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clorac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9초

Quinclorac 함량감소(含量減少)를 위한 혼합처방(混合處方)의 가능성(可能性) 연구(硏究) (Tank-mix Feasibility Reducing the Application Rate of Quinclorac)

  • 구자옥;한성욱;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18
    • /
    • 1993
  • Quinclorac의 사용량(使用量) 감소(減少)는 물론 잔유량(殘留量) 저하(低下)를 위하여 기존(旣存)의 화본과(禾本科) 속간(屬間) 선택성(選擇|生)을 갖는 molinate 및 propanil과의 혼합처방(混合處方)의 가능성(可能性) 여부를 밝히고자 온실내(溫室內) pot시험(試驗)으로 수행되었으며 피 3-4엽기(葉期)에 quinclorac 0.038. 0.075, 0.150 및 0.300kg ai/ha에, molinate는 0.190, 0.380, 0.750 및 1.500kg ai/ha을, propanil은 0.263, 0.525, 1.050, 및 2.100kg ai/ha을 각각 혼용(混用) 조합(組合)하여 경엽처리(莖葉處理)한 후 생체중(生體重)의 방제가(防除價)에 의한 상호작용(相互作用)을 해석하였다.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각 단제(單劑)의 방제가(防除價)는 표준량(標準量)에서 각각 78.1%, 26.2%에 지나지 않았으며, 조합처리(組合處理)의 방제가(防除價)는 quinclorac 0.300kg과 molinate 0.750kg 이상이 되어야만 85% 이상 방제가(防除價)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최소한의 상가적(相加的) 효과(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다.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각 단제(單劑)의 방제가(防除價)는 표준량(標準量)에서 각각 98.1%, 61.7%로서 두 약제간(藥劑間) 대등(對等)한 정도의 방제력(防除力)을 보였으며 조합처리(組合處理)에 있어서도 Quinclorac 0.150kg만 처리하고 propanil의 모든 처리수준(處理水準)이 첨가(添加)됨으로써 85% 이상의 방제가(防除價)를 보였다. 따라서 quinclorac과 propanil의 조합(組合)에서 부분적(部分的)으로 협력적(協力的)인 상호작용(相互作用)이 있었다. 결국 quinclorac 사용량(使用量) 감소(減少)를 위한 조합중(組合中) quinclorac과 propanil의 조합(組合)이 quinclorac과 molinate의 조합(組合)보다 더 협력적(協力的)인 상호작용(相互作用)을 나타냈다.

  • PDF

감광제에 의한 수용액 및 토양 중 제초제 quinclorac의 광분해 촉진효과 (Accelerating effect of some photosensitizers on photodegradation of the herbicide quinclorac in aqueous solution and soil)

  • 안기창;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2-18
    • /
    • 2000
  • 제초제 quinclorac의 수중 및 토양중 잔류량을 인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6종의 감광제를 선발하여 수중 및 모래에서의 광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자연광 조건하에서 증류수중 quinclorac의 분해는 암조건과 비교할 때 차이가 없어 직접적인 광분해는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Methanol 용액에서 quinclorac의 광분해율은 40.3%였으나, 감광제 PS-1 (방향족 ketone), PS-3 (quinone), 그리고 PS-6 (반도체 광촉매)가 함유되어 있는 용액 및 현탁액에서 quinclorac의 광분해율은 각각 96.6%, 72.7%, 그리고 95.7%로서 가장 양호한 광분해 촉진효과를 보였다. 한편 모래에서는 감광제 PS-1, PS-3 그리고 PS-6중에서 PS-3가 64.1%로 가장 양호한 광분해 촉진효과를 보였다. Methanol중 quinclorac의 광분해산물로 5종의 화합물이 그리고 감광제 PS-1에서는 3종의 분해산물이 GC-MS로 구명되었고 aldehyde기를 보유한 광분해산물은 sodium 3,5-dinitrosalicylate의 환원반응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토양에 처리된 quinclorac은 30 ppm 이상의 감광제 PS-3 처리로 광분해되어 남아있는 quinclorac 잔류물은 강피를 방제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감광제 PS-1, PS-3, PS-6가 수용액 및 토양중 quinclorac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광분해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제초제 Quinclorac이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 Quinclorac on Ginseng Growth)

  • 이일호;김명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96-100
    • /
    • 1996
  • In this experiment, germination test of ginseng seed and growth test of two year old ginseng in soil incorporated with quinclorac (3,7-Dichloro-8-quinoline carboxylic acid) were conducted to evaluate phytotoxicity caused by quinclorac residue in soil. Ginseng seed germiilation was hardly affected, but growth of ginseng seedling was retarded by quinclorac. The phytotoxicity of quinclorac on ginseng seedling was expressed at the lowest level tested, 3.75 g a.i./10a (118 of recommended rate for rice cultivation). The representative phytotoxicity in ginseng were decreased root weight, shortened leaf width and leaf length, and weak lateral root Quinclorac residue decreased by 1/4 in pot soil after 2 months and below 2 ppm in the paddy soil applied at usual rate (30 g a.i./10a) after 1∼ 2 years. Below 2 ppd ginseng did not show any phytotoxicity symptom.

