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on Informatizat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2초

중소 제조기업의 생산정보화(MES) 도입 전략에 관한 연구 (I) - 생산정보화 수준 진단 및 평가 (A Study on the Production Informatization Strategy for Korean SME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I) - Evaluation of Production Informatization Level)

  • 이주연;조문빈;박양호;이언;노상도;조현재;조용주;최석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4-205
    • /
    • 2013
  • In recent years, the main concerns of enterprise management activities is how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to quickly respond to changes and sustain the growth in business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competitiveness and sustainability, a large variety of production informatization systems, such as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have been introduced to manufacturing companie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owing to the reckless introduction of those sys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informatization level of the manufacturing company before introducing production informatization systems. This paper presents methodology and system to evaluate the informatization level of manufacturing company.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traditional questionnaire approaches, considers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And then, we proposed models for calculation and production informatization level using 450 results of conducting a survey. Finally, a web-based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informatization level.

중소 제조기업의 생산정보화(MES) 도입 전략에 관한 연구 (II) - 룰 베이스를 이용한 맞춤형 도입 가이드라인 (A Study on the Production Informatization Strategy for Korean SME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II) - Customized Guideline for Introduction of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Rule-base)

  • 정연경;조문빈;이전일;노상도;조현재;조용주;최석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6-215
    • /
    • 2013
  • In recent years, many companies have heavily invested in introducing production informatization system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to satisfy consumer's desires in quick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However, it is not effectiv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systems and of non-existence of an optimal system for each company. Therefore, in this paper,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properties; size of the firm, type of business, production method and job production. After that, a model has been built to calculate the production informatization level, and it has been applied to 450 companies. Results of 450 surveys would be the base for figuring out strategies of introducing the production informatization to the companies which are wishing to build production informatization systems. Finally, Developed in this paper rule base system refer customized guideline to company that wants to adapt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중소기업 정보화의 실제적 목표와 접근 (Practical Goals and Approaches for the Informatiz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배상윤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47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the practical goals and approaches to drive forward informatiz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The presented goals such as productivity, duedate, production cost, and quality measurements are used effectively in the previous diagnosis and the post evaluation for the business of the informatization. As the practical approaches to improve these goals, This study considers the importance of balancing, sequencing, and scheduling. These methods ease the congestion of production sites of SMES with insufficient competitiveness and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informatization that improves productivity and cuts down the cost of production effectively.

성형제조업의 생산설비정보화 시스템 표준모델 구축 및 효과 분석 (Establishment of Standard Model for Production Facility Informatization System for Molding Business and its Effect Analysis)

  • 윤경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71-178
    • /
    • 2010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 정보화 중에서도 중단기적인 도입 성과를 낼 수 있는 생산설비정보화 구축을 위하여, 성형제조업 분야의 생산실적 수집에 대한 표준 모델을 연구 개발한다. 성형제조업 생산설비정보화 표준화를 위한 개발방법론은 기 연구 개발된 생산설비정보화 개발 방법론(PSDM)을 적용하며, 표준화 모델은 생산관리 프로세스 중 메인 프로세스인 원자재수급 관리와 생산량 집계 2개의 프로세스를 표준화 시키고 표준 모듈을 개발한다. 본 연구로 생산설비정보화를 구축하고자 하는 성형제조업 중소기업 및 관련 전문 IT업체 들이 표준화된 모듈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 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 대한 구축 용이성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를 적용함으로써 생산공정의 불합리한 요소제거, 생산제품 품질 향상, 생산비용절감이 가능하다.

건설CALS의 정보화수준 조사 분석 (Analysis of Informatization Level for Construction CALS)

  • 정인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85-290
    • /
    • 2008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산업의 정보화 수준을 향상시키고 건설 생산체계를 효율화시키기 위해서 건설 CALS(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CALS사업은 1998년부터 시작되었지만 건설CALS의 정보화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측정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건설CALS의 정보화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는 설문항 및 표본 구성, 설문조사, 설문조사 결과 분석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빠른 시스템 장애복구, 시스템의 웹환경 구축, 높은 표준분류체계 활용, 체계적인 정보전략 계획 수립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결과는 건설CALS의 정보화수준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농업법인과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zation Level for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SMEs)

