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rubra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루브라참나무의 생장과 재질 - 흡수량, 흡습성 - (Wood Quality and Growth of Quercus rubra in Korea - Water absorption, Hygroscopic property -)

  • 박강식;김병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1-95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bsorption (or hygroscopic property) and growth rate of rubra oak (Quercus rubra) from 5 different origins of seed (Carleton, Simcoe, Chatham, Bancroft, Unknown). Water absorption at cross section of Quercus rubra was $0.43{\sim}0.92g/cm^2$ and the property was not related with growth rate. Overall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rubra oak were 11.35~11.56% and 15.15~15.83% at $40^{\circ}C$ with 75% and 90% relative humidities, respectivel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growth rate and moisture content(hygroscopy) in rubra oak. Based on the results, Rubra oak can be classified as a low hygroscopic wood grade, and thus might be a good raw material for furniture productions owing to its superior dimensional stability.

Erysiphe quercicola Causing Powdery Mildew on Quercus rubra in Korea

  • Young-Joon Choi;Jun Hyuk Park;In-Young Choi;Lamiya Abasova;Joon-Ho Choi;HyeonDong Shin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7-141
    • /
    • 2022
  • In Korea, powdery mildew has been observed on Quercus rubra, commonly called the northern red oak tree.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the fungal agent was identified as Erysiphe quercicola, but it was distinct from the other four Erysiphe species, specialized to Quercus species. This is the first confirmed report on the identity of powdery mildew found on Q. rubra in Korea. This finding can help understand the host expansion of E. quercicola and the biodiversity of powdery mildew on Quercus species.

루브라참나무의 생장과 재질 - 해부학적 성질 - (Studies on Wood Quality and Growth of Quercus rubra in Korea - Anatomical Properties -)

  • 한무석;이진리;김지수;신수정;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21-428
    • /
    • 2015
  • 본 연구는 5개 종자 산지(Carleton, Simcoe, Chatham, Bancroft, Unknown)의 루브라참나무(Quercus rubra)를 대상으로 해부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이들의 종자산지 간 및 생장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루브라참나무는 환공재로서 공권부는 대형도관이 1~3열로 배열하다가 공권 외부는 소형도관이 방사상으로 배열하였다. 산지 간에는 조재부 목섬유 길이, 조재부 도관의 직경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생장속도와는 목섬유 길이 및 도관요소 직경에서 만재부는 상관관계가 없고, 조재부는 부의 상관이었다. 도관요소 길이는 생장속도와 조, 만재에서 관계가 없었다. 조, 만재부에서의 구성요소 비율은 목섬유, 방사조직은 만재부에서 높았고, 도관요소는 조재부에서 높았다. 방사조직 높이는 11~15개 범위였다.

임관 제거가 루브라참나무림의 셀룰로오스 분해와 질소 무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nopy Removal on Cellulose Decompositi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in Quercus rubra Stands)

  • Kim, Choonsi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2호
    • /
    • pp.219-230
    • /
    • 1995
  • Although many studies of nutrient cycling in forest ecosystems have reported that clearcutting creates increased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and nitrogen (N) mineralization in soils, little is known about the change of these factors following various levels of canopy removal. A series of experimental plots with four levels of canopy cover, i.e., clearcut, 25%, 75%, and uncut, was established in northern red oak (Quercus rubra L.) stands in northern Lover Michigan, U.S.A. I examined decomposition of cellulose filter papers and N mineralization using an in situ soil incubation technique in the top 15cm of mineral soil during the second growing season (1992, May-October) following stand manipulation. Mass loss from cellulose filter papers was more rapid in the canopy removal treatments than in the uncut treatment. similarly, net N mineraliz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anopy removal treatments than in the uncut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t N mineralization rates among the three levels of canopy removal. Net N mineralization for the growing season was 58 kg/ha for the clearcut, 54 kg/ha for the 25% canopy cover, 51 kg/ha for the 75% canopy cover, and 22 kg/ha for the uncut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ven only small amounts of canopy removal (leaving 75% canopy cover) let to substantial increases of cellulose de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available soil nitrogen.

