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Display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8초

Interactive lens through smartphones for supporting level-of-detailed views in a public display

  • Kim, Minseok;Lee, Jae Yeol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73-7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providing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lens among multi-users for supporting level-of-detailed views using smartphones in a public display. In order to provide smartphone-based lens capability, the locations of smartphones are effectively detected and tracked using Kinect, which provides RGB data and depth data (RGB-D). In particular, human skelet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Kinect 3D depth data to calculate the smartphone location more efficiently and correctly with respect to the public display and to support head tracking for easy target selection and adaptive view generation. The suggested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lens using smartphones not only can explore local spaces of the shared display but also can provide various kinds of activities such as LOD viewing and collaborative interaction. Implementation results are given to show the advantage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모바일 장치와 공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특성에 기반한 Adaptive UI 설계 방안 (Method for Designing Adaptive UI Based on User's Context in the Environment Including Mobile Device and Public Display Device)

  • 강승수;고현;윤희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1-194
    • /
    • 2012
  • The one of the most meaningful change in the recent ubiquitous environment is the omnipresence of public digital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ubiquitous information. It is the important issue to provide publicity as well as adaptive information to each user in the field of the public digital display device. This research proposes the idea ensuring fast response speed by the selection of user preference function. The preference function is selected by statistics using Zipf distribution in the system comprising mobile device and digital display device based 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idea is proved by CPM-GOMS model and the improvement of user response can be achieved.

Pixel-Isolation Walls of Liquid Crystal Display Formed by Anisotropic Photoreaction of the Prepolymers Containing Cinnamate Moiety

  • Jung, Eun-Ae;Sung, Shi-Joon;Cho, Kuk-Young;Kim, Dae-Hwan;Son, Dae-Ho;Kang, Jin-Kyu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879-882
    • /
    • 2009
  • A pixel isolation wall of liquid crystal display is fabricated by the anisotropic photoreaction of a cinnamate based prepolymer. The various oligomers containing a cinnamate moiety were synthesized and used for the formation of the pixel isolation wall. The anisotropic photoreaction of cinnamate moiet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liquid crystal orientation at the polymer wall boundary.

  • PDF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From Ambient to Interactive: Human-Digital Art Interaction on Public Display Based on the Spatial Relationship)

  • 안미혜;원광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069-1074
    • /
    • 2009
  • 공공디스플레이는 상호작용이 없는 일 방향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미디어의 전환이 일어나는 매체로 변해가고 있다. 쌍방향적인 공공디스플레이를 보는 관점 또한 여러 가지인데, 크게 HCI적인 측면에서 인간과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다. 특히 넓은 의미로서의 HCI로 공공디스플레이에서 인간과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아트의 상호작용을 인식하고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공공디스플레이에서 더욱 풍부한 미디어 경험을 제공하고자, 보는 거리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 그리고 보는 주체의 방향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랙션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인터랙션 모델이 미디어 아트에 적용되는 사례를 실험 작품 제작을 통해 테스트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향상된 인터랙션 모델 제안을 위해 HCI 분야에서 두 가지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먼저 상황 분석적 접근(Context Analytic Approach)으로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거리에 의존한(Distance-dependent) 다단계 인터랙션 모델들에 기반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랙션 모델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방법론으로서 사용자 분석적 접근(User Analytic Approach)의 측면에서 HCI 분야의 아우라(Aura) 개념을 도입하여 보는 주체의 방향(Direction)에 의존한 상호작용이라는 목적성을 가지고 재정의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두 방법론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공디스플레이에서 인간과 디지털 아트 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종 인터랙션 모델(Interaction Model)을 제시한 다음,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실험하였다.

  • PDF

국내.외 PV 통합 프로젝트의 사례분석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Photovoltaic Integrated Projects)

  • 윤성원;김혜성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85-94
    • /
    • 2008
  • 본 논문은 국내 외 PV 통합 프로젝트를 구조 디자인의 시각에서 평가한 논문이다. 국내 외 대표사례를 공공시설과 전시시설로 구분하여 국내 사례 3가지, 해외사례 3가지의 대표 사례를 들었다. 평가항목은 건축물과의 자연스러운 통합, 엔지니어링디테일, 혁신적인 새로운 설계의 항목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의 공공시설 및 전시시설은 주로 옥상층에 독립지지방식을 사용한 사례가 많았으며 아직 디자인적 통합부분에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전시시설은 건축물 설계단계에서부터 PV 패널을 염두에 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그에 비해 해외 공공시설 및 전시시설의 경우는 주로 모듈 접합방식을 사용하면서 구조적인 통합과 디자인적 통합을 동시에 이루었으며 사용하는 PV패널의 종류도 좀 더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공공도서관의 테마전시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및 이용행태 변화 연구 (A Study on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 Changes after Using the Theme Display Service)

  • 정유라;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45
    • /
    • 2017
  •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Invited Paper, A novel LCD using S-IPS technology for the application of public display

  • Kim, Kyeong-Jin;Park, Su-Jung;Choi, Sang-Ho;Kim, Jin-Ho;Shin, Hyun-H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649-1651
    • /
    • 2008
  • A novel configured S-IPS LCD has been developed introducing a new compensation film with an anti-reflective layer. This new technology provides wide viewing characteristics as well as excellent visibility under bright indoor lighting or natural lighting.

  • PDF

버스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대중교통 HUD 기술 개발과 성과 (Development and Achievement of Head-Up Display in Public Transit for Reducing Accidents)

  • 노창균;박범진;강원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13-521
    • /
    • 2014
  • 우리나라의 교통혼잡비용은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는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를 적극 장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중교통은 혼잡비용 절감에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수단이므로 교통사고 발생시 그 심각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대중교통의 사고 주 원인으로는 버스운전자의 업무부담 과중으로 인한 전방 및 측방 주시태만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사고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대중교통 HUD를 개발하였다. 버스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수직면에 가까운 자동차 윈드실드에 정보표출이 가능한 광학 및 광원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버스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표출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또한 뇌파분석 등을 통해 표출정보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색상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중교통 HUD는 버스 등 대중교통의 운전자 업무부담을 감소시키고, 전방으로 시야를 집중시킴으로써 교통사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LAD 관리도의 설계 (Design of Variable Life-Adjusted Display (VLAD) Charts)

  • 이재헌;정상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3호
    • /
    • pp.597-604
    • /
    • 2007
  • 현대 사회에서 건강관리와 공중보건 분야의 이상원인 탐지와 감시를 위하여 관리도 기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외과의사의 수술 수행성과의 변화나 만성병과 전염병 등의 비율 변화를 탐지하는데 관리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건강관리와 공중보건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VLAD (variable life-adjusted display) 관리도를 소개하고, 이 관리도에서 관리한계선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