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ple rice bra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Purple Rice Bran Extract Attenuates the Aflatoxin B1-Induced Initiation Stage of Hepatocarcinogenesis by Alteration of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 Suwannakul, Nattawan;Punvittayagul, Charatda;Jarukamjorn, Kanokwan;Wongpoomchai, Rawiw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371-3376
    • /
    • 2015
  • Pigmented rice bran has been suggested to be a valuable source of beneficial phytochemicals. We investigated genotox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purple rice bran extract (PRBE) in rats using a liver micronucleus assay. Purple rice bran was extracted with methanol, obtaining large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anthocyanins and small amounts of gamma-oryzanol. The experimental protocols were divided into two sets. Mal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was a negative control, while Groups 2 and 3 were fed with 100 and 500 mg/kg bw of PRBE, respectively, for 28 days. PRBE had no effect on micronucleus formation or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in rat liver. Experiments concerning the effect of PRBE on $AFB_1$ showed that PRBE significantly lessened the amount of micronucleated hepatocytes in $AFB_1$ treated rats. Furthermore, it modulated metabolic activation of $AFB_1$ metabolism in the liver by suppressing activity and protein expression of CYP1A2, CYP3A and CYP 450 reductase, and enhancing phase II enzymes including GST and UGT. Overall, purple rice bran extract was not genotoxic in rats. It exhibited anti-genotoxicity by modulation some xenobiotic enzymes active in $AFB_1$ metabolism.

한국산 유색미 속겨의 안토시아닌 색소에 의한 견직물염색 (Silk Dyeing Method in Natural Pigments - In Case of Korean Colored Rice Bran -)

  • 이혜자;유혜자;김정희;이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3-269
    • /
    • 2002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fficient use of the colored rice bran fur dyeing textiles. To investigate the fabric dyeability of the colored rice bran extract, the anthocyanin pigments were extracted with water of different temperature ranges of 40 ~ 8$0^{\circ}C$ and were dyed on silk fabrics with different dyeing temperature $25^{\circ}C$~6$0^{\circ}C$, at acidic pH and neutral pH, respectively. Aluminum chloride was preheated with mordant K/S value and dyeing fastness of dyed silk fabrics were examined. The anthocyanins of the colored rice bran were stable and red color at acidic pH, red purple or purple blue at neutral pH, but unstable, blue color at alkaline pH. If extracting temperature and dyeing temperature of dyeing solution were higher, the dyeability was high, but the color of dyed fabric showed red tone. When extracting temperature was 8$0^{\circ}C$ and dyeing temperature of dyeing solution was 6$0^{\circ}C$, the dyeability was best. Without mordant, the dyeability of silk fabrics was higher in acidic pH than in neutral pH solution. With mordant, the dyeability was higher than without mordant, and also higher in acidic pH. Pretreatment of aluminum chloride resulted in the increase of color intensity and stability. The laundering fastness of dyed fabrics was good from grade 5 to grade 3-4. Because of the anthocyanins sensitivity on light radiation, the light fastness of dyed fabrics was poor from grade 3 to grade 1-2.

종피색이 다른 벼 품종의 영과 쌀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변이 (Vari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ull and Bran Extracts in Different Colored Rices)

  • 신소희;정남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7-303
    • /
    • 2011
  • 종피색이 다른 세 품종을 이용하여 총페놀함량, 항산화활성 및 항암활성의 변이를 조사하였다. 총페놀함량은 흑진주벼의 쌀겨와 영이 적진주벼와 일품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흑진주에서는 쌀겨가 영보다 함량이 높았으나 다른 두 품종은 영이 쌀겨보다 함량이 높았다. DPPH 자유기 소거능은 흑진주와 적진주의 활성이 일품벼 보다 높았으며, 쌀겨 추출물이 영 추출물보다 훨씬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흑진주의 쌀겨 추출물이 다른 품종의 쌀겨 추출물보다 3~16배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적진주와 일품에서는 영 추출물의 활성이 쌀겨 추출물보다 높았다.$ABTS^+$ 라디컬 소거능은 일품벼의 영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세 품종에서 모두 영 추출물이 쌀겨 추출물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HepG2 cell에 대한 항암활성 검정 결과, 쌀겨 추출물보다 영 추출물의 항암활성이 평균적으로 20%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적진주벼와 일품벼의 영 추출물은 92% 정도의 유사한 활성을 보였고, 흑진주벼는 30.4%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벼 영 추출물의 항암활성은 총페놀함량, PDDH 자유기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쌀겨 추출물은 페놀함량이나 항산화 활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벼의 쌀겨와 왕겨는 강력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보였으며, 종피색이 다른 3가지 벼 품종에서 총페놀함량, 항산화 활성, 그리고 항암활성의 변이를 나타내었다.

흑남벼 함유 Alkaloid 분리 및 면역효능 연구 (Isolation of Alkaloids with Immune Stimulating Activity from Oryza sativa cv. Heugnambyeo)

  • 유민주;정하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5-70
    • /
    • 2010
  • 유색미인 흑남벼(Oryza sativa cv. Heugnambyeo) 미강의 ethylacetate 가용성 용매분획물로부터 NO 생성을 저해시키는 단일화합물을 순수 분리한 후, HREI-MS 및 2D-NMR 분석을 통해 화학구조를 4-carboethoxy-6-methoxy-2-quinolone (1)과 4-carboethoxy-6-hydroxy-2-quinolone (2)으로 명명하였다.

