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 dentata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2초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trichomes in reciprocal hybrids of Quercus dentata and Q. serrata

  • Lee, Jeong-H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4-79
    • /
    • 2009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in 8- to 11-year-old reciprocal hybrids of Quercus dentata and Q. serrata were investigated. The reciprocal hybrids had obovate to obovateelliptic leaves that were smaller than those of Q. dentata but similar to Q. serrata in their leaf size, obtuse leaf apex, narrow-tipped leaf base, and shape of small to intermediate-sized serrations. The ray length of stellate hairs was intermediate between those of the parents, and the hairs showed dense growth. Long single hairs are present among the stellate hairs on the abaxial side of the leaves. Therefore, the hybrids of Q. dentata and Q. serrata could be identified by the size and shape of leaves, shape of serrations, and type of leaf trichomes.

참나무류 및 이들 잡종(雜種)의 개아기(開芽期) 차이(差異) (Variation in Flushing Times of Quercus Species and Their Hybrids)

  • 이정호;하시주메 하야토;야마모토 후쿠;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194-200
    • /
    • 1998
  • 천연림내의 참나무류와 자연 수분된 종자 및 인공적인 종간 교잡 종자를 양묘해서 키운 묘목의 종 및 잡종 간의 개아기(開芽期) 차이를 조사하였다. 금산연습림(禁山演習林)의 천연림에서 개아(開芽)는 Q. crispula > Q. anguste-lepidota > Q. takatorensis ${\fallingdotseq}$ Q. serrate > Q. dentata 순으로 진행되었다. 자연 수분된 종자로 양묘한 묘목에서는 Q. aliena ${\fallingdotseq}$ Q. crispula > Q. anguste-lepidota > Q. takatorensis ${\fallingdotseq}$ Q. serrate > Q. dentata 순으로 개아(開芽)하였다. 종간 교잡의 묘목에서 $F_1$의 개아기(開芽期)는 양친종의 사이에 속했지만, 개아기(開芽期)가 빠른 양친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간교잡의 결과를 통해서 추정할때 참나무류의 개아기(開芽期)의 빠르고 느린 특성은 유전적인 지배를 받아, 후대에 유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참나무류 4개 수종의 맹아발생력 및 맹아생장량 -경기도 광주지방 신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천연임분을 대상으로- (Sprouting and Sprout Growth of four Quercus Species -At Natural Stands of Querucs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and Q. dentata Growing at Kwangju-Gun, Kyonggi-Do-)

  • 이돈구;권기철;김영환;김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61-68
    • /
    • 2000
  • 경기도 광주군 태화산에서 신갈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4개 참나무류 임분에 대해 1995년도 벌채후 맹아지 발생량과 생장량을 1996년과 2000년에 측정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⑴ 벌채후 참나무류 4개 수종의 맹아발생력은 신갈나무>굴참나무>떡갈나무>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⑵ 계절별로 겨울-초봄에 벌채하였을 참나무류 4수종 모두에서 맹아지수가 가장 많고 생장량도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여름철에 가장 맹아발생력이 낮게 나타났다. ⑶ 참나무류중 맹아의 초기 직경생장량이 가장 큰 것은 상수리나무이며, 그 다음으로 신갈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순이었으나, 5년후에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⑷ 맹아의 수고생장량은 벌목 2년후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순에서 5년후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⑸ 굴참나무와 상수리나무는 경쟁에 의해 고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맹아갱신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무육관리가 필요하다. ⑹ 참나무류에서 벌근직경에 따른 맹아발생은 임령에 관계없이 벌근경이 커짐에 따라 맹아력은 점차 감소되는 반면 맹아의 직경이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 PDF

낙엽성(落葉性) 참나무류 인공교잡(人工交雜) 묘목(苗木)의 엽형(葉形) 특성(特性)(II)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Hybrids on Some Deciduous Quercus Taxa(II))

  • 이정호;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8-23
    • /
    • 2000
  • 3~5년생 참나무류 인공잡종 묘목의 잎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Quercus serrata, Q. dentata, Q. crispula, Q. aliena간의 교잡 $F_1$에 대한 잎의 크기(잎의 길이, 잎의 넓이)는 많은 조합에서 양친종의 중간 크기였다. 잎자루 길이는 Q. aliena ${\times}$ Q. crispula $F_1$이 가장 작았고, Q. aliena ${\times}$ Q. serrata $F_1$, Q. dentata ${\times}$ Q. aliena $F_1$은 양친종의 중간이었다. $F_1$의 결각의 수는 교배모수에 가까운 것이 많았다. 결각의 깊이와 잎의 형상비는 양친종 중간의 것이 많았다.

