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R-dimens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SOME CURVATURE CONDITIONS OF n-DIMENSIONAL QR-SUBMANIFOLDS OF (p-1) QR-DIMENSION IN A QUATERNIONIC PROJECTIVE SPACE QP(n+p)/4

  • Pak, Jin-Suk;Sohn, Won-Ho
    • 대한수학회보
    • /
    • 제40권4호
    • /
    • pp.613-63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n-dimensional QR-submanifolds of (p - 1) QR-dimension in a quaternionic projective space $QP^{(n+p)/4}$ and especially to determine such submanifolds under the curvature conditions appeared in (5.1) and (5.2).

REAL n-DIMENSIONAL QR-SUBMANIFOLDS OF MAXIMAL QR-DIMENSION IMMERSED IN QP(n+p)/4

  • Kim, Hyang-Sook;Kwon, Jung-Hwan;Pak, Jin-Suk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11-1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n-dimensional QR-submanifolds of (p-1) QR-dimension immersed in a quaternionic projective space $QP^{(n+p)/4}$ of constant Q-sectional curvature 4 and especially to determine such submanifolds under the additional condition concerning with shape operator.

CERTAIN CLASS OF QR-SUBMANIFOLDS OF MAXIMAL QR-DIMENSION IN QUATERNIONIC SPACE FORM

  • Kim, Hyang Sook;Pak, Jin Suk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5권2호
    • /
    • pp.147-161
    • /
    • 2013
  • In this paper we determine certain class of $n$-dimensional QR-submanifolds of maximal QR-dimension isometrically immersed in a quaternionic space form, that is, a quaternionic K$\ddot{a}$hler manifold of constant Q-sectional curvature under the conditions (3.1) concerning with the second fundamental form and the induced almost contact 3-structure.

MIMO 검출기에 적용 가능한 저 복잡도 복합 QR 분해 구조 (A Low-complexity Mixed QR Decomposition Architecture for MIMO Detector)

  • 신동엽;김철우;박종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65-17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MIMO 검출기를 위한 저 복잡도 QR 분해 구조를 제시한다. 제안된 접근 방식에서는, QRD 하드웨어의 연산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코딕 기반 QRD 알고리즘들이 효율적으로 조합된다. 다양한 QRD 알고리즘들에 대한 연산 복잡도 분석에 기초하여, QRD 과정의 매 단계마다 저 복잡도 접근 방식이 선택된다. 제안된 QRD 구조는 어떤 임의의 차원을 갖는 채널 매트릭스에도 적용 될 수 있고, 매트릭스 차원의 증가에 따라 연산 복잡도 감소도 늘어난다. 제안하는 QR 분해 하드웨어는 삼성 $0.13{\mu}m$ 공정을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실험결과, $4{\times}4$ 행렬의 QR 분해에 대한 제안 구조는 기존의 Householder 코딕 기반의 구조에 비해 47%의 QAR(QRD Rate/Gate count) 향상과 28%의 전력을 절감을 이뤄낼 수 있었다.

QR-분해를 이용한 효율적인 차원 감소 방법과 문서 분류에의 응용 (Efficient dimension reduction using QR-de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to text categorization)

  • 이문휘;박정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358-360
    • /
    • 2006
  • LDA는 그룹간 간격을 최대화하고 그룹내 분산을 최소화하는 선형변환을 구함으로써 차원 감소된 공간에서 분별력(classification performance)을 높이는 선형 차원 감소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샘플 문제(undersampled problem)에서 LDA를 적용할 수 있도록 QR-분해를 이용한 효율적인 차원 감소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되는 방법은 문서 분류 문제에서처럼 한 문서가 몇 개의 카테고리에 중복적으로 속하는 경우 등 데이터의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을 위한 저복잡도 채널 전처리 프로세서 (Low Complexity Channel Preprocessor for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 황유선;장수현;한철희;최성남;정윤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13-22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최대 4개의 송 수신 안테나를 지원 가능한 $4{\times}4$ 다중 안테나 (MIMO) 시스템에서 채널의 dimension을 축소함으로써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저복잡도 채널 전처리 프로세서를 제안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채널 전처리 프로세서는 채널의 일부분을 간섭신호라 간주하고 제거하는 GIS 행렬을 구하는 데 있어서 행렬의 역행렬과 행렬간의 승산 연산을 줄이기 위해, QR 분해 기법을 이용하여 $4{\times}4$ MIMO 채널 전처리 프로세서의 복잡도를 최소화한다. 또한, 로그 수체계를 이용하여 행렬간의 복소수 승산을 가산으로, QR 분해 기법의 사용으로 인해 생기는 나눗셈 연산을 감산 연산으로 대체함으로써 연산기의 단순화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하드웨어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킨다. 제안된 채널 전처리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설계 언어 (HDL)을 이용하여 설계되었고, $0.13{\mu}m$ CMOS 규격 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합성되었다. 그 결과 기존의 2의 보수 수체계를 이용한 채널 전처리 프로세서의 설계 구조 대비 로그 수체계를 이용한 제안된 채널 전처리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복잡도가 20.2% 가량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KANO모델을 활용한 박물관 ICT 서비스 품질 속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오스트리아 비교 (An Empirical Study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Museum Service by ICT: Comparisons of South Korea and Austria)

  • 이초희;김상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65-79
    • /
    • 2019
  • 그간 박물관은 전시 큐레이팅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최근 방문자 맞춤형 전시가 중시되면서 앱 기반 고객서비스 및 QR코드 인식을 통한 전시 설명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스마트폰이나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박물관 서비스 관련 연구는 종종 시도되었다. 그러나 정보기술 기반 서비스와 연계한 방문객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T 기반 박물관 서비스 품질요인들을 식별, 분류하고 KANO모델에 근거하여 이들의 품질속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한국과 오스트리아를 대상으로 표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문화 차이가 서비스요인별 품질속성차원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같은 차원으로 분류된 요인도 지각된 서비스 품질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박물관 경영에도 문화적 차원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