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micromonospora sp.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Chitinase와 항진균성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 Promicromonospora sp. KH-28의 선발과 동정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micromonospora sp. KH-28 Producing Chitinase and Antifungal Antibiotic)

  • 한길환;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1-196
    • /
    • 1999
  • A multifunctional antagonistic bacterium, producing both antifungal antibiotic and chitinase that could be used as biocontrol agents against fungal plant pathogens was isolated from the plant-disease suppressive soil.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Promicromonospora sp. KH-28 from various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The antifungal antibiotic produced by Promicromonospora sp. KH-28 was soluble in n-butanol, methanol, toluene, n-hexane, ethanol but insoluble in H2O, aceto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ethylether. It inhibited the growth of fungal plant pathogens of Fusarium solani, F. oxysporum, Alternaria mali and Phytophthora capsici. The antagonistic Promicromonospora sp. KH-28 produced optimally the antifungal antibiotic when it was cultivated at pH 7, 3$0^{\circ}C$ for 5 days.

  • PDF

항진균성 방선균 Promicromonospora sp. KH-28이 생산하는 Chitinase와 항생물질에 의한 시드름병균 F. oxysporum의 생육억제 (Antagonistic Role of Chitinase and Antibiotic Produced by Promicromonospora sp. KH-28 toward F.oxysporum)

  • 한길환;이창은;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49-353
    • /
    • 1999
  • Antagonistic Promicromonospora sp. KH-28 isolated from a suppressive soil could produced a chitinase and a antifungal antibiotic for the biocontrol ability. The chitinase and the antibiotic appeared to inhibit plant pathogens of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Alternaria kiki, fusarium solani, Stemphylium sp., and Psudomonas fluorescens. the antibiotic produced from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a antifungal substance of 503 dalton having a pyrimidine skeleton with an aliphatic side chain. The Promicromonospora sp. KH-28 was able to suppress effectively F. oxysporum derived-fusarium wilt of red-pepper plant in the pot in vivo test.

  • PDF

근권미생물과 토양병방제 -유용길항균이 인삼근부병원에 미치는 영향- (Establishment of rhizosphere microbes for plant protection on soil-borne diseases -Benificial antagonist and its mode of action toward ginseng root rot pathogen-)

  • 김성일;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0-61
    • /
    • 1994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380개체의 균주 중 Fusarium solani에 대해 길항능력이 있는 방선균 및 세균 42개 균주로부터 길항작용이 큰 균주로 CHA 1과 5-PFHR 6을 공시하여 동정한 결과 각각 Promicromonospora sp.와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로 동정되었다. PDA 평판배지상에서 두 균주는 모두 F. solani의 저해작용으로 균사의 길이 생장억제, 비정상적인 균사의 분지, 세포벽 분해에 의한 돌기형성 등이 관찰되었다. F. solani 포자발아에 미치는 길항균주의 배양여과액의 작용으로 감자즙액 배지나 nutrient broth에 배양한 여과액은 포자발아 억제력이 높아 14.3%의 낮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토양침출액 단독 또는 두 영양배지에 토양침출액을 첨가하여 준비한 배양 여과액에서의 발아율은 85% 이상으로 포자발아가 촉진되었으나 S-PFHR 6의 경우 두 영양배지에 소량의 토양침출액을 첨가한 배앙여과액에서 4%의 발아율을 보였다. 자연토양에서 대형포자는 19.4%, 후막포자는 17.7%가 발아하였으나 증기살균 토양에서의 발아율은 79.7%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자연토양에 공시길항균 CHA 1과 S-PFHR 6의 균체를 처리하면 토양 정균력이 증가되어 F. solani의 대형 포자 발아율은 각 처리구에서 각각 14.7%, 11.7%로 감소하였다. 길항균을 처리한 토양에 glucose와 asparagine을 처리하면 토양의 정균력이 점차 해소되어 대형포자의 발아율은 48.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공시균주의 2차 대사산물에 의한 길항작용으로 두 균주의 배양여과액을 토양에 처리한 경우 CHA 1의 배앙여과액을 처리한 토양에서의 F. solani 대형포자의 발아율은 9.3%, 5-PFHR 6 처리구에서의 발아율은 38.0%가 되었다. F. solani의 후막포자는 공시길한균주의 균체나 배양여과액 처리구에서의 발아율이 자연토양에서의 발아율보다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영앙원을 첨가해 주어도 변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