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safety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5초

MRI 검사 시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이 폐쇄공포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환자안전사고에 있어서) (Effects of Claustrophobia, Vital Signs on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Patients during MRI Examination(In Patient Safety Accident))

  • 김재천;배석환;김용권;이무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1-240
    • /
    • 2015
  •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patients during MRI examination on the claustrophobia and vital signs, As for a study tool, to measure Anxiety Sensitivity Index(ASI), Kamsung Evaluation Index of Life Environmental Noise(KEI),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IV) was used, and for vital signs,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measured pre and post MRI examination. In conclusion, it was indicated that though the effec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anxiety, on noise sensitivity and claustrophobia was small,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patients during MRI examination affected claustrophobia and vital signs.

식품안전수준에 대한 지수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ex for Food Safety Status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 양성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1-35
    • /
    • 2022
  • Measuring the food safety has been focused only on the psychological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safety. The actual measurement tool should consist of the evidence-based statistical data to assess the level of national food safety in scientific perspectives. This paper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a concept to measure the food safety of the food chain based on OECD PSR framework. This paper discusses the elaboration of a set of 8 food safety related data issued as statistical data, and which were same weighted. These food safety statistical data (FSDs) were derived as the basis of measuring the variation of food safety during 2013-2019. The values of the primary production indicator (PPI), the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indicator (PMI), and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dicator (DCI) are 0.558-0.859, 0.533-0.691, and 0.979-0.982, respectively. The food safety status (FSS) derived from the safety indicator values of each of the three stages is 0.700-0.810.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food safet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MI and PPI management. In the future,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level of food safety, managing it like the level of psychological safety, and further expanding it to the level of food safety between countries will help establish policies to improve the level of food safety in Korea.

한국사회에서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A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safety problems in Korean society)

  • 한덕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spc호
    • /
    • pp.35-55
    • /
    • 2003
  • 최근까지 한국사회에서 각종 대규모 안전사고가 발생한 배경에는 국가에서 지난 30여년간 경제성장과 산업의 발전을 목표로 추구하면서 정책으로 안전체계를 구축하지 못한 문화의 특수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 관점에서 현재 한국사회의 안전체계를 구성하는 주체들의 심리와 행동 특성을 분석하고, 이어서 안전 분야에서 심리학이 기여할 수 있는 영역과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먼저 총체안전체계의 관점에서 체계를 구성하는 단위로서 안전관리의 책임을 맡은 정부, 안전상품과 써비스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기업, 안전상품과 써비스를 소비하면서 한편으로 공동체의 안전생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시민들, 그리고 안전을 위한 시민운동 단체를 구별하고 이 네 주체들이 각각 어떤 특징들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 분석을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심리학이 안전체계를 구성하는 네 주체들의 안전심리와 행동을 연구하여 개선하는데 응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영역들로는 인지심리가 토대가 되어서 인간-기계체계를 다루는 인간공학 연구와 아울러 안전심리와 행동에 관한 사회행동 연구가 기초가 된다고 보았다. 이 연구들을 기초로 여러 전공의 심리학자들이 협력하여 안전체계를 구성하는 정부, 기업, 시민, 시민단체 및 언론에 전문지식과 정보를 만들어서 제공하여야 한다. 그리고 실제로 안전분야에 따라서 각종 기관에서 대중의 태도변화에 활용할 수 있는 홍보 계획과 아울러 각 주체들의 행동변화 계획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도 지적하였다. 이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도로교통 안전 분야에서 필자가 한국 운전자의 음주운전 행동을 연구한 결과를 예로 들어서 한국사회의 안전체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전망과 장래 연구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 PDF

재해방지를 위한 한국형 생활변화단위 모형의 개발 - 중부지역 거주 기혼 근로자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ife Change Unit Model for Accident Prevention - Focused on the Married Workers Living in the Middle Area -)

  • 강영식;최만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8-123
    • /
    • 2004
  • The more the lift environment eastern idea, culture, factory automation system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mplicates, the more the various human error brings about. It brings about all kind of accidents and occupational diseases. Also the death and sickness or injury by psychological stress among the human error has increased every year.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the Korean lift change unit model through statistical testing with the proposed life change unit factors on the married workers living the middle area. The proposed model can be simply used in order to minimize the industrial accident and human error in real fields. Finally, the result will be helpful for the better safety management.

노동재해에 대한 산업심리학적 고찰 (An Industrial Psychological Study On Labor Accidents)

  • 현영기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1-48
    • /
    • 1980
  • Industrial Psychology is to study and analyze human behavior or working at operation, both to look into the rules in that and to make analysis of rules made from theological basis adapted to reality, wi th methods and knowledges that Psychology gives, by methods that are observation, experiment , investigation and so on,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promoting the Laborer's welfare, In this paper, the side of Psychology in labor accidents will be studied as follows. 1.The Presentation of Problems 1.1. Concept prescription of Industrial Psychology 1.2. Relation between Industrial psychology and accidents 2.The Theorical approach of Industrial Psychology for accident study 2.1 Industrial Psychology in approach of accident study 2.2. Cooperative effort from other corvelative science 3. Industrial Psychologic observation on important safety policy 3.1. Study of accident origin 3.2. Safety of material equipment 3.3. Safety of work condition 4. Industrial psychological subject on safety instruction development 4.1. Safety instruction and attitude of laborers 4.2. Operation of safety rules 4.3. Safely counselling 4.4. Measures for the injured 5. Conclusion.