  • PDF

루브라참나무림과 레시노사소나무림의 토양 질소 무기화에 있어서 개벌의 영향 (Clearcutting Effects on Soil Nitrogen Mineralization in Quercus rubra and Pinus resinosa Stands)

  • 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98-206
    • /
    • 1995
  • 이 연구는 루브라참나무림과 레시노사소나무림의 질소 무기화율이 개벌후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토양상층부 15cm에서의 질소 무기화율이 비닐주머니에 토양을 배양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1991년과 1992년 임목 생장 기간 동안(5월-10월) 조사되었다. 두 임목 생장 기간 동안 추정된 참나무림의 질소 무기화율은 개벌 처리구 67kg/ha, 무처리구 30kg/ha였고, 소나무림은 개벌 처리구 27kg/ha, 무처리구 13kg/ha였다. 총 질소 무기화율은 항상 참나무림이 소나무림보다 높았다. 배양전과 한달 배양후 토양으로부터 질산태 질소는 소나무림의 개벌 처리구에서 검출된 반면(두임목 생장 기간동안 평균 질산화율 : 3.3kg/ha), 두 임분의 무처리구와 참나무림의 개벌 처리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들은 두 임분내 이용 가능한 질소량에 상당한 증가가 개벌후 발생하였으며, 낮은 질산화율은 이 임분들에 질소 보유를 위한 중요한 작용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24년생 루브라참나무의 생장과 재질에 관한 연구 - 물리·역학적 성질 - (Studies on Wood Quality and Growth of Quercus rubra (24 Years Old) in Korea -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

  • 한무석;이창준;박봉석;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327-338
    • /
    • 2014
  • 종자의 산지가 다른 루브라참나무(24년생)를 대상으로 물리 및 역학적 관계를 조사하여 생장속도와 목재의 재질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생재함수율은 변재보다 심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산지 간에 차이를 나타냈다. 비중의 경우 심재는 생장이 좋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변재는 생장이 좋을수록 커지는 관계를 나타냈다. 전수축률은 산지간 차이를 나타냈으며, 생장이 좋을수록 수축률과 T/R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영계수, 휨강도와 휨영계수 및 충격강도는 산지 간 차이를 보였으며, 생장이 좋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단강도는 산지 간 차이를 보였으며, 생장이 좋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세 단면에서 산지 간 차이를 보였으며, 생장이 좋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5종의 산지가 다른 루브라참나무 중 Bancroft산 종자의 경우가 가장 좋은 수고생장을 보이고, 세 번째의 흉고직경을 나타내며, 압축, 휨, 경도, 전단, 충격강도 모두 우수하여 생장과 재질면을 고려했을 때 현시점에서 가장 우수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 및 기상인자에 따른 국내 6개 지역의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 특성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rubra Associated with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Six Regions of South Korea)

  • 황환수;김태림;오창영;임혜민;이일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3호
    • /
    • pp.357-364
    • /
    • 2022
  • 본 연구는 미국의 미시간주 산지로부터 도입한 종자를 이용하여 국내 6개 지역에서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 및 기상인자에 따른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지는 화성, 양평, 평창, 삼척, 충주, 김제이며 2014년에 루브라참나무 묘목(1-0묘)은 3,000본 ha-1 밀도로 식재되었다. 2021년도에 조사된 6개 지역 8년생 루브라참나무의 평균 수고, 근원경 및 재적생장은 각각 3.52 m, 3.84 cm, 0.0023 m3로 나타났다. 조사된 국내 6개 지역 중에서 경기도 화성시에 식재된 루브라참나무의 생장이 가장 우수하며 강원도 평창군의 생장이 가장 저조하였다. 토양특성 조사에서 조림지 토양 내 모래의 비율은 21.4~64.1%, 미사는 24.9~61.1%, 점토는 9.7~21.2%로 확인되었으며, pH는 전체적으로 4.15~4.80의 범위로 약산성을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화성이 4.15로 가장 낮았고 삼척 지역이 4.80으로 가장 높았다. 조림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상인자와 생장 특성과의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 토양인자들 중 pH는 근원경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다른 토양인자들은 생장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일 최고기온과 3~10월의 평균온도 등의 기상인자는 생장특성과 강한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해발고와 지형, 3~10월의 강우 일수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화성지역은 가장 높은 일 최고온도와 3~10월의 평균온도, 낮은 고도와 산록에 가까운 지형으로 인해 가장 우수한 초기생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이 가장 저조했던 평창의 경우 높은 고도와 낮은 일 최저기온 등으로 인한 겨울철 동해 피해와 야생동물에 의한 수목 피해가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제 3 주성분까지 84.7%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생장특성인 근원경 및 재적과 생장이 가장 우수했던 화성지역이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국내 6개 지역 중에서 화성 지역의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림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보다는 온도나 고도와 같은 기상과 관련된 인자가 생장특성과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루브라참나무 국내 조림 적지 판정 및 환경 특성에 따른 초기생장 특성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anaging Red Oak (Quercus rubra L.) Reduces Sensitivity to Climatic Stress

