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bagrus brevicorpu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Bagridae (Pisces, Siluriformes) from Korea)

  • 이충렬;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7-137
    • /
    • 1990
  • 우리나라 서남해안으로 유입되고 있는 하천 및 각 수계에 서식하는 동자개과 어류를 재검토한 결과 모두 2속 6종 즉 Pseudobagrus fulvidraco, Pseudobagrus koreanus sp. nov., P. brevicorpus, Leiocassis nitidus, L. ussuriensis, L. longirostris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P. koreanus sp. nov.와 P. brevicorpus는 한국특산 어종이다. 지금까지 Pseudobagrus sp. 로 기재해온 눈동자개는 독립종으로 하여 Pseudobagrus koreanus Uchida로 명명하였다.

  • PDF

Habitats and Air Uptake Based on Analysis of Skin Structure of Two Korean Bullheads, Pseudobagrus brevicorpus and P. koreanus (Pisces; Bagridae}

  • Park, Jong-Young;Kim, Chi-Ho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155-160
    • /
    • 2007
  • The skin of the Korean bullheads, Pseudobagrus brevicorpus and P. koreanus, is composed of epidermis, dermis and subcutis. The epidermis has three layers, the outermost layer, middle layer and stratum germinativum. The epidermis consists of two types of gland cells, an unicellular mucous cell of sulfomucin and a large club cell having sometimes two nuclei. The epidermis has numerous intraepithelial blood vessels in P. brevicorpus but not at all in P. koreanus. Lymphatic spaces containing lymphocytes are well developed in mainly the stratum germinativum. The dermis lacks scales and consists mostly of bundles of coarse collagen fibers. The collagen bundle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orsum and lateral region toward the dorsum, but vertically at intervals in the abdomen and lateral region toward the abdomen. Considering this unique skin structure, the two species are likely to exercise cutaneous respiration as a dual respiratory system to overcome hypoxic conditions which frequently occurs in their habitats.

낙동강 수계 대가천의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의 일주기 활동 및 식성 (Diel Activity and Feeding Habitat of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 in the Daegacheon Stream of Nakdonggang River, Korea)

  • 곽영호;김강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1
    • /
    • 2019
  •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일주기활동과 식성에 관한 연구를 낙동강 지류인 대가천에서 실시하였다. 일주기 활동은 일몰 직후와 일출 전에 2회에 걸쳐 일어났다. 주로 하천의 중층대에서 활동을 하며 먹이생물이 발견하면 접근하여 흡입하는 행동을 취했다. 연령은 3개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위내용물 중 상대중요성지수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가 1%를 초과하는 먹이생물은 하루살이목 (Ephemeroptera) 80.8%, 파리목 (Diptera) 8.6%, 날도래목 (Trichoptera) 8.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연령군에서 하루살이목이 매우 중요한 먹이생물이었고,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II. 골격형질의 다변량 분석 (Systematic Studies on the Bagrid Catfish (Siluriformes: Bagridae) from Korea III. Multivariate Analysis of Osteological Characters)

  • 이충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7
    • /
    • 1989
  • 우리 나라 서남해안에 유입되는 하천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동자개과 어류 110 개체의 골격표본을 중심으로 12개 골격형질을 추출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계통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는 종전의 4속에서 2속으로 즉 Pseudobagrus속과 Leiocassis속으로 분류되었으며, Pseudobagrus속에는 P. fulvidraco, Pseudobagrus sp., P. brevicorpus이고 Leiocassis속에는 L. nitidus와 L. ussuriensis가 해당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P. brevicorpus는 Pseudobagrus sp.와 가까운 관계로 알고 있었으나 그 보다는 오히려 P. fulvidraco와 더욱 가까운계통관계로 나타났다.

