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e aging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신노년층의 회복탄력성과 생산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tation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Korean new elderly class's Recovery resilience and Productive aging)

  • 이은석;안찬우;조건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55-263
    • /
    • 2017
  • 이 연구는 한국 신노년층의 회복탄력성과 생산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대상은 대도시와 중/소도시 그리고 농촌지역 신노년층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집락무선표집방법을 통해 48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20.0과 AMOS 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공변량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첫째, 한국 신노년들의 회복탄력성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한국 신노년들의 회복탄력성은 생산적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한국 신노년들의 자아존중감은 생산적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넷째, 한국 신노년들의 회복탄력성과 생산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로서 매개효과가 있다.

고령화 문제의 해결법으로서 디지털 에이징 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Digital Aging Policies as Solutions for a Aging Society)

  • 고영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15-123
    • /
    • 2016
  • 고령화는 우리나라가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국가적 과제이다. 세계 각국은 고령화에 대응하여 활동적 노화, 생산적 노화, 성공적 노화, 웰 에이징(Well Aging), 항노화 등 새로운 개념을 통해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이 논문은 고령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개념으로서 디지털 에이징(Digital Aging)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서 이에 근거한 새로운 고령화정책의 방향과 정책영역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디지털 에이징은 아직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개념이기에 문헌 분석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병약, 보호, 의존 등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탈피하여 학습 활동 생산 참여하는 노인의 상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도입할 것인지를 목표로 삼고서 노인들의 4가지 특징인 질병, 외로움, 사회적 역할 감소, 빈곤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디지털 정책을 탐색적으로 모색했다. 이 연구는 고령화와 함께 대두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의 요체인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고령화의 대안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고령화 문제에 직접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노인의 생산적 활동 및 신체적.정신적 능력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e Activity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Ability in Korean Elders)

  • 차남현;서은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8-138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productive activity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ability in elders. Methods: A total of 294 subjects aged between 60 and 92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May to June, 200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Win. 15.0. Results: Of variance in productive activity, 13.3% was explained by house ownership, number of diseases, and successful aging. Of variance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ability, 25.4% was explained by house ownership, perceived health, number of diseases, and successful ag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roductive activity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ability was significant (r=.32, p<.001)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health status of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developing more specific health promotion programs.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의 영향요인 비교: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한 검증 (The Mediation Effects of Post-retirement Preparation on Active Ageing and Productive Aging: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한태영;신교수;이주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2호
    • /
    • pp.137-16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91)에 입각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을 고찰하는 것으로, 노년기 행동에 대한 참여 과정에 대한 동기화 과정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동기화 요소로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 각각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감을 연구하였으며, 이 세 요소가 노후준비라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노후준비의 세부요소가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를 함께 검증하였다. 50~69세의 중고령 근로자 192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적 노년에 대해서는 주로 태도와 행동 통제감이 노후준비를 통해서 활동적 노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산적 노년에 대해서는 규범과 행동 통제감이 노후준비를 매개로 생산적 노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 활동적 노년에 대해서는 사회적 노후준비를 매개 변인으로 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미했으며, 생산적 노년에 대해서는 정서적 및 사회적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 간의 관계: 삶의 만족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oductive Activities on Future Time Perspective in Later Life: A Mediating Role of Life Satisfaction)

  • 배수현;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49-68
    • /
    • 2021
  • 본 연구는 활동적 노화의 관점을 바탕으로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에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제 7차 고령화연구패널(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18)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55세 이상 고령자 6,756명의 생산적 활동, 삶의 만족감과 기대수명 기대감 및 일자리 기대감의 두 차원으로 측정한 미래시간조망의 관계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산적 활동은 삶의 만족감 및 미래시간조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경제 활동자에 비해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 취업자일수록 삶의 만족감, 기대수명 기대감, 일자리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 간의 관계는 삶의 만족감이 부분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경제 활동자에 비해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 취업자일수록 기대수명 기대감 및 일자리 기대감이 높아지는데, 이는 높아진 삶의 만족감의 영향에 의한 결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생산적 활동이 활동적 노화의 목적인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미래를 긍정적으로 확장하여 조망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생산적 활동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의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Successful Aging Factors for Korean Elderly)

