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random Numb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PRaCto: Pseudo Random bit generator for Cryptographic application

  • Raza, Saiyma Fatima;Satpute, Vishal 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2호
    • /
    • pp.6161-6176
    • /
    • 2018
  • Pseudorandom numbers are useful in cryptographic operations for using as nonce, initial vector, secret key, etc. Security of the cryptosystem relies on the secret key parameters, so a good pseudorandom number is needed.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new approach for generation of pseudorandom number. This method uses the three dimensional combinational puzzle Rubik Cube for generation of random numbers. The number of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cube approximates to 43 quintillion. The large possible combination of the cube increases the complexity of brute force attack on the generator. The generator uses cryptographic hash function. Chaotic map is being employed for increasing random behavior. The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ed can be used for cryptographic applications. The generated sequences are tested for randomness using NIST Statistical Test Suite and other testing methods. The result of the tests and analysis proves that the generated sequences are random.

A NEW VERSION OF FIRST RETURN TIME TEST OF PSEUDORANDOMNESS

  • Kim, D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2권2호
    • /
    • pp.109-118
    • /
    • 2008
  • We present a new version of the first return time test for pseudorandomness. Let $R_n$ be the first return time of initial n-block with overlapping. An algorithm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first return time $R_n$ for each starting block is presented and used to test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The standard Z-test for log $R_n$ is applied to test the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 PDF

Applications of ergodic theory to pseudorandom numbers

  • Choe, Geon-Ho;Kim, Chihurn -Choe;Kim, Dong-Han -Choe
    • 대한수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173-187
    • /
    • 1998
  • Several aspects of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are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 of ergodic theory. An algorithm of generating pseudorandom numbers proposed and shown to behave reasonably well.

  • PDF

Generalized Hardware Post-processing Technique for Chaos-Based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 Barakat, Mohamed L.;Mansingka, Abhinav S.;Radwan, Ahmed G.;Salama, Khaled N.
    • ETRI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448-458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generalized post-processing technique for enhancing the pseudorandomness of digital chaotic oscillators through a nonlinear XOR-based operation with rotation and feedback. The technique allows full utilization of the chaotic output as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and improves throughput without a significant area penalty. Digital design of a third-order chaotic system with maximum function nonlinearity is presented with verified chaotic dynamics. The proposed post-processing technique eliminates statistical degradation in all output bits, thus maximizing throughput compared to other processing techniques. Furthermore, the technique is applied to several fully digital chaotic oscillators with performance surpassing previously reported systems in the literature. The enhancement in the randomness is further examined in a simple image encryption application resulting in a better security performance. The system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 on a Xilinx Virtex 4 FPGA with throughput up to 15.44 Gbit/s and logic utilization less than 0.84% for 32-bit implementations.

슈도 랜덤 코드와 기하학 코드를 이용한 광학적 Angle Sensor (Opticla Angle Sensor Using Pseudorandom-code And Geometry-code)

  • 김희성;도규봉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2호
    • /
    • pp.27-32
    • /
    • 2004
  • Absolute optical angle 센서는 디지털 광학 장치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 장치의 목적은 Pseudorandom-code와 Geometry-code를 이 용하여 코드화된 원판(coded disk)의 상대적/절대적 변위 (Relative/Absolute angle position)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 기술에서 디스크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는 먼저 Pseudorandom-code에 의해 "Coarse" angle이 검출되어 결정되어지며, 그런 다음 Geometry-code의 Pixel 계산에 의해서 얻어지는 "Fine" angular position 데이터는, 7㎛의 Line image 센서를 사용 시, 시스템의 0.006°분해능 결과를 구할 수 있다. 제안된 기술은 비접촉 반사 특성, 시스템의 높은 분해능, 상대적으로 간단한 코트 패턴 그리고 센서의 고유한 디지털 성질을 갖는 등 많은 면에서 새로운 방식이다 더 나아가서 시스템은 두 개의 코드화된 원판에 적용하여 얻어진 절대 자의 변형(Absolute angular displacement)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쉽게 토크 센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안된 센서의 디지털 광전 특성은 토크와 각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자동 차량 시스템에 사용 시 이상적인 시스템을 만든다. 본문에서는 코드화된 원판의 정확한 각 위치(Angular position)를 결정하기 위하여 Pseudo random-code와 Geometry-code를 활용한 기술을 제안하며, 아이디어의 실행 가능성을 구현하는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합한 듀얼 모드 의사 난수 생성 확장 모듈의 설계 (Dual-mode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Extension for Embedded System)

