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d-helix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6초

상악궁 확장술을 통한 치료전, 후 및 보정후 상악 구치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posterior segments between before, after treatment and postretention period through maxillary expansion therapy)

  • 박태서;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5-63
    • /
    • 1997
  • 치열궁의 크기와 폭경 변화에 대한 연구가 사용된 장치 형태, 사용시기에따라,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또한 Quad-helix도 선학들에게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Quad-helix의 안정성과 장치 사용 전, 후에 대한 효과도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장치 사용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본 논문은 이 장치를 사용하여 치료한 환자의 치료전,후 및 보정후의 치열궁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Quad-helix사용 전, 후 구치부의 적응 양상을 연구함으로써 임상에서 Quad-helix를 통한 치료를 시행할 때 이 장치사용에 따른 효과 및 예후에 대하여 효과를 이해함으로써 교정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Quadhelix를 사용한 교정치료시 상악 제 1 소구치 와 제 1 대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 및 보정후에서 교두간 폭경의 증가를 보였고 제 2 소구치에서는 치료후와 보정후간에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2. 상악 제 1 소구치와 제 1 대구치의 치축은 치료전과 치료후 그리고 보정후에서 협측 경사도가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으며, 상악 제 2 소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 및 치료전과 보정후 비교에서 설측 경사도가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 3. 최대 풍융부 항목에서 상악 제 1, 2소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의 비교에서 유의한 증가를, 제 1 대구치에서는 치료전,후, 및 보정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4. 상악 제 1 대구치의 설면구 폭경은 치료전,후 및 보정기간을 통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구개 높이는 치료전과 치료후 비교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확장시킨 상악 치열궁은 회귀현상을 보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 PDF

구순구개열을 동반한 부정교합의 비외과적 교정치료 (Non-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of malocclusion with cleft lip and palate)

  • 이승호;전영미;김정기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29-41
    • /
    • 1999
  • 구순구개열은 악안면의 선천기형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출생시부터 성장이 완료되는 시기까지 일관된 치료계획에 의한 종합적인 진료체계가 필수적이다. 구순구개열이 존재할 경우 구개부의 조기 봉합후의 반흔조직 형성으로 인한 치열궁의 협착 또는 중안모의 함몰 경향과 함께 상악 측절치의 선천적 결손 또는 기형치, 전치의 회전과 경사 등이 수반되므로 교정치료에 의한 기능적, 심미적인 치열의 회복이 필요하게 된다. 구순구개열 환자의 교정치료에 있어서 상악치열의 정상적인 배열과 구치부 반대교합의 치료를 위해 상악골 확대가 종종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Hyrax appliance, Quad-helix 및 Fan-type expansion screw, Jointed fan type expander 등 다양한 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심하지 않은 구순구개열 환자의 교정치료에서 상악골 확대를 위한 장치의 선택은 환자의 치열궁 형태, 연령, 구치부와 전치부의 치열궁 폭경 등 다양한 요인이 고려되어야 하며, 치료 후 악궁형태의 보정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트롬본 장치를 이용한 하악궁 확장 (Expansion of the mandibular arch using a trombone appliance)

  • Sabuncuoglu, Fidan Alakus;Karacay, Seniz;Olmez, Husey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1-218
    • /
    • 2011
  • Objective: This case report describes orthodontic treatment of contracted mandibular arch using a trombone appliance. Methods: A 14-year-old girl with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 retroclined maxillary incisors, and buccally displaced maxillary canines required dental expansion in 3 spatial directions to correct the contracted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es. In the initial phase of treatment, the maxillary arch was expanded and distalized using a quad-helix appliance and cervical headgear. Following the expansion and leveling of the maxillary arch, a trombone appliance was used to expand the mandibular arch. On correction of the mandibular arch and provision of sufficient space to level the mandibular teeth, fixed orthodontic treatment phase was initiated. Results: A trombone appliance proved effective in correcting the contracted mandibular arch. Because of labiolingual and transversal expansion, the mandibular dental arch perimeter was increased by 7.4 mm; the misalignment of the mandibular teeth was corrected successfully. Conclusions: A trombone appliance may serve as an appropriate clinical alternative for treating moderate mandibular arch crowding caused by the contraction of the dental arch.