  • 김경호;김지훈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71-87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히려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한국 사회에 맞는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모델을 구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인 노인 4,155명 중 유배우자 2,958명이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설정되었으며 이들의 건강수준 영역, 신체·인지적 기능 영역, 심리사회적 특성 영역, 생산적 활동 영역 등을 조사하여 Amos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하였다. 성공적인 노화요인 변수들의 구조분석 결과,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인지적 기능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서 높아지고, 심리사회적 특성은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좋아지며, 또한 신체적·인지적 기능 및 심리 사회적 특성은 그 자체로 생산적 활동을 증가시키는 직접 효과가 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노인과 노인 준비단계에 있는 연령대에서 성공적 노화를 준비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실질적인 자료의 구축과 실천적 함의에 있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in Elders)

  • 한수정;한진숙;문영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23-43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uccessful aging (SA) in elderly individual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A.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207 elderly individuals from D city,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between July 1 and August 30, 2008. The participants were assured of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For the evaluation, Kim & Shin's SA scale, Lawton'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scale, Jon's self-esteem scale, Kee's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GDSSF-K), and Hong's productive activities scale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WIN 10.0 program. Results: The maximum score for SA was 34, and the mean score was 22.62. It was found that S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IADL, self-esteem, depression, and productive activity. Depression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SA and it accounted for 40.6% of the total variance in SA. Self-esteem, productive activity, living situation, economic status, and age together accounted for 62.1% of the total variation in SA. Conclus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productive activity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that influence SA.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nurses should assist elderly individuals in order to facilitate SA. Moreover, individualized nursing management strategies must be developed in order to facilitate SA.

  • PDF

Topic Modeling of Korean Newspaper Articles on Aging vi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Lee, So Chu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4-2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social discourse on aging in Korea by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on aging. The analysis is composed of three steps: first, data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second, identifying the latent topics; and third, observing yearly dynamics of topics. In total, 1,472 newspaper articles that included the word "aging" within the title were collected from 10 major newspapers between 2006 and 2019. The underlying topic structure was analyzed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 topic modeling method widely adopted by text mining academics and researchers. Seven latent topics were generated from the LDA model, defined as social issues, death, private insurance, economic growth, national debt, labor market innovation, and income security. The topic loadings demonstrated a clear increase in public interest on topics such as national debt and labor market innovation in recent years. This study concludes that media discourse on aging has shifted towards mor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related issues, requiring older people to be productive citizens. Such subjectivation connotes a decreased role of the government and society by shifting the responsibility to individuals not being able to adapt successfully as productive citizens within the labor market.

대중매체에서의 신노년 담론 분석:신문매체를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f Discourse on Aging in Korean Newspaper)

  • 한경혜;윤성은
    • 한국노년학
    • /
    • 제27권2호
    • /
    • pp.299-3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을 전달하는 기존 노년 담론의 대안으로써 제시되고 있는, 신노년 담론이 대중매체를 통해 어떻게 구성되고 유포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대중매체의 하나인 신문매체의 기사들을 분석하여, 새롭게 부각되는 노년층의 문화가 어떠한 테마를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테마들이 모여서 구성하는 신노년 담론의 특징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신문매체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이며, 1997년부터 2006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발행된 신문 중에서, '노인' 또는 '노년'을 주제로 한 신문기사 1725건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신문매체들은 신노년층 노인들의 모습을 건강과 젊음을 유지하고, 자원봉사나 유급노동, 학습 등으로 끊임없이 활동하면서 자립성을 유지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모습으로 그리고 있으며, 신노인과 구노인의 대립항적인 담론구성 방식을 통해 신노년층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령화시대에 바람직한 삶의 모습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신노년 담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들과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변화하는 사회와 치과의사의 공공기관 참여 제한 (Proposal for various Social Field Participation of Korean Young Dentist)

  • 장영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9권1호
    • /
    • pp.7-1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conomic outlook of dentistry in relation to pessimistic economic perspectives of Korea and to present subsequent solutions. The expectation of the future economic growth rate of Korea is gloom with not only a love rate of increase in population due to an aging society and a low birthrate, but also with a declined number of productive populations. Moreover, the future of dentistry in Korea is obscure. Even with a dwindling population growth, an average of 750 new dentists graduate from dental school every year. The 30-35% of the new graduates practice in public hospitals; and 65~70% of them open up their own private practices, However, unlike in the past, the occurrence of dental practice bankruptcy has been increasing with a competitive environment, excessive initial investment, knowledgeable patients, and etc.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evaluate the number of new graduates. Also, it is necessary to supply a greater number of public hospitals with newly licensed dentists, who have various clinic experience, participat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experience appropriate hospital management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