  • 이석한;허원;이용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8호
    • /
    • pp.95-101
    • /
    • 2009
  • 난수 생성 함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뮬레이션 테스트나 통신 프로토콜 검증 등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어진다. 이런 상황에서 난수의 randomness는 사용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다르게 필요할 수 있다. 반드시 randomness가 보장된 랜덤 함수를 통한 고품질의 난수를 생성해야 할 때가 있고, 단지 난수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 randomness가 보장되지 않은 난수가 필요할 때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으로 동작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듀얼 모드로 동작하는 하드웨어 난수 생성기를 제안하였다. 모드 1 에서는 높은 randomness를 가지는 난수를 6사이클마다 한 번씩 생성하게 되며, 모드 2 에서는 낮은 randomness를 가지는 난수를 매 사이클마다 생성할 수 있다. 테스트를 위해, ASIP(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를 설계하였으며, 각 모드에 맞는 명령어 세트를 설계하였다. ASIP은 LISA언어를 사용하여, 5 stage MIPS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CoWare 사의 Processor Generator를 통해서 HDL코드를 생성하였으며, HDL 모델은 동부 0.18um 공정으로 Synopsys사의 Design Compiler를 통해서 합성되었다. 설계되어진 ASIP으로 난수를 생성한 결과, 하드웨어 모듈을 추가하기 전에 비해 2.0%의 면적 증가 및 239%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최대길이 여원 CA 기반의 의사랜덤수열 분석 (Analysis of Pseudorandom Sequences Generated by Maximum Length Complemented Cellular Automata)

  • 최언숙;조성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001-1008
    • /
    • 2019
  • 고품질 의사랜덤수열 생성은 암호화 프로토콜을 포함한 많은 암호화 응용 프로그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의사랜덤수열 생성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이하 PRNG)는 암호시스템에서 키수열 생성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PRNG는 고품질의 랜덤한 큰 데이터 스트림을 효과적으로 생성해야 한다. CA 기반의 PRNG는 LFSR기반의 PRNG에 의해 출력되는 난수열보다 랜덤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밀키 암호시스템에서 보다 안전한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키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PRNG를 설계하기 위해 최대길이를 갖는 90/150 셀룰라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CA)로부터 유도된 여원 CA가 최대길이 CA임을 보인다. 또한 90/150 최대길이 CA(MLCA)와 여원벡터로부터 유도된 여원 MLCA의 각 셀에서 출력되는 수열 중 비선형 수열을 출력하는 셀의 위치를 분석한다.

IoT 환경에서 가변 센싱 노드들에 무관한 고정 길이 탭을 가지는 의사 난수 발생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with Fixed Length Tap unrelated to the variable sensing nodes for IoT Environments)

  • 이선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76-682
    • /
    • 2018
  • WSN을 포함하는 IoT 세상이 발전할수록, IoT를 적용하는 주위환경에 따라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시스템의 수가 매우 가변적이다. 이러한 복잡한 환경에서 각각의 센서 시스템들에 대한 보안을 수행하기 위하여 보안모듈들도 가변적으로 증감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시스템 효율성과 해킹/크래킹을 고려하였을 경우,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적인 구현을 어렵게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센싱 노드들의 수와 상관없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의사난수를 발생시키며 이상현상을 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고정 길이 탭을 가진 의사 난수 발생기(FLT: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with Fixed Length Tap unrelated to the variable sensing nodes)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FLT-LFSR 구조는 IoT 환경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하여 보안레벨 및 전체 데이터 포맷팅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제안된 FLT-LFSR 구조는 센서 시스템 구현의 용이성 및 센싱 노드들의 수와 상관없이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가능 최대길이 CA기반 의사난수열 생성기의 설계와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Based on Programmable Maximum Length CA)

  • 최언숙;조성진;김한두;강성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19-326
    • /
    • 2020
  • PRNG(Pseudorandom number generator)는 안전한 온라인 통신을 위한 암호화 키 생성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PRNG에 의해 생성되는 비트 스트림은 대칭키 암호 시스템에서 빅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암호화할 수 있도록 고속으로 생성되어야 하며 또한 여러 통계적 테스트를 통과할 수준의 랜덤성을 확보해야 한다. CA(Cellular Automata) 기반의 PRNG는 하드웨어로 구현이 용이하고, LFSR기반의 PRNG보다 렌덤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칭키 암호시스템에서 효과적인 키 수열을 생성할 수 있는 PMLCA(Programmable Maximum Length CA)기반의 PRNG를 설계한다. 제안하는 PRNG는 비선형 제어 방식을 통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한다. 먼저 주기가 긴 선형 수열을 생성하는 단일 여원벡터를 갖는 (m,n)-셀 PMLCA ℙ 기반의 PRNG를 설계하고 주기와 생성다항식을 분석한다. 또한 ℙ와 주기가 같으면서 비선형 수열을 생성하는 두 개의 여원벡터를 갖는 (m,n)-셀 PC-MLCA기반의 PRNG를 설계하고 비선형 수열이 출력되는 위치를 분석한다.

INPUT GROUPING OF LIGICAL CIRCUIT BY USE OF M-SEQUENCE CORRELATION

  • Miyata, Chikara;Kashiwagi, Hiroshi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5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on Control Conference, 10th (KACC); Seoul, Korea; 23-25 Oct. 1995
    • /
    • pp.146-149
    • /
    • 1995
  • A new method for grouping of relevant and equivalent inputs of a logical circuit was proposed by the authors by making use of pseudorandom M-sequence correlation. The authors show in this paper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input grouping from a part of correlation functions when we admit small percentage of error, whereas it is impossible to reduce the data necessary to estimate the grouping by use of the truth table method. For example in case of 30-input logic circuit, the number of correlation functions necessary to calculate can be reducible from 1.07 * 10$^{9}$ to 46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