Bioprogressive Mechanism에 의한 Angle씨 II급 2류 부정교합의 치험례 (Angle's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 Treated by Bioprogressive Mechanism: Report of a Case)

  • 변상길;이희경;진병로;오명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51-156
    • /
    • 1987
  • 본 증례는 Angle씨(氏) 2급 2류 부정교합 환자로서 Bioprogressive Mechanism을 적용시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며 치료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소인 상하악 전치부 crowding을 해소하였다. 2) 구치부 관계는 Angle씨(氏) classII에서 classI으로 개선되었다. 3) Overbite와 overjet를 기능적으로 해소시킴과 동시에 전치부 torque control에 의한 만족스러운 치축경사도로 개선시켰다.(Photo.5) 4) 치료기간은 1년 11개월이 소모되었다.

  • PDF

상대적 거대설을 보이는 전치부 개방교합 환자의 외과적 급속 구개확장술을 통한 횡적 부조화의 치험례 (TREATMENT OF TRANSVERSE DEFICIENCY WITH SURGICALLY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IN AN OPEN BITE PATIENT SHOWING PSEUDOMACROGLOSSIA)

  • 김윤지;이규홍;박준우;이건주;조형준;박양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3호
    • /
    • pp.376-382
    • /
    • 2008
  • Anterior open bite is a condition in which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do not occlude at central occlusion. It is a vertical discrepancy of the jaws and dental arches that has many etiologic factors making it difficult in diagnosis, treatment and prediction of prognosis. One of the causes of open bite is abnormal size and shape of the tongue. Macroglossia, a condition in which tongue is oversized, is caused by several factors which are not clearly identifiable, and it may be a major factor of anterior and posterior open bite. Macroglossia is subdivided into true, functional and pseudomacroglossia depending on its relative size in the oral cavity. In this case report, a patient was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 with pseudomacroglossia, and was treated with SARPE in order to expand the narrowed maxillary arch and Quad helix for the mandibular arch. As a result the transverse deficiency was treated. In the adult patients where no skeletal growth is expected, SARPE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treating maxillomandibular transverse discrepancies in which macroglossia was accompanied as in this case.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mandibular dimensions after early correction of the maxillary arch form in patients with Class II division 1 or division 2 malocclusion

  • Coskuner, Hande Gorucu;Ciger, Semr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21-129
    • /
    • 2015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ree-dimensional change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positions and mandibular dimensions after correction of dental factors restricting mandibular growth in patients with Class II division 1 or division 2 malocclusion in the pubertal growth period. Methods: This prospective clinical study included 14 patients each with Class II division 1 (group I) and Class II division 2 (group II) malocclusions. The quad-helix was used for maxillary expansion, while utility arches were used for intrusion (group I) or protrusion and intrusion (group II) of the maxillary incisors. After approximately 2 months of treatment, an adequate maxillary arch width and acceptable maxillary incisor inclination were obtained. The patients were followed for an average of 6 months. Intraoral and extraoral photographs, plaster models,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Lateral cephalometric and temporomandibular joint measurements were made from the CBCT images. Results: The mandibular dimensions increased in both groups, although mandibular positional changes were also found in group II.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dylar position within the mandibular fossa or the condylar dimensions. The mandibular fossa depth and condylar positions were symmetrical at treatment initiation and completion. Conclusions: Class II malocclusion can be partially corrected by achieving an ideal maxillary arch form,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 Restrictions of the mandible in the transverse or sagittal plane do not affect the temporomandibular joint positions in these patients because of the high adaptability of this j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