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ming Concep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Understanding about Novice Learner's Programming Conception by Prototype Theory

  • Kim, Dong-Man;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51-26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확률적 관점의 원형이론으로 학습자들이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형성한 프로그래밍 개념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conception)의 의미와 원형이론(prototype theory)을 고찰하고, 대학생 33명이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경험으로 형성한 학습자의 변수(variable) 개념을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 글쓰기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1)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 글쓰기 활동은 프로그래밍 교육 효과를 높이는 교육 방법이고, 2) 학습자의 추상적 속성 형성 경험을 보강해야 하고, 3) 프로그래밍 개념은 집단별로 수준별 개념(multi-level concept)을 형성하고, 4)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기호의 의미에서 발생 가능한 오개념 위험(misconception risk)을 의도적으로 차단해야하고, 5) 프로그래밍 평가 도구는 다양한 속성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개발되어야 한다.

현대건축디자인에서 개념요소로서 프로그래밍의 재해석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nd in Reinterpretation of Architectonic Programming as a Schematic Factor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김능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호
    • /
    • pp.272-279
    • /
    • 2000
  • It can be characterized that contemporary architects intend to establish architectonics which can make it possible to reinterpret the attribute of movement in space and its programming differed from the traditional perception in moving in and out any space through disjoining and reorganizing human behavior and event. This intends reflect new paradigm for subjugating the compelled fuctioning of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review those intends focused on programming as a pre-disign schema. In those intends, it connotes the effort of establishing more systemic and logical approach through deconstruction and disprogramming the existing from, space, elements and human on the basis of his own schematic conception as substitution of function in modern architecture.

  • PDF

우리나라 중소도시 비오톱 공간의 조성방안 (The Potential Assessment and Creation Programming of Biotopes in Small and Medium City in Korea)

  • 정문선;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5-90
    • /
    • 2000
  •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of the assessment and creation of biotopes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Chonju city was selected to classify and asses the biotope types. Moreover, relevant legislations to conserve and enhance urban biotop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two approaches to asses the potential of urban biotopes in medium-sized cities. One was the urban scale evaluation for urban green spaces and the other was the biotope scale evaluation for th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biotopes. 2) The urban scale evaluation was developed through overlaping analysis of landuse and vegetation factors.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conception of watershed. In this conception, three watersheds in Chonju city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individual programs for conservation and enhancement of urban green space were suggested. 3) For the biotope scale evaluation, Selected site was inclusively mapped and field investigation actually was carried. There were total 9 types of bitopes. Especially landuse was appeared in various evaluation items were vegetation structure, area of green space, condition of vegetation and vegetation profile. Mt, Gonji and Dukjin park,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elds were evaluated highly I the potential. 4) The biotope programs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iotopes. The uniform and simple levels on vegetation must be modified with various level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rnacular plant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like Points, Corridors and Patches can be organized by the conception of biotope networking theory. 5) The proper legislative environment was the clue elements for the biotope programs. Until now, only five types of parks and two types of green space are defined and the minimum size of green space has been proposed by the law. So,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conception of green space in legisl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green space by amending the related regul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 because it was selected only in Chonju. Through the continuous studies, we need to apply this other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South Korea. Also the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theme maps such as actual vegetation, landuse and a soil must be done preliminary.

  • PDF

게임 프로그램 이해를 통한 체계적 "프로그래밍" 교수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Systematic Instructional Materials about "Programming" by Understanding of Game Programs)

  • 김종훈;신재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33-142
    • /
    • 2001
  • '컴퓨터 교육'이라는 개념은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과 컴퓨터를 배우는 교육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후자의 개념으로서 '컴퓨터 교육'은 전산학에 대한 개론 및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학습이 핵심을 이룬다. 특히 프로그래밍의 학습의 경우는 코딩, 컴파일링, 디버깅등의 복잡한 과정과 함께 운영체제 및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 같은 프로그래밍 외적인 분야에 대해서도 다양한 이해가 요구된다. 기존의 프로그래밍 학습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대한 기계적 암기나 사용법을 익히는 것에 치중하여 논리적인 사고를 키우는데 적합하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적인 통찰력을 기를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초가 되는 C로 코딩된 게임 소스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gene expression programming-based model to predict water inflow into tunnels

  • Arsalan Mahmoodzadeh;Hawkar Hashim Ibrahim;Laith R. Flaih;Abed Alanazi;Abdullah Alqahtani;Shtwai Alsubai;Nabil Ben Kahla;Adil Hussein Mohammed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7권1호
    • /
    • pp.65-72
    • /
    • 2024
  • Water ingress poses a common and intricate geological hazard with profound implications for tunnel construction's speed and safety. The project's success hinges significantly on the precision of estimating water inflow during excavation, a critical factor in early-stage decision-making during conception and design. This article introduces an optimized model employing the gene expression programming (GEP) approach to forecast tunnel water inflow. The GEP model was refined by developing an equation that best aligns with predictive outcomes. The equation's output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data and assessed against practical scenarios to validate its potential applicability in calculating tunnel water input. The optimized GEP model excelled in forecasting tunnel water inflow, outperforming alternat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like SVR, GPR, DT, and KNN. This positions the GEP model as a leading choice for accurate and superior predictions. A state-of-the-art machine learning-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as innovatively crafted for predicting and visualizing tunnel water inflow. This cutting-edge tool leverages ML algorithms, marking a substantial advancement in tunneling prediction technologies, providing accuracy and accessibility in water inflow projections.

