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Programs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4초

The Specification of Science Education Programs in the Local Public Library: Focusing on the Programs In G-city

  • Ahn, In-J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17-35
    • /
    • 2012
  • The city of 'G' has been made a number of achievements with its science program as a part of public library's cultural program during the last 5 years. Recently, the national science centre has been established in the same city, the debate is now needed whether the science program in the public library have reasons to be maintained or to be reduced. The aim of this research is on the operating strategies of the science program in the public library.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case studies of operational strategies in domestic and foreign science centr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local citizen on the science program, the vision of science program in the advancement of public library in the $21^{st}$ century. In results, the research proposes that the science program in public library should be maintained, but with locally characterised programs. In addition, the study also advised on the provis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the strengthened search fun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user-centred services for those in science fields.

중장년층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이 도서관 인식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Middle-Aged People's Use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y on their Library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 정미옥;김기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81-211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중장년층 이용자를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특성과 문화프로그램 경험이 문화프로그램 인식과 도서관 인식을 통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5개와 서울지역 9개의 공공도서관의 중장년층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246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프로그램 특성 및 경험이 문화프로그램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도서관 인식의 지역 관점은 생활 만족의 개인적 욕구 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도서관의 영향이 일상적인 삶의 영역으로 확산되는 인식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공공도서관 관련 정책 및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키워드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국외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Analysis in the field of Overseas Public Library Programs based on Keyword Profiling)

  • 김판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7-46
    • /
    • 2022
  •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한 능력과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우리사회에 깊이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연구 현황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국외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키워드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LISTA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학술지 논문의 통제키워드(주제어)에 기초하여 주제어 분석, 네트워크 분석 및 군집 분석, 시기별/연도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전역·인기·지역주제에 모두 해당하는 9개 주제들이 국외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외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5개 연구 영역(문화 프로그램, 아웃리치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공공서비스, 지역사회)을 시각화하여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었다. 셋째, 국외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연구는 199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활성화되었고, 그 이후 최근까지는 다소 정체된 상황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공공도서관의 주요 업무로 부상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동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한 결과로서, 향후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적인 데이터 및 사전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 조찬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1-188
    • /
    • 2008
  • 사회의 발전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존재와 그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운영을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론적 중요성을 살펴보고, 현재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는 문화프로그램을 웹페이지를 통하여 다양한 파도에서 조사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서울시 소재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 그램의 운영실태 조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과 그 운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그 목적이 있다.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Collaboration with Public libraries in Facilitating Arts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 심효정;이용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3-177
    • /
    • 2003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지역의 핵심적인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여 실시할 경우 그 성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하에 공공도서관에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교육연계에 따른 현행 공공도서관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지방자치행정기관의 시민참여제도에 기초한 공공도서관의 주민참여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 of Korean Public Library Based on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33-354
    • /
    • 2008
  • 폭넓은 지식과 정보의 열린공간에서 시민들은 지식과 정보의 수준이 높아지고 중앙집권적 행정구도에서 지방분권적 자치행정으로 행정권한의 패러다임이 바뀜에 따라 사회 각 분야에서 직 간접적으로 공공기관에 참석하려는 시민들이 증가하고 그 참여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행정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시민참여제도를 공공도서관의 주민참여측면에서 고찰하였고 지방자치행정기관의 다양한 시민참여제도를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경영을 위한 주민참여프로그램으로 응용하여 보았다. 또한 이와 같은 공공도서관 주민참여프로그램들의 실태를 조사 분석한 후, 주민참여프로그램의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탐색 -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es through Library Cultural Program: Focused on Eco Generation)

  • 이경아;김기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35-361
    • /
    • 2018
  • 본 연구는 에코 세대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 및 인식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에코 세대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및 그 분석을 통해 문화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그 기저에서 드러나는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프로그램 비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이 타 기관의 프로그램과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가능성 높은 원인으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의 결여가 지목되었다. 따라서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 강화를 위한 향후 연구,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협력, 지역 내 문화 관련 기관과의 협의 및 정책관점에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제언 (Recommendations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s)

  • 김은지;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현황을 노인 이용자들과 사서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나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하고자함에 있다. 노인 이용자와 사서들의 노인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ALA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강사진의 우수한 자질과 이의 유지를 위한 정기적인 평가,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자원의 제공, 넷째,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홍보, 다섯째, 도서관 직원의 친절한 태도 및 전문성 유지, 여섯째, 정기적인 도서관 직원 교육, 일곱째, 노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편의와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교육, 여덟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자료, 시설 및 설비, 아홉째, 여가 시간 활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 열 번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편리한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이에 덧붙여 도서관 사서들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식 서비스와 프로그램, 둘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장서, 시설 및 설비, 셋째, 노인 서비스를 위한 예산 확보, 넷째, 노인 서비스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두 집단 모두 노인이용자를 위한 맞춤 서비스, 프로그램, 장서, 시설, 설비가 필요하며 노인 서비스 전문 사서와 이들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 of Capacity Building and Attitude to Work of librarians in Edo State Public Libraries, Nigeria

  • Omigie, Christopher Agbeniaru;Bosah, Gabriel Ejiob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35-45
    • /
    • 2020
  • This study is on capacity building and attitude to work of librarians in Edo State public libraries, Nigeria. Investigation was on the capacity building programs in the Edo State public libraries, the levels of librarians'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methods of building the capacity programs, influence on the librarians' attitudes to work and factors militating against the programs.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adopted for the study and the entire population of 23 librarians were used. Results indicate that the capacity building programs in the library include computer literacy skills,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 (OPAC), Internet collection management and general trends in librarianship. The methods used in building the capacity programs in the library include conferences, workshops/seminars, on-the-job and internally organized courses. Respondents indicated very low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and a negative influence of the programs on their attitudes to work. Various problems were identified as militating against the capacity building programs and solutions were suggested.

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for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윤아란;리상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7-206
    • /
    • 2015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중 미술 분야의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관한 문헌연구, 국외 공공도서관에서 수행하는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사례조사, 국내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담당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내용을 토대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운영 개선을 위한 지침을 운영 요소와 내용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도서관에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