유색미 안토시아닌계 및 탄닌계색소의 추출법 (Extraction Method of Anthocyanin and Tannin Pigments in Colored Rice)

  • 최해춘;조미영;김수언;오세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327-331
    • /
    • 1996
  • 유색미중 길림흑미(자색계)와 자광도(적색계)의 종피(발겨)부분에 함유되어 있는 안토시아닌계 및 탄닌계 색소의 효율적인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메탄올(3):에탄올(7)의 혼합용매의 농도가 70%일 때 가장 색소추출 효율이 양호하였으며, 이보다 농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질수록 추출상태가 불량하였다. 자색계(길림흑미)색소는 0.5%능금산 함유 80%에탄올에서 추출효율 및 안정성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최대흡수파장은 538nm이었다. 그리고 적색계(타닌계) 색소는 0.01%구연산 함유 80%에탄올에서 추출효율 및 안정성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최대흡수파장은 456 nm로 나타났다. 색소추출시 용매온도는 $70^{\circ}C$까지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상대적으로 흡광도가 높아졌으나, $90^{\circ}C$가 넘어 가면 색이 변색되기 시작하였다. 색소추출시 교반시간이 길어질수록 색수추출량이 높아졌으나, 마쇄시간은 10분 정도면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색소추출 후 여과하지 않고 약24시간 정도 냉암소에서 방치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흡광도 측정을 하였더니 추출직후 여과하여 측정하는 방법보다 높은 흡광계수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3G색소 고함유 벼품종의 자유라디칼 소거작용 및 항염효과 (Free Radical Scavening and Inflammatory from the Rice Varieties Contained High C3G pigment)

  • 박순직;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07-112
    • /
    • 2006
  • 국내육성 흑자색미(흑진주벼, 흑남벼, C3GHi벼)와 일반미(일품벼, 추청벼, 동진벼) 품종의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항혈전 항염증활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4 mg/mL농도에서 C3GHi벼와 흑진주벼 추출물이 73.25%, 50.38%의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2. 메탄올추출물의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C3GHi 벼는 258.76%, 흑진주벼는 243.52%의 강한 트롬빈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대조약물로 사용한 아스피린보다(398%) 약하게 나타났다. 3. 공시한 흑자색미와 일반미 품종들은 COX-1과 COX-2에 대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C3GHi벼는 PD2에 대한 항염활성을 보였다. 4. H. pylori균에 의해서 나타나는 AGS cell line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흑자색미 추출물은 $250{\mu}g$$500{\mu}g$ 처리군에서 모두 H. pylori균의 AGS cell line에 대한 부착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일반미 추출물은 H. pylori 균에 대한 저해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Zone assay에 의한 항균실험결과 흑자색미 추출물은 $200{\mu}g/mL$의 농도에서 ATCC 43504 및 COO1 균주에 대해서 clear zone이 검출되어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SEO 균주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흑미(현진주벼)유래 안토시아닌의 항산화능 탐색 (Isolation of Anthocyanin from Black Rice (Heugjinjubyeo) and Screening of its Antioxidant Activities)

  • 박영삼;김선중;장효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0
    • /
    • 2008
  • 유색미는 회색 빛 외에 붉은색 흑은 보라색 계통의 색소를 겨 부분에 함유하고 있다. 특히, 흑미는 예로부터 건강식품으로 여겨져 왔다. 흑미(흑진주벼)는 최근에 anthocyanin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원으로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Anthocyanin은 수용성의 색소로서 flavonoid계통의 대표 색소로 알려져 왔다. 흑미에 함유되어있는 Anthocyanin으로는 cyanidin 3-O-glucoside와 peonidin 3-O-glucoside, malvidin 3-O-glucoside, pelagonidin 3-O-glucoside, delphinidin 3-O-glucoside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흑미로부터 amberlite XAD7 chromatography방법을 사용해서 anthocyanin을 추출 후 HPLC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분석 및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흑미의 anthocyanin 추출물 중 95%가 cyanidin 3-O-glucoside, 5%가 peonidin 3-O-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in vitro상의 여러 가지 실험방법을 통하여 anthocyani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0g/ml 농도의 anthocyanin추출물은 90%이상 linoleic acid emulsion의 과산화를 억제하였고, 55.20%의 DPPH 자유 라디칼 제거효과, 54.96%의 superoxide 자유 라디칼 제거효과, 72.67%의 과산화수소 제거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또한 높은 환원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준 항 산화 물질로는 BHA, BHT, ${\alpha}-tocopherol$을 사용하였다. 이 결과로 보아 anthocyanin추출물은 새로운 항산화 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Ruminal Degradability of Tropical Feeds and Their Potential Use in Ruminant Diets

  • Chanjula, P.;Wanapat, M.;Wachirapakorn, C.;Uriyapongson, S.;Rowlinson,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11-216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gradability of cassava chip (CC), cassava waste (CW), yellow sweet potato (YP), white sweet potato (WP), purple sweet potato (PP), corn meal (CM), and rice bran (RB) using in situ technique. Two ruminally fistulated steers with an average weight of $303{\pm}10kg$ were used to determine in situ degradabilities of DM and OM. Seven feed sources were weighted in nylon bags ($38{\mu}m$ pore size) and incubated ruminally for 1, 2, 4, 6, 8, 12, 24, and 48 h. The results showed that asymptote (a+b) and effective degradability (ED) of DM of energy sources ranked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CC, YP, WP, PP, RB, CW, and CM (99.3, 92.5; 97.6, 87.9; 97.5, 87.9; 97.2, 87.8; 87.5, 63.6; 78.6, 63.0 and 81.7; 59.3, respectively) and for OM asymptote (a+b) and effective degradability (ED) were similar to those of degradation of DM (99.4, 93.4; 98.8, 89.8; 98.5, 89.4; 98.4, 88.1; 92.4, 65.8; 85.1, 66.9 and 83.6, 63.3,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disappearance characteristic of CC was the highest and it may potentially facilitate the achievement of optimal ruminal availability of energy: protein especially with NPN for microbial protein syn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