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8초

In vitro에서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이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 on the Immune Response of eel(Anguilla japonica) In vitro)

  • 최민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3-110
    • /
    • 2000
  •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가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뱀장어의 혈액으로부터 림프구를 분리하여 증식능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신장으로부터 탐식세포를 분리하여 탐식능, pinocytosis 및 superoxide anion활성능 등을 측정하였다. 림프구의 증식능은 mytogen(T-cell mitogen: ConA and PHA, B-cell mitogen: LPS) 및 QACs처리농도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신장 유래의 대식세포의 세균살해능은 QACs첨가농도에 따라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QACs이 작동대식세포로의 분화 및 활성을 촉진시켜서 탐식능, pinocytes 및 superoxide생성 등의 분비를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QACs가 어체의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작용기전은 면역작동세포의 수를 증가시키기보다는 세포의 기능활성을 증강시킴을 알 수 있다.

  • PDF

2-클로로메틸-5-(2-Phenylthiazol-4-yl)-1,3,4-옥사디아졸의 새로운 4급 암모늄염의 합성과 계면활성도 (Synthesis and Surface Activity of New Quaternary Ammonium Salts Prepared from 2-Chloromethyl-5-(2-Phenylthiazol-4-yl)-1,3,4-Oxadiazole)

  • 배선건;연영흠
    • 공업화학
    • /
    • 제17권3호
    • /
    • pp.286-290
    • /
    • 2006
  • 새로운 4급 염화 암모늄염, {alkyldimethyl-[5-(2-phenylthiazol-4-yl]-1,3,4-oxadiazol-2-ylmethyl]quaternary ammonium chlorides (ADOQACs): 6}을 화합물 5와 몇 가지 N,N-dimethylalkyl amine을 반응시켜 합성하였다. 합성한 화합물들의 구조와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계면활성을 측정하였다. 화합물 6의 표면장력($\gamma_{cmc}$)과 최소저해농도(MIC)는 알킬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화합물 6c와 6d가 좋은 항균력과 계면활성을 보였다.

첨가제를 이용안 콘택트렌즈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perties and preparations of Contact Lens Using Additive)

  • 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1-266
    • /
    • 2005
  • 4차 암모늄(QACs)은 주로 항균물질로 사용되는 것들 중의 하나이다. 항균성을 가진 고분자 물질들은 주로 생의학적인 도구들로써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특수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4차 암모늄 작용기 부분을 포함하는 새로운 메타아크릴레이트(Methacrylate) 물질을 합성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으며, S. aureus, E. coli and P. aeruginosa. 각각의 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합성된 콘택트렌즈 재료는 모든 균에 대하여 4차 암모늄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고분자에 대해 훨씬 더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 PDF

Synthesis and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Quaternary Ammonium Cephalosporin Derivatives Bearing Oxazolidinone Moiety

  • Chung, In-Hwa;Kim, Choong-Sup;Seo , Jae-Hong;Chung, Bong-Yo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579-584
    • /
    • 1999
  • Several oxazolidinones having amine moiety were prepared to form a quaternay ammonium salt with cephalosporin nucleu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quaternary ammonium cephalosporin derivatives bearing oxazolidinone moiety were examined particularly with expectation of dual activity. However, the cephalosporin-oxazolidinone compounds revealed rather weaker antibacterial activity in vitro than their parent oxazolidinone and cephalosporin without showing any characteristic activity as expected.

  • PDF

HPLC-UV검출방법으로 유도체화를 통한 비테인과 콜린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etaine and choline using derivatization by HPLC with UV detection)

  • 이인숙;팽기정
    • 분석과학
    • /
    • 제28권2호
    • /
    • pp.112-116
    • /
    • 2015
  • Extraction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holine and betaine) from plant samples (spinach) using ion exchange resin (AG1, OH form) is a very simple and inexpensive approach. However, it is very hard to determine amounts of choline and betaine simultaneously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HPLC-UV) detection. Unlike choline, betaine has low molar absorptivity in UV-visible (UV-Vis) reg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arry out UV-Vis detection of betaine. The mixture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holine and betaine) was derivatized using 2-bromo acetophenone as a derivatizing agent. As a result, choline did not react with the derivatizing agent, whereas betaine formed a betaine derivative. This betaine derivative exhibited detectable UV absorption with baseline separation between choline and the betaine derivative. Thus, with this method, choline and betaine can be determined simultaneously by using the HPLCUV method through one-step derivatization, which is an easy, sensitive, and reliable method.