SW교육을 통한 기질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emperament through SW Education)

  • 유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5-227
    • /
    • 2018
  • 컴퓨팅 사고란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프로세스 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정신적 기술(mental skills)을 의미한다.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에게는 매우 필요한 기술로 인간의 정신 능력과 컴퓨팅 능력을 필요로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핵심이 되는 새로운 사고 방법인 컴퓨팅 사고 배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사고 정의에 대한 인식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와 SW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의 심리적, 행동적으로 변화되는 기질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뉴미디어 예술 작품에 적용된 알고리즘의 미학적 함의 : 라이브 코딩을 중심으로 (Aesthetic Implications of the Algorithm Applied to New Media Art Works : A Focus on Live Coding)

  • 오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9-130
    • /
    • 2013
  • 본 논문은 알고리즘이 물질성과 표현성을 획득할 수 있음을 라이브 코딩을 통해 연구한다. 라이브 코딩은 실시간으로 코드를 작성하면서 소리를 생성하고, 코드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즉흥 음악 장르이다. 기존의 라이브 코딩 연구는 공연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개발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라이브 코딩에서 주로 활용되는 ChucK, Impromptu, 라이브 코드의 시각화의 언어적 특성 분석과 "aa-cell"과 "slub"의 실제 공연 사례 분석을 통해 알고리즘 구현에 내재된 미학적 태도를 연구한다. 라이브 코딩의 미학적 태도는 대수적 태도와 기하학적 태도로 나눌 수 있다. 대수적 태도는 시간상에 순차적인 개념의 전개에 초점을 맞추고, 기하학적 태도는 개념의 구조를 공간상에 시각적 구조로 물질화하는데 중심을 둔다. 이러한 태도의 차이는 개념시와 구체시를 통해 표명된 개념과 물질 사이의 긴장 관계가 라이브 코딩에서 유사하게 반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이브 코딩에서 언어에 대한 입장이 개념과 물질 중에서 무엇을 강조하는가에 따라 알고리즘의 표현성이 규정된다.

화물의 인도시기를 최우선으로 하는 배선문제 (Optimum Allocation of Ships Emphasizing the Cargo Delivery Time)

  • 이중우;양시권;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3
    • /
    • 1981
  • As far as transportation problems are concerned, the minimization of transportation cost is the most prevailing object. But in some cases, the cargo delivery time is the utter problem rather than the cost. For instance, we may imagine the case that the delivery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is delayed behind the schedule and this makes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d because of idle time of other materials and man power, in addition to the indemnity. Therefore the allocation of ships, in marine transportation which is now the main route of overseas trade, to the needed area on the required time is to be appropriately performed. However, there are several restrictions for cargo delivery to meet the demand, such as ship's size, number to be employed and cargo handling capacity of the ports, etc. And there are some other factors to be considered, that is, the degree of necessities of commodities, on their kinds, amount, and the time of arrival, etc.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optimum allocation of ships emphasizing the cargo delivery time adopting Linear Programming technique with those cargo delivery restrictions and factors transformed by introducing the multi-speed conception, the conversion of multi-commodity to a single commodity, allowable delivery time, weight penalty number and nominating priority. This paper presents a case of optimum allocation of ships in the light of cargo delivery time for a construction company which has two different construction places and analyzes the result. This study will give a planner a good tool for optimum planning of maring transportation and be used for decision of schemes.

  • PDF

선형계획법의 교수학적 분석을 통한 가설 학습 경로 탐색 (Exploring a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y of Linear Programming by the Didactical Analysis)

  • 최지선;이경화;김서령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85-102
    • /
    • 2010
  • 선형계획법은 일정한 조건아래 여러 가지 가능성 중에서 최적의 경우를 찾아낼 때에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맥락과 학교수학의 맥락에서 선형계획법을 분석하고, 인식론적 관점에서 선형계획법의 학습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가설 학습 경로를 탐색하였다. 수학적 맥락과 학교수학의 맥락의 차이는 주어진 영역이 실현 가능한지 또는 유계인지를 다루는가의 여부, 주어진 영역 속의 점 중에서 제한된 개수의 점만을 대입해도 최적해를 구할 수 있다는 정리의 정당화를 다루는가의 여부에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정의역이 제한된 경우에 이원일차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이 무엇인지를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 세 가지 측면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고려하여 가설 학습 경로를 4단계 즉, 주어진 일차식이 함수식임을 이해하는 단계, 부등식 영역과 일차식을 목적함수와 관련시킴으로써 부등식 영역을 직선으로 분할하는 단계, 직선의 그래프와 k의 범위를 관계시켜 y절편의 개념을 구성하는 단계, 주어진 영역에서 최적해의 존재가능성을 확인하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