  • 박진;김배봉;이재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5호
    • /
    • pp.892-902
    • /
    • 2015
  • 최근 농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식품 ICT융복합이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농업법인의 정보화 수준을 진단하고 발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농업법인 3,019개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정보화수준 점수를 산출하였고, 농업도 점차 기업화되고 있는 농업법인이 늘어나고 있어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조사 결과와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농업법인의 점수 산출을 위해 정보화수준 평가체계를 수립하였고, 평가 영역, 평가 지표, 평가 항목별 가중치 산출을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평가 영역별로 보면 정보화 추진 환경 영역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형태별 분석 결과에서는 농업 회사법인의 정보화수준이 영농조합법인보다 높았으며, 경영유형별로는 가공 및 유통의 정보화수준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업법인의 정보화수준은 2013년 기준 중소기업(50.18점) 정보화수준 대비 80.0%, 대기업(67.64점) 대비 59.4%로 나타났다. 특히, 투자타당성 분석, 정보화 투자, 정보화 교육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개선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뉴미디어-정보화 정책과 개발주의 패러다임의 문제 (New Media-Informatization Policy and Problems of Developmentalism in Korea)

  • 김평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6권
    • /
    • pp.231-253
    • /
    • 2006
  • IT 기술의 성장에 기초한 우리 사회의 각종 뉴미디어의 개발과 도입의 속도, 보급과 서비스의 확산정도 등은 국제적 관심을 주도할 만큼 폭발적이다. 한편 국가 정보화 차원에서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를 바탕으로 추진된 정보 인프라의 확대 역시 그에 못지않다. 그러나 문제는 뉴미디어-정보화 정책이 추구하는 산업경제적 가치창출, 사회문화적 가치창출, 지식기반의 확충을 통한 지식사회/지식국가의 토대구축이라는 정책목표가 '사회의 질적 발전(quality development of society)'보다는 '기술과 산업의 양적 성장(quantity growth of industry and technology)'이라는 편향적 형태로 진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개별 정책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개발주의 패러다임(developmentalism)에 기초하고 있는 뉴미디어-정보화 정책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지식 IT 전략(knowledge IT strategy)'에 기초한 뉴미디어-정보화의 질적 발전, 즉 원천기술과 특허의 확보와 그를 통한 기술표준의 구축, 내용과 수준을 갖춘 콘텐츠의 계발, 사회적 지식 네트워크의 구성 등에 부합하는 정책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다.

  • PDF

중소제조업체의 정보화 성숙도 지표 개발 및 성공요인 도출: 자동차 부품업체 사례 (A Study on the Indicators of Informatization Maturity Level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in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 A Case of Automotive Parts Industry)

  • 주석정;유상진;김나랑;홍순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95-211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 중소자동차부품업체의 정보화 사례를 통해 그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추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주요성공요인을 밝혀내어 자사의 정보화 수준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업무프로세스 영역별 정보화 성숙도 지표 및 정보화 성공요인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을 하였고 2002년도와 2003년도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수행한 정보화 우수기업 발굴사업에서 선정된 7개의 정보화 우수 자동차 부품업체들을 대상으로 업무프로세스 영역별 정보화 성숙도 측정과 성공요인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6개 업무프로세스 영역별(개발, 생산계획, 구매, 생산, 주문처리 및 지원 프로세스)로 5단계의 정보화 성숙도 지표를 제시하여 자동차부품 업종에서 발굴된 정보화 우수 중소기업에 적용,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려는 기업에게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Survey on Informatization Status of Farmers for Introducing Ubiquitous Agriculture Information System

  • Kwon, TaeHyeong;Kim, JoonYong;Lee, Chungu;Park, Gun-Hwan;Ashtiani-Araghi, Alireza;Baek, Seung Hwan;Rhee, Joong-Yo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1호
    • /
    • pp.57-67
    • /
    • 2014
  • Purpose: The modern IT can give enormous impacts o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However, farmer's ability to use IT devices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on success of IT in agriculture. This survey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ormatization status of farmers and to draw a strategy to develop and distribute a ubiquitous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with 19 questions on the degree of IT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smartphones and their utilization were developed. The survey was questioned 3 groups of farmers in Gyounggi Province and analyzed statistically by the ${\chi}^2$ test. Results: The order of IT devices distribution were computers, smartphones, smart TVs and tablet PCs in all groups. The ratios of ownerships of the devices are 97.7, 78.6%, 31.4%, 17.8% respectively. The active farmers in this survey showed higher informatization level than that of native and the general farmers. Conclusions: The ubiquitous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was judged to be developed for the computer because spread and use of it exceeds the other devices. Also, th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smartphone could be a complementary way if the rapid of the smartphones continues and proper education on use of the phone is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