  • PDF

Ecological Niche Overlap and Competition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dentata Under Soil Water Gradient

  • Yeon-ok, Seo;Se-Hee, Kim;Eui-Joo, Kim;Yoon-Seo, Kim;Kyeong-Mi, Cho;Jae-Hoon, Park;Ji-Won, Park;JungMin, Lee;Jin Hee, Park;Byoung-Ki, Choi;Young-Han, Yo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29-238
    • /
    • 2022
  • Q. mongolica and Q. dentata are representative species of deciduous forest communities in Korea and are known to be relatively resistant to soil drying condition among Korean oaks. This study attempted to elucidate the degree of competition and ecological nic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pecies by comparing the ecological responses of the two species according to soil moisture. Competition between Q. mongolica and Q. dentata was shown to be more intense under the conditions where moisture content was low than under the conditions where moisture content was high. As for the ecological niche overlaps of the two species for soil moisture, the structural traits of plant such as stem diameter overlapped the most, the traits of biomass such as petiole weight overlapped the least, and photosynthetic organ-related traits such as leaf width and length overlapped intermediately. When looking at the competition for soil moisture between the two species, it can be seen that Q. mongolica won in nine traits (leaf width length, leaf lamina length, leaf lamina weight, leaf petiole weight, leaf area, leaves weight, shoot weight, root weight, and plant weight) and Q. dentata won in the remaining seven traits (leaf petiole length, leaves number, stem length, stem diameter, stem weight, shoot length, and root length). Competition between the two species for the moisture environment of the soil was shown to be intense under the conditions where moisture content was low. The degree of competition between Q. dentata and Q. mongolica for soil moisture is high under the conditions where soil moisture content is low, and it is judged that Q. mongolica is more competitive for soil moisture than Q. dentata.

지리산 웅석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Woongseokbong in the Jirisan(Mt.))

  • 안현철;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47-555
    • /
    • 2010
  • 지리산국립공원의 동부지역에 인접한 웅석봉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밤머리재-웅석봉구간에 방형구($400m^2$) 25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떡갈나무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웅석봉지역의 식생은 신갈나무가 가장 우점하고, 다음으로 떡갈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작아지는 반면에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우점치가 점차 커져 전형적인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혼효림으로 천이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소나무와 산초나무, 생강나무, 신갈나무와 진달래, 쪽동백나무와 철쭉, 쇠물푸레와 산초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과 물푸레나무, 층층나무와 히어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떡갈나무와 신갈나무, 비목나무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와 낙엽송, 굴참나무, 노린재나무와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09832~1.1102 범위로 나타났다.

참나무류의 성장(成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한 연구(硏究)(I) -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의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으로 - (Growth,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Quercus Species (I) - With Reference to Natural Stands of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dentata, and Q. mongolica in Kwangju, Kyonggi-Do -)

  • 박인협;이돈구;이경준;문광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76-83
    • /
    • 1996
  • 참나무류 주요 수종의 성장(成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중부연습림에 위치하고 있는 평균 수령(樹齡) 32-38년생(年生)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등 4개 수종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으로 임분별 $10m{\times}10m$ 조사구 10개씩을 설치 한 후 매목조사(每木調査)를 실시하고 임분별 10주씩 총 40주의 표본목(標本木)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평균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는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임분의 순으로 컸다. 임목밀도(林木密度)는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임분의 순으로 높았다. 현존량(現存量)은 상수리나무 임분 122.73t/ha, 굴참나무 임분 87.03t/ha, 신갈나무 임분 72.14t/ha, 떡갈나무 임분 38.56t/ha의 순으로 많았다.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신갈나무 임분 7.49t/ha/yr., 굴참나무 임분 6.47t/ha/yr., 상수리나무 임분 6.06t/ha/yr., 떡갈나무 임분 3.52t/ha/yr.의 순으로 많았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상수리나무 임분 3.275, 굴참나무 임분 2.898, 신갈나무 임분 2.888, 떡갈나무 임분 1.840의 순으로 높았다. 4개 임분의 순동화율(純同化率) 순위와 순생산량(純生産量)순위가 다른 것은 잎의 현존량(現存量)이 다르기 때문이었으며 순생산량(純生産量) 순위와 현존량(現存量) 순위가 다른 것은 지속적 축적기관인 줄기, 비교적 단기간의 축적기관인 가지, 비축적기관인 잎의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가 다르기 때문이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참나무과(科) 수종(樹種) 도관구조(道管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II) -도관벽(導管壁)의 수식구조(修飾構造)- (A Study on the Vessel Structure of Fagaceae Species in Korea (II) -Micromorphology of Vessel Wall Sculpture-)

