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ile Cosine Similarit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Repeated Clustering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of Typical Daily Load Profile

  • Kim, Young-Il;Ko, Jong-Min;Song, Jae-Ju;Choi, Ho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281-287
    • /
    • 2012
  • The customer load profile clustering method is used to make the TDLP (Typical Daily Load Profile) to estimate the quarter hourly load profile of non-AMR (Automatic Meter Reading) customer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peated clustering method improves the ability to discriminate among the TDLPs of each cluster. The k-means algorithm is a well-known clustering technology in data mining. Repeated clustering groups the cluster into sub-clusters with the k-means algorithm and chooses the sub-cluster that has the maximum average error and repeats clustering until the final cluster count is satisfied.

ITS를 위한 개인화 학습코스 추천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ized Learning Course Recommendation Model for ITS)

  • 한지원;조재춘;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1-28
    • /
    • 2018
  • 학습코스 선정에 많은 어려움과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수준별 학습코스를 제공하기 위해, ITS(Intelligence Tutoring System)를 위한 동적인 학습자 맞춤형 학습코스 추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화 학습코스 추천모델에서는 먼저 학습자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단어별 가중치를 계산하여 핵심 키워드를 추출한다. 추출된 단어는 Cosine Similarity 기법을 통해 유사도를 측정하고, 최종적으로 유사도가 높은 상위 3개 과정이 학습자에게 추천된다. 추천모델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교육기관에 추천모델을 적용하였고,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설문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값을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정확성, 새로움, 자기참조, 유용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추천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 외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던 기계학습 중심의 맞춤형 학습코스를 추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 Tracking Method of Same Drug Sales Accounts through Similarity Analysis of Instagram Profiles and Posts

  • Eun-Young Park;Jiyeon Kim;Chang-Hoo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8
    • /
    • 2024
  • 전 세계 소셜 미디어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범죄의 수단으로 소셜 미디어가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한 마약 유통은 마약 판매자와 소비자의 높은 접근성으로 인해 청소년들의 마약 호기심을 자극하고, 구매를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중, 국내 19세에서 24세 청소년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프로필 사진, 소개글, 게시물 사진과 게시글을 수집하고, 각 정보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수집한 다수의 계정을 활용하여 마약을 유통하는 마약사범 추적 기술을 개발한다. 4개 수집 정보 중, 이미지 형태의 프로필 사진 및 게시물 사진은 SSIM(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 기반으로 유사도를 분석하고, 텍스트 형태의 소개글 및 게시글은 자카드 유사도 및 코사인 유사도 기법을 사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한다. 이와 같은 유사도 분석을 통해, 각 수집 정보별 계정 간의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유의수준 이상의 유사성을 갖는 계정들에 대해 동일 마약 유통 계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집한 4개 정보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게시물 사진을 제외한 프로필 사진, 소개글, 게시글이 동일 마약 판매 계정을 추적하는 데에 유효한 정보임을 확인하였다.

개혁신학과 복음주의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using Bibliometric Analysis Method on the Reformed Theology and Evangelicalism)

  • 유영준;이재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1-63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개혁신학과 복음주의, 중립적인 신학적 입장을 가지는 학술지와 색인어, 저자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평균 연결 군집화, 이웃중심성 척도, 프로파일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하여 세 가지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저자 간 관계를 분석할 때에는 저자 사이에 핵심 공유 색인어를 파악해서 연구 주제를 해석하는 새로운 시도를 해보았다. 학술지 분석에서는 9개 학술지가 크게 개혁신학과 복음주의의 두 개 군집으로 나뉘어졌지만, 개혁신학을 지향하는 장로교단 학술지인 장신논단만 복음주의 군집에 속하였다. 두 군집의 색인어 분석에서도 개혁신학과 복음주의가 두 군집을 대표하는 주요어로 나타났다. 저자 분석에서는 9개의 군집이 산출되었다. 이중에서 4개의 군집에는 주로 개혁신학을 연구하는 장로교단 신학자들이 포함되었으며, 5개 군집에는 장로교단에 소속되지 않은 신학자들이 주로 포함되었다. 따라서 학술지와 색인어, 저자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모두에서 일관되게 개혁신학 군집과 복음주의 군집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