양이온성 섬유유연제 HEC-2-HP-AC Ether 유도체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Cationic Fiber-Softener HEC-2-HP-AC Ether Derivatives)

  • 강익중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603-607
    • /
    • 1998
  • Cellulose를 출발물질로 하여 ethylene oxide와 hydroxyethylcellulose를 합성하였다. Epichlorohydrin과 triakylamine을 치환반응시켜 제4급 암모늄염을 만든후, 산을 첨가하여 3-chloro-2-hydroxypropyltrialkylammonium chloride를 얻었다. Hydroxyethylcellulose와 glycidylalkylammonium chloride 또는 3-chloro-2-hydroxypropyltrialkylammonium chloride를 coupling하여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화합물 hydroxyethylcellulose-2-hydroxypropylammonium chloride ether와 hydroxyethyl-cellulose-2-hydroxypropyltriethylammonium chloride ether를 각각 73.9%, 74.2%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 PDF

시판 소독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조피볼락 Sebastes pachycephalus,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에 대한 독성 (Toxicity of Disinfectants in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fish Sebastes pachycephalus and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 박경희;김석렬;강소영;정성주;오명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2
    • /
    • 2008
  • 본 연구는 시판되는 10종의 소독제(hydrogen peroxide, sodium hypochlorite, chlorine dioxide, povidon iodine, formaldehyde, glutaraldehyde,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DDAC), ortho-dichlorobenzene, and copper sulfate)에 대한 CHSE-214 cell line과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조피볼락 Sebastes pachycephalus,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에 대한 24 h $LC_{50}$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시판용 소독제에 대한 CHSE-214 cell line의 24 h 독성 농도는 시판액을 기준으로 hydrogen peroxide 0.955 ppm, sodium hypochlorite 12.5 ppm, chlorine dioxide 62.5 ppm, povidon iodine 50 ppm, formaldehyde 4 ppm, glutaraldehyde 1 ppm,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10 ppm,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0.4 ppm, ortho-dichlorobenzene 6.2 ppm 이었다. 10종의 소독제의 독성 농도는 어종에 뿐만 아니라 각 소독제에 따라서도 매우 다양하게 관찰되었다. Hydrogen peroxide는 소독제 중에서 가장 높은 농도에서 어류에 대한 독성을 보였는데 넙치, 조피볼락 및 감성돔에 각각 201, 269 및 139 ppm에서 $LD_{50}$을 나타내었다. DDAC는 가장 낮은 농도에서 어류에 대한 독성을 보였는데 넙치, 조피볼락 및 감성돔에서 각각 2.1, 1.0 및 1.5 ppm에서 $LD_{50}$을 나타내었다. Copper sulfate는 어종에 따라 독성을 보이는 농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치과 진료실의 미생물 오염도에 대한 4차 암모늄 화합물의 효과 (Effect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on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dental clinics)

  • 백세연;박연정;최승호;김희재;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55-60
    • /
    • 2020
  • 물리적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치과 진료실 미생물 주요 오염 구역에 도포 후 시기별 오염도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4개의 국내외 치과병의원에서 미생물 감염이 쉬운 유닛체어 핸들, 타구대 표면, 핸드피스 거치대 등에 ATP (adenosine triphosphate) 모니터링 시스템과 ATP 표면검사 테스트 키트를 사용하여 항균제 도포 전과 후 시기별 오염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4차 암모늄 화합물 도포 전 구역별 미생물 오염도는 치과의사가 주로 사용하는 핸드피스 거치대가 가장 높았다. 도포 후 시기별 오염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진료실에서 현저한 오염도의 감소를 보였으며, 대략 4-6개월 정도 효과가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항균효과의 지속성과 최소량의 화학성분 노출이라는 장점으로 향후 대단위 후속연구를 통해 4차 암모늄 화합물이 치과 진료실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iveness of calcium hypochlorite,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sodium hypochlorite in eliminating vegetative cells and spores of Bacillus anthracis surrogate

  • Yim, Jin-Hyeok;Song, Kwang-Young;Kim, Hyunsook;Bae, Dongryeoul;Chon, Jung-Whan;Seo, Kun-Ho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11.1-11.7
    • /
    • 2021
  • Background: The spore-forming bacterium Bacillus anthracis causes anthrax, an often-fatal infection in animals. Therefore, a rapid and reliable strategy to decontaminate areas, humans, and livestock from B. anthracis is very critical.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odium hypochlorite, calcium hypochlorite, and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QAC) sanitizers,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food industry, to inhibit spores and vegetative cells of B. anthracis surrogate. Methods: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sodium hypochlorite, calcium hypochlorite, and a QAC in inhibiting vegetative cells and spores of a B. anthracis surrogate. We treated a 0.1-mL vegetative cell culture or spore solution with 10 mL sanitizer. The samples were serially diluted and cultured. Results: We found that 50 ppm sodium hypochlorite (pH 7), 1 ppm calcium hypochlorite, and 1 ppm QAC completely eliminated the cells in vegetative state. Exposure to 3,000 ppm sodium hypochlorite (pH 7) and 300 ppm calcium hypochlorite significantly eliminated the bacterial spores; however, 50,000 ppm QAC could not eliminate all spores. Conclusions: Calcium hypochlorite and QAC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sodium hypochlorite in completely eliminating vegetative cells of B. anthracis surrogate. QAC was ineffective against spores of the B. anthracis surrogate. Among the three commercial disinfectants tested, calcium hypochlorite most effectively eliminated both B. anthracis vegetative cells and spo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