  • PDF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조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77-88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M대학의 간호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에 유의한 양의 상관(r=.480, p<.001, r=.426, p<.001)이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안정감(β=0.352, p<.001), 신체적자기개념(β=0.236, p<.001)이었고, 설명력은 26%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그 방안으로는 간호대학생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가이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학업만이 아닌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 시설의 제공이 필요하다.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refighters

  • Elisabetta Riccardi;Luca Fontana ;Daniela Pacella;Fabio Fusco;Ilaria Marinaro;Giovanna Costanzo;Francesco Vassallo ;Maria Triassi ;Ivo Iavicol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3호
    • /
    • pp.317-324
    • /
    • 2023
  • Background: COVID-19 pandemic represented a unique stressful event that affected th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WB)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Monitoring PWB is essential not only to clarify the burden on mental health effects but also to define targeted psychological-supporting measures. This cross-sectional study evaluated the PWB of Italian firefighters during the pandemic. Methods: Firefighters recruited during the pandemic period filled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sychological General Well-Being Index, during the health surveillance medical examination. This tool is usually used to assess the global PWB and explores six subdomains: anxiety, depressed mood, positive well-being, self-control, general health, and vitality. The influencing roles of age, gender, working activities, COVID-19, and pandemic restrictive measures were also explored. Results: A total of 742 firefighters completed the survey. The aggregate median PWB global score was in the 'no distress"" range (94.3 ± 10.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studies conducted using the same tool in the Italian general population during the same pandemic period. Similar findings were observed in the specific subdomains, thus suggesting that the investigated population was in good PWB condition. Interestingly,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were detected in the younger firefighters. Conclusion: Our data showed a satisfactory PWB situation in firefighters that could be related to different professional factors such as work organization and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In particular, our results would suggest the hypothesis that in firefighters, maintaining a minimum/moderate level of physical activity (consisting of even just going to work) might have a profoundly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일과 생활의 균형(WLB)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정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 최수형;이정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83-92
    • /
    • 2020
  • 국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구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 WLB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WLB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심리적 안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이 변수들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 밝히는 효과를 기대한다. 셋째,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논문은 구체적인 연구 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실증하였으며, 심리적 안정감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더 포괄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 SPSS 25.0과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 연구를 통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LB는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정감은 WLB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안정감은 WLB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WLB와 심리적 안정감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결론 부분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응급분만 시뮬레이션 교육 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Simulation Education about Emergency Delivery for Paramedic Students)

  • 백미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98-103
    • /
    • 2014
  • 본 연구는 응급분만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41명의 자신감, 심리적 안전감과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시각적 상사 척도로 교육 전후 자신감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21 문항의 교육 만족도 측정도구와 10 문항의 심리적 안전감 측정도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는 나이(t = -2.22, p = 0.03)에서, 심리적 안전감은 성별(t = 3.70, p = 0.00)과 나이(t = -3.65, p = 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교육 전 후 자신감은 교육 후 6.22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 = -5.878, p = 0.000). 만족도와 심리적 안전감간은 강한 정의 상관관계(r = 0.516, p = 0.001)가 나타났다. 교육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심리적 안전감(t = 3.021, p = 0.005)과 교육 후 자신감 (t = 1.936, p = 0.06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교육이 적절한 대안교육임을 알 수 있지만 현장 맞춤형 응급구조사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개발, 충분한 인력과 교육시간을 통한 반복교육이 필요하다.

도보여행자의 심리적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도보길 환경과 정보시설물의 설치 현황 - 제주올레 16코스와 사라봉·별도봉 산책로, 강릉바우길 8구간과 경포호 산책로를 대상으로 - (Installation Status of Information Facilities and Condition of Walking Road Influencing to Psychological Safety of Walking Tourists - Focusing on the Course No. 16 of Jeju Olle Trail, Sarabong·Byeoldobong Walkway in Jeju and the Course No. 8 of Bougil, Gyeongpo Lake Walkway in Gangneung -)

  • 변경화;김영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5-3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stallation status of information facilities and condition of walking road influencing to psychological safety of walking tourists. For this purpose, four roads for walking tour are selected; the course no. 16 of Jeju Olle Trail, Sarabong Byeoldobong walkway in Jeju and the course no. 8 of Bougil, Gyeongpo Lake walkway in Gangneung. Facilities installed on roads for walking tour are classified into four facilities; safety facility, information facility, amenity facility, local cultural facility. In order to consider installation status of information facilities and condition of walking road influencing to psychological safety of walking touris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ed focusing on the course no. 16 of Jeju Olle Trail. Thirteen cases were happened as confusing situation while walking tour. Of the 13 cases, the situation of being lost and wandering on the trail accounted for six cases. In contrast to the expectation that the situation of being lost and wandering would occur only at a crossroads, it is not that such situation took place at specific places like a crossroads or where direction signs were inaccurate. Walking tourists of this field experiment also confronted situations of having lost confidence about continuing the ongoing direction, of having anxiety over walking a walking trail, of feeling discomfort caused by walking and of being offended by uncomfortable or messy areas of walking trial. These confusing situations are happened inappropriate installation of direction sign, so direction sign is needed to install more carefully and deta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