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pose of Reading

검색결과 1,124건 처리시간 0.031초

조선시대 독서론의 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Reading Theory in the Age of Yi Dynasty)

  • 김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3-263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독서론에 대해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서의 목적, 과정과 방법으로 요약 . 정리하여, 조선시대의 독서론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전통적인 독서론이 오늘날 어떻게 계승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에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수기와 치학, 즉 학문의 과정 그 자체에 독서의 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독서의 과정은 읽을 책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체계적인 순서를 정해 놓았으며, 또한 책을 읽는 방법은 숙독을, 책 읽는 자세는 도를 실천하는 자세로 정성을 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독서를 득력의 수단으로 생각한 선조들의 정신은 그대로 이어받되 오늘날 독서의 영역은 책읽기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넓어져야하며, 오늘날독서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는 인간의 정신적 성숙을 위해 인생의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체계적인 추천도서목록이 다각도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 PDF

Investigating Effect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on Reading Engagement: Managing Globalized Education

  • HUO, Naihean;CHO, Yoonche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5호
    • /
    • pp.17-26
    • /
    • 2020
  • Purpose: Previous studies rare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on reading engagement, particularly in globalized higher education, while those studies examined reading problems and engagement with lower reading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including global reading,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reading on reading engagement that include argentic, behavior,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in global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questions: how do global reading,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reading strategies affect argentic, behavior, emotional, and cognitive reading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data via online survey in globalize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pplied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actor and regression analyses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reading engagement while they were reading class materials in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in higher education by providing better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skills in global context.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strategies could be improved by adopting better management systems in globalized education.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Young Adults'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한윤옥;이연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7-154
    • /
    • 2008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과제와 운영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대상의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42곳으로부터 응답한 설문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교육의 지향과 청소년 독서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

조선시대 독서론에서의 독서 목적과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Reading on the Reading Theory in the Cho-seon Dynasty)

  • 소병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31-50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 분야별 전통적 독서론의 선행연구를 참고해 문헌정보학 분야에 있어 조선시대의 독서 목적과 방법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선행연구에서 조선시대의 독서 목적은 입신양명형과 도학주의형, 그리고 문제해결형으로 구분하였으나 이 연구는 유교 사상적 용어를 배제하고 교육적 의미로 조정해 '수양을 위한 독서'와 '실용을 위한 독서'로 대별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의 독서 방법은 주자의 다양한 독서법 가운데 '숙독정사'의 방법을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설명하였다. 숙독은 한자로 쓰인 독서 자료에 대한 축어적 해독을 위하여 소리내어 읽기, 외워 읽기, 반복해서 읽기를 독서 방법으로 한다. 정사는 해독 이후 깊이 있는 내용의 이해를 위하여 기록하며 읽기, 엮어 읽기, 반복해서 읽기를 독서 방법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숙독정사의 다양한 독서 방법은 오늘날 독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만큼 유용하다. 아울러 조선시대 독서 목적인 수양을 위한 독서는 오늘날 교양 독서로, 실용을 위한 독서는 학습독서로 이어지는 반면, 문학 중심의 흥미를 위한 독서는 조선시대 독서론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및 독서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Culture Program and Reading Activity)

  • 이경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27-15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24개 공공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과 독서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된 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 및 독서 활동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서울시 24개 공공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과 독서 활동의 실태를 조사 분석한다. 또한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의 모델로 노원어린이도서관 독서활동 특성화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 PDF

사례분석을 통한 공공 도서관 어린이 열람실의 실내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 Children's Reading Room In Public Libraries with Case Analysis)

  • 전세란;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3-96
    • /
    • 2008
  • The childhood reading and physical environments are an important factor for shaping personality and values established. Therefore, We have to provide a quality environment for correct reading habits to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interior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case stud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analyzed of 5 children's reading room of public libraries built in Seoul since 2000. especially the research which it analyzed these reading room of forms of space, furniture, color, finish material, ligh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 Chairs and desks were not considered of children's scale or uniformly made. compositions of convenient facilities has insufficient component. finish material and lighting plan is similar to adults reading room plan. To give correct reading habits and interest to children, considered space design is necessary.

  • PDF

Effects of Cultural Teaching through Movies in English Classes on EFL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Reading

  • Baek, Ji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177-182
    • /
    • 2020
  • In the age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municating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s significantly important. Regarding this perspective,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been the focus in the EFL educationa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movies in a culture-integrated English reading course at the college leve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pre- and post-reading comprehension tests, pre- and post-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using movies in the culture-integrated English reading class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towards English reading as well as their reading achievement. In this respect, we suggest that cultural teaching through movies in English classes should be learner-centered so that learners can proactively analyze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hown in the movies and build schemas which can be used in their learning process.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 교과서 수록 읽기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최영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29-44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독서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통합사회 주요 교과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였고, 읽기자료의 분석 기준은 주제 유형, 목적, 학생 활동이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에는 인간, 자유, 문화, 환경, 지구 등 다양한 주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개념과 연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국어교과는 한단원에만 '한 학기에 한권의 책 읽기'라는 단원이 신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읽기자료가 효과적인 독서 전략이나 독서 방향에 대한 안내가 없으며, 읽기자료의 양이 부족하고 확장적 독서를 위한 자료나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학습 내용을 단순하게 보충하거나 개념 이해를 위한 단편적인 단서로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의 읽기자료 제시가 나열식으로 단순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독서 흥미, 독서의 내면화 그리고 독서 확장을 위한 도구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의 확장을 위한 읽기자료의 보조 자료를 제안하고, 교과서 구성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 대한 제안을 통해 교과서와 독서교육의 발전적 관계를 모색해보았다.

Use of Reading Aloud Method in a Formal College-Level English Reading Classroom

  • Jeon, Jongmi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3호
    • /
    • pp.57-7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reading aloud as a way of teaching English reading in a formal college-level English reading classroom. The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ding aloud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reading ability in terms of comprehension and speed and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use of reading aloud in an English reading classroo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6 third year students at a college. The results of the cloze test and reading speed test showed that reading alou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reading ability. The students received higher scores in the cloze test after the course and read a text faster than before the course. The analysis of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 students in the study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use of reading aloud in an English reading classroom. Most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reading aloud wa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thei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ed. However, the students were not fully satisfied with the reading materials us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reading aloud may be incorporated into a formal English reading classroom effectively.

  • PDF

아동학,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의 읽기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Read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hild Development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박찬화;김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7-1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ding habits, reading patterns and reading motivation of 362 college students from the capital area majoring in child development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70 percent of students spent less than three hours a week on reading academic or school-related material, and 75 percent spent less than three hours a week on independent or recreational reading. Students most preferred reading the "cultural" genre and least preferred reading the "human life(spiritual)" genre. The "cultural" and the "human life(spiritual)" genres also represented the most and least frequently read genres, respectively. Secondly, students presented high-level reading patterns, in that they previewed the reading material before reading, understood the meaning of it during reading, and shared their reading experience with others after reading. Thirdly, the average reading motivation levels scored near the midpoint on a five-point scale. Fourthly, students with higher reading motivation levels displayed higher reading frequencies and preference levels for each genre, with the exception of the "fiction and humor" genre. Moreover,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reading motivation received higher ratings for their reading patte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