  • Chhin, Soph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338-351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long-term experimental forest in the central hardwoods region of southwestern Michigan to retrospectively examine the role of past forest management practices and climate on red oak (Quercus rubra L.) productivity. Initially, in 1971, plots within the experimental forest were treated separately with a clearcut and shelterwood regeneration harvest in an attempt to increase red oak regeneration. From 1987-1989, a new study was initiated within a portion of the clearcut and shelterwood plo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dditional oak crop tree release using mechanical and chemical applications. Cumulative diameter and mortality rates of 719 red oaks were monitored across the four silvicultural treatments: Clearcut-A (clearcut without additional release treatment), Clearcut-B (clearcut with additional release treatment), Shelterwood-A (shelterwood without additional release), and Shelterwood-B (shelterwood with additional release) plus an untreated control. Increment cores were obtained from red oak trees and neighboring competitor species. Tree-ring analyses (dendrochronology) were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se silvicultural treatments and climatic factor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n red oak produ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rop tree release following a clearcut or shelterwood harvest reduced mortality rates and thus increased survival of red oak. Red oak in control plots or plots only receiving the initial regeneration harvesting treatment and no additional competition release were negatively affected by climatic stress, which included summer moisture stress. In contrast, red oak in plots that received the competition release treatment from shade tolerant tree species not only had higher tree level productivity (i.e., tree basal area) and lower mortality rates, but were also relatively more resilient to climatic stress by showing limited or no associations between climate and growth.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II)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II))

  • 박수남;김진영;양희정;이근하;전소미;안유진;원보령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5-173
    • /
    • 2007
  •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에 대한 결과의 일부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나머지 37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으로 인한 luminol의 화학발광을 이용한 소거 활성, 사람 적혈구를 대상으로 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free radical의 소거 활성($FSC_{50}$)은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5 ${\mu}g/mL$),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 ${\mu}g/mL$)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_{50}$)은 상수리나무 잎(Quercus acutissima)과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에서 0.009 ${\mu}g/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보호 효과(${\tau}_{50}$)는 50 ${\mu}g/mL$에서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95 min),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640 min)에서 크게 나타났다. 200 ${\mu}g/mL$에서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77.8%),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76.2%)에서 큰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대싸리 수피, 소귀나무 수피, 상수리나무 잎, 버드나무 줄기, 동백나무 잎/줄기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 제품화를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비정상(非正常) 상태(狀態)의 확산(擴散)모델을 이용한 수분(水分) 경사(傾斜)의 예측(豫測) (II) - 실험적(實驗的) 검증(檢證) - (Estimations of Moisture Profiles During Wood Drying Using an Unsteady-State Diffusion Model (II) - Experimental Verification for Red Oak -)

  • 박정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37-44
    • /
    • 1996
  • 포수상태(包水狀態)의 루부라참나무(Quercus rubra) 시험편을 3가지 등온조건(等溫條件)에서 건조한 결과를 비정상상태(非正常狀態)의 확산(擴散)모델로 추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표면이 충분히 젖은 상태인 건조초기에는 불안정(不安定)한 확산현상(擴散現象)이 관찰되었으나, 함수율(含水率)별 건조속도의 변이를 Fick's의 확산법칙과 비교할 때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실험에서 얻은 건조조건별 건조곡선은 확산모델의 수치해석(數値解析)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같은 평위함수율(平衛含水率) 조건에서 건조온도의 증가는 목재표면 보다 내부의 함수율 변화에 더 크게 영향하여 결과적으로 낮은 온도에서의 건조조건이 목재 내의 수분경사(水分傾斜)를 급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목재 건조 중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경사를 추정하는데 비정상상태의 확산모델이 모든 함수율 범위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