impedance tube method depends upon the diameter size of the impedance tube (i.e., tested sample size). For sound isolation materials having relatively large bending stiffness such as acryl, wood, and aluminum plates, it was found that the impedance tube method proposed by this study was not valid to measure the sound transmission loss. On the other hand, for sound isolation materials having relatively small bending stiffness such as rubber, polyvinyl, and asphalt sheets, the comparisons of transmission loss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impedance tube method and the theory showed a good agreement within the range of the frequencies satisfying the normal incidence mass law. Therefore, the two-microphone impedance tube method proposed by this study can be an effective measurement method to evaluate the sound transmission loss for soft sound isolation sheets having relatively small bending stiffness.

인간 이도의 소리응답특성과 음향공간의 재현 (Characteristics of Sound Response in Ear Canal of Human and Reproduction of Acoustical Space)

  • 안태수;이두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9호
    • /
    • pp.842-849
    • /
    • 2011
  • The human ear canal amplifies the sound pressure level at specific frequency ba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 canal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curved cylindrical tub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transfer in human ear canal were measured and the acoustical space of ear canal was reproduced from the canal cavity geometry. For the measurement of sound transfer function in ear canal, a probe microphone and a reference microphone were used. The sound transfer functions were measured for 5 human subjects. To reproduce the acoustical space of the ear canal, two kinds of ear simulator were designed. The first one is a straight cylindrical tube type and the other is a real-shape ear of which geometry was taken from a micro-CT scanning of a human 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oduced apparatu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human and a commercial ear simulator, RA0045 of G.R.A.S. Inc. The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apparatus well represent the ear canal characteristics in the low frequency, but have limited coincidence in level over high frequency range.

소형 마이크로폰 배열에 적용 가능한 음원 위치 추정법 비교 (Comparison of the sound source localiz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a compact microphone array)

  • 정인지;이정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56
    • /
    • 2020
  • 음원위치추정 기술은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다양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폰 프로브의 크기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음향 인텐시티 벡터를 이용한 음원위치추정 방법은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유한차분오차가 작기 때문에 배열을 소형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향 인텐시티 벡터 및 도달시간차 방법을 통해 원거리 음장에서 음원의 위치 추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비교한다. 정사면체 형태의 3차원 마이크로폰 배열을 통해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서 오차를 비교하였다. 실제 환경에서 음원위치추정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잔향음장 내에서 잔향시간을 변화시켜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달시간차를 계산하기 위해 Generalized Cross Correlation-Phase transform(GCC-PHA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T60 = 0.4 s일 때 음향인텐시티법에 의한 위치추정 오차는 2.9°, 그리고 GCC-PHAT를 적용했을 때는 7.3° 이며, T60 = 1.0 s일 때 오차는 각각 9.9°, 13.0°이다. 이를 통해 일반 잔향장이 고려되는 실제 환경에서도 소형의 마이크로폰 배열을 통한 음향 인텐시티법은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기본 동작 모드에 따른 저주파 대역 누설 전자파 신호 특성 분석 (Low-Frequency Electromagnetic Leakage Signal Analysis According to Fundamental Operations of Smartphones)

  • 이영준;박희선;권영현;이재기;최지은;조상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9호
    • /
    • pp.1108-111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저주파 대역 누설 전자파가 미치는 악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스마트폰 모델별로 기본 동작에 따라 누설되는 30 MHz 이하의 누설 전자파 신호의 스펙트럼 특성 및 방사 패턴을 분석하였다.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스마트폰의 입출력 센서 모듈(터치스크린,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4가지 기본 동작 모드에 의해 누설되는 전자파 신호를 상용 Near-Field 마그네틱 프로브를 통해 1cm의 격자 간격으로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측정된 누설 전자파 신호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의 모델 및 동작 모드별로 누설되는 저주파 대역 전자파는 특이한 피크(Peak) 또는 하모닉(Harmonic) 피크 성분을 보이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각각의 입출력 센서 모듈이 활성화될 경우 해당 센서 모듈 및 메인보드 상의 AP(Application Processor), 메모리 주위로 상대적으로 강한 저주파 대역의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