  • 이성재;이원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51-66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icromorphology of vessel wall sculpture such as shape of perforation plate, perforation rim, steepness of perforation plate, occurrence of vestured pit, warty layer and ray-vessel pitting on 13 species of Fagaceae in Ko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the species examined, all sample species except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have simple perforation plate. But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has simple and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 (it was called to combination perforation plate) in a tree stem. 2. The shapes of perforation rim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Type A without tail, Type B with small tail on both sides, Type C with long tail on both sides, Type D with tail only one side and Type E with the very short interval between perforations. Among five types, Type Band C have higer frequency of distribution than the others. 3. The steepness of perforation plate measured was about 20 degree on pore zone and 43 degree on outside parts of pore zone. 4. Species with vestured pit were Q. aliena, Q, dentata, Q. variabilis,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Q. acuta, Q. stenophylla, and Q. glauca. But the extent of vesturing was very slight and vestured pits were observed mainly in ray-vessel pit of some vessel elements. 5. Species with warty layer on the inner surface wall of all vessel elements were Q. acuta, Q. stenophylla, Q. glauca,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and species with warty layer of some vessel elements were Q. aliena, Q, dentata, Q. variabili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6. Species with palisade ray-vessel pit were Q. acuta, Q. stenophylla, Q. glauca, Castanea crenata, Castanea bungeana, Q. aliena, Q. serrata, Q. mongolica, and species with scalariform ray-vessel pit was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and species with oval ray-vessel pit were Q, dentat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 PDF

한국산 참나무류 6종 종자의 주요 영양염류 농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Macro Nutrients Concentration in Acorns of Six Oak Species in Korea)

  • 홍용식;유영한;이훈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6-292
    • /
    • 2010
  • 참나무류는 한반도 산림식생의 우점종으로 그 열매인 도토리는 야생동물의 중요한 먹이원이다. 본 연구는 계절에 따라 도토리의 영양염류 함량을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계절별로 채집해 그 함량을 분석했다. 질소 함량은 갈참나무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했고, 떡갈나무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수리나무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여름과 가을에 높았으나, 신갈나무는 봄과 여름에 높았고, 가을에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졸참나무는 가을에 가장 높았고, 굴참나무는 가을에 가장 낮았다. 인 함량은 6종 모두에서 여름에 가장 낮고, 봄과 여름에는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은 계절에 따라 신갈나무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5종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트륨 함량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그리고 졸참나무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했고, 신갈나무는 계절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굴참나무에서는 가을에 가장 높았으며, 상수리나무는 가을에 가장 낮았다. 이상으로 볼 때, 도토리의 영양염류 함량은 계절과 종에 따라 매우 다양했다.

참나무류(類)의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lative Decay Durability of Quercus Species)

  • 민경희;정대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6-25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참나무 6수종(樹種)의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실적(實驗實的)인 방법(方法)으로 실시(實施)되었다.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은 Lentinus edodes 균(菌)과 Pleurotus ostreatus 균(菌)에 의한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로 나타내었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L. edodes 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재종(村種)은 졸참나무(Q. serrata TH.)의 심재(心材)와 갈참나무(Qaliena BL.)의 변재(邊材)였으며, 상수리나무(Q. acutissima C.)의 심재(心材)와 떡갈나무(Q.dentata TH.)의 변재(邊材)가 가장 약하였다. 2. P. ostreatus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재종(材種)은 졸참나무(Q. serrata TH.)의 심재(心材)와 갈참나무(Q. aliena BL.)의 변재(邊材)였으며, 굴참나무(Q. variabilis BL.)의 심재(心材)와 떡갈나무(Q. dentata TH.)의 변재(邊材)가 가장 약하였다. 3. 참나무 6수종(樹種)의 절단고(切斷高)에 다른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은 일관(一貫)된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고찰(考察)하여 볼 때 참나무 6樹種(수종) 자연상태(自然狀態) 하(下)에서의 P. ostreatus균(菌)과 L. edodes 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수종(樹種)은 갈참나무(Q. aliena BL.)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