  • PDF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정자의 미세구조와 계통적 고찰(경골어류, 메기목, 동자개과)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the Slender Catfish, Pseudobagrus brevicorpus (Teleostei, Bagridae) with Phylogenetic Considerations)

  • 김구환;이준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0-485
    • /
    • 2003
  • Morphology of the spermatozoa from the testes of the catfish (Pseudobagrus brevicorpus) was studied by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spermatozoa of P. brevicorpus are approximately $82.25\pm0.06\;{\mu}m$ in length and relatively simple cells composed of a spherical head, a short midpiece and a tail as in most teleost fish, The nucleus measuring about $2.00\pm0.02\;{\mu}m$ in length is depressed with a deep nuclear fossa of about $1.05\pm0.03\;{\mu}m$ in length three fifths of the nuclear length. The nuclear fossa contains the proximal and distal centrioles. The two centrioles are oriented approximately $150^{\circ}$ to each other. The mitochondria are arranged in two layers and their number is 12 or more. They are separated from the axoneme by the cytoplasmic canal. The axoneme is the 9+2 microtubular pattern and has inner but no outer dynein arms as in other bagrids. The axonemal fins were the closed to axonemal doublet 3 and 8. The axonemal fins and lost outer dynein arm are shared in Bagridae and the deep nuclear fossa is shared in Siluriformes. The axonemal fins observed in Bagridae and Amblycipitidae of Siluriformes might be the apomorphic character in Ostariophysi.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생태와 초기 생활사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Endangered Freshwater Fish,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

  • 강언종;양현;이흥헌;조용철;김응오;임상구;방인철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78-384
    • /
    • 2007
  •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인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증식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태와 초기생활사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꼬치동자개는 특정 조건에 밀집되어 개체군을 형성하며 서식밀도는 1.25개체 $m^{-2}$이었고, 생산력은 200$\sim$250개 마리$^{-1}$ 낮아 멸종위기 상황을 시사하였다. 산란은 자연산란 유도 결과 수초에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부화한 치어는 군집생활을 한다. 수정난은 약 50시간만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3일 후 난황이 거의 흡수되었고, 부화 8일 후에는 올챙이형으로 군집하며, 30일경에 어미와 같은 형태를 보이는 치어기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산란 생태와 관련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꼬치동자개의 증식 복원과 보존을 위한 방안들을 고찰하였다.

인공사육에 의한 멸종위기종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성장과 성성숙 특성 (Characteristics on Growth and Sexual Maturation of an Endangered Fish,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from Korea by Artificial Rearing)

  • 양상근;강언종;김광석;방인철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369-374
    • /
    • 2009
  • 멸종위기에 처한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공사육 환경에서 사육된 종묘에서 친어까지의 성장과 성성숙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부화 후 698일의 인공사육 기간 동안 전장과 체중은 각각 $89.22{\pm}10.29mm$$70.93{\pm}7.68g$로 성장하였고, 전장 (TL)과 체중(BW)의 관계는 $BW=5{\times}10^{-5}\;TL^{2.678}$ ($R^2=0.995$)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74.2%였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1 (암컷, 471) : 1 (수컷, 473)이었다. 부화 후 663일째에 암컷의 전장과 체중은 각각 $78.38{\pm}0.92\;mm$$6.38{\pm}0.20\;g$로 나타나 수컷의 $87.44{\pm}1.07mm$$8.43{\pm}0.31g$에 비해 높았으나, 비만도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유의적으로 값을 보였다(P<0.05). 암컷 1마리당 포란수는 평균 734개(508~867개)였고, 난경은 0.04~1.65mm의 범위를 보였다. 인공 사육된 친어는 만 2년이 되던 6월 초순에 인간 융모성 고나도트로핀(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을 주사한 후 1~2일 사이에 산란이 가능하였고, 부화된 개체는 평균 216마리(113~338마리)였다.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인공종묘의 성분화 과정 (Sexual Differentiation in Korean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Derived from Artificial Fertilization)

  • 오민기;박종영;강언종;양상근;김응오;조용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5-262
    • /
    • 2008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된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종복원을 위해 인위적인 교배를 통하여 획득한 자치어를 대상으로 성분화 과정을 조사하여 성적임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부화 후 4~5일째 자어에서 생식융기 1쌍이 장과 중신관 사이에서 관찰되었고, 그 후 유사분열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부화 후 20일째 치어에서 난원세포의 출현으로 난소 분화가 시작되었으며, 부화 후 30~40일째를 거치면서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로 성장하였다. 난황은 부화 후 80일째의 자어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100일째가 되어 eosin에 염색되는 난황구가 생성되었다. 이후 난모세포는 난황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약 10개월째에는 난막과 여포세포층에 의해 둘러싸여진 난모세포로 분화하였다. 한편 정소는 부화 후 25일경 치어에서 분화되기 시작하였고, 40일경 유사분열을 통해 정원세포를 둘러싸는 포낭을 형성하였다. 부화 후 100일째가 되면 정소는 정소엽 구조를 형성하였고 hematoxylin에 매우 진하게 염색되는 정모세포로 분화하였다. 부화 후 7개월째 치어의 정소엽 내부에 정세포가 출현한 이후, 부화 후 만 1년을 경과한 치어에서 최초로 성숙한 정자가 출현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적으로 부화된 꼬치동자개 자치어의 성분화는 다른 종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정상적인 발달을 보인다고 판단되었다.

경상북도 포항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Ichthyofauna collected from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 유동재;한경호;이성훈;임후순;황재호;이진희;강경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63-370
    • /
    • 2008
  • The ichthyofauna of certain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were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7-19,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9,480 individuals (ind.) belonging to 22 species, 17 genera, 8 families and 4 orders were collected. Of these, 11 species were cyprinidae fishes,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Pseudorasbora parva (relative abundance 47.14%). There were six Korean endemic species (289 ind., relative abundance 3.04%), including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mulimaculatus, Hemiculter eigenmanni, Iksookimia yongdokensis and Coreoperca herzi, and the dominant Korean endemic species was Pseudobagrus brevicorpus (relative abundance 3.04%) collected in Hoehakji, Cheonggyeji, Ahnsimji and Mabukji. There were five introduced species. Three species, including Hemiculter eigenmanni, Pseudobagrus fulvidraco and Hypomesus nipponensis, were introduced from other native stream systems, and two species, including Carassius cuvieri and Lepomis macrochirus, originated in foreign countries. Of these, Lepomis macrochirus (l,521 ind., relative abundance 16.05%) was collected at the all reservoirs except at Gidongj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otic fishes in question have been widely dispersed within the reservoirs in Pohang-si.

한국산 동자개속 및 퉁가리속 4종 어류의 난모세포에서 여포세포의 발달과 변형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Oocyte' Follicle Cell for Korean Four Sillurid Fishes of Liobagrus and Pseudobagrus (Pisces: Silluriformes))

  • 백현아;박종영;김치홍;김종화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2-119
    • /
    • 2007
  • 메기목 어류인 퉁사리 Liobagrus obesus, 자가사리 L. mediadiposalis,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꼬치동자개 P. brevicopus에 대한 난모세포의 여포세포의 발달과 변형과정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4종의 난모세포는 바깥의 theca cell과 안쪽의 여포세포(granulosa cell)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여포세포는 초기 난모세포에서는 편평세포로 구성 되었으나 난황물질형성 동안 단층의 입방상피, 단층의 원주세포로 대체되면서 난황구후기에는 원주세포에 의해서 분비되는 물질로 채워지게 된다. 4종이 이러한 과정이 비슷하지만 분비된 물질(부착구조)의 형태는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로 젤라틱막 구조로서 퉁가리속의 퉁사리 및 자가사리에서 나타나며 이들의 성분은 polysaccharides와 mucoproteins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두 번째인 과립형태는 동자개속의 눈동자개와 꼬치동자개에서 볼 수 있으며 이들은 mucoprotein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이러한 부착물질의 아래 부분에 존재하는 방사대는 얇은 바깥층과 두꺼운 내부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이며, 이들의 두께는 $0.6{\sim}3.1{\mu}m$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