  • PDF

Micro-ecosystem(pot)중 제초제 quinclorac 토양잔류물의 행적 (Behaviour of the soil residues of the herbicide quinclorac in the micro-ecosystem (pot))

  • 안기창;경기성;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6-106
    • /
    • 1998
  • Micro-ecosystem (pot)중 quinclorac 토양잔류물의 행적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화학적 특성이 상이하고 quinclorac의 신생 및 숙성 잔류물을 함유한 2종의 논토양에 42일간 벼를 재배하였다. 벼의 재배 유무와 무관하게 quinclorac 신생잔류물과 숙성 잔류물을 함유한 토양으로부터 방출된 $^{14}CO_{2}$의 양은 두 토양 모두에서 총처리 방사능의 2.2% 미만으로서 토앙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용이하지 않았음을 시사하였다. 서로 다른 quinclorac 토양잔류물을 함유한 두 토양에서 벼에 흡수 이행된 $^{14}C$의 양은 토양 A보다 유기물 함량과 점토의 함량이 적은 토양 B에서 더 많았고, quinclorac 잔류물의 흡수이행은 신생잔류물을 처리한 토양에서 보다 숙성 잔류물을 함유한 토양에서 적었다. 벼 수확 후 신생잔류물과 숙성잔류물을 함유한 토양 A에 잔류하는 $^{14}C$는 각각 총처리 방사능의 84.5와 86.3%로 비슷하였으며, 토양 B에서는 각각 61.8과 67.7%였다. 반면 벼를 재배하지 않은 토양중에서는 98.3%이상이 잔류하여 quinclorac이 화학적으로나 미생물적으로 비교적 안정한 화합물임을 입증하였다. Quinclorac의 추출불가 토양속박 잔류물은 토양 유기물에 강력하게 흡착 또는 결합되어 있고 대부분이 fulvic acid에 혼입되어 있었다.

  • PDF

Quinclorac의 작용성(作用性)에 대한 연구(硏究)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Studies of Quinclorac Action)

  • 홍석영;이인중;김길웅;신동현;이정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2-70
    • /
    • 1993
  • Quinclorac에 대한 벼와 피의 반응차(反應差)를 밝히기 위하여 벼 89품종과 피 30종들의 반응(反應), 단백질(蛋白質) 패턴에 미치는 영향, 약해(藥害) 발현부위(發現部位)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관찰, 및 quinclorac을 흡수(吸收)한 벼와 피의 누출(漏出)이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Quinclorac에 대한 피 종류간의 반응(反應)을 조사한 결과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가 E. crus-galli var. praticola나 E. oryzicol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성(耐性) 반응(反應)을 보였다. E. crus-galli var. crus-galli 종내에서도 지방 수집종에 따라서 반응이 다르며 30g ai/ha 처리구에서 진주피가 무처리에 대한 신초길이가 90.5%, 건물 중이 37.8%인데 반하여, 이리피가 각각 19.1%, 14.4%로 가장 민감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한편, 벼는 추천처리약량(推薦處理藥量)과 추천약량(推薦藥量)의 10배량(300g ai/ha), 100배량(3,000g ai/ha) 처리시 나타나는 신초길이의 반응은 정규분포곡선(正規分布曲線)을 보였다. 2. Quinclorac은 같은 종내(種內)의 피간(진주피와 이리피)의 단백질(蛋白質) 패턴(SDS-PAGE)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Quinclorac에 민감한 이리피의 약해부위(藥害部位)에서 생체막(生體膜) 와해현상(瓦解現象)이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해 관찰되었다. 4. 추청벼의 quinclorac 누출량(漏出量)이 피 보다 많았고 같은 종내(種內)의 피 간에서는 quinclorac에 내성(耐性)인 진주피에서 감수성(感受性)인 이리피보다 누출량(漏出量)이 많았다.

  • PDF

Quinclorac이 답후작(畓後作) 작물(作物)과 가지과(科) 식물(植物)의 초기생육(初期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Quinclorac on Early Growth of Follow-up Crops of Paddy Rice and Solanaceae)

  • 신현원;심상인;이상각;강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3-220
    • /
    • 1995
  • 본 실험은 토양잔류(土壤殘留)로 인하여 답후작(畓後作) 작물(作物)에 피해가 있어 사용에 문제점이 있는 quinclorac이 후작물(後作物)에 대한 약해(藥害)의 정도와 약해(藥害)가 발생하는 농도(濃度)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후작물(後作物) 중 보리, 참외, 토마토, 가지, 배추 등의 작물 중 보리에 대한 약해(藥害)는 작았으나 가지과의 가지와 토마토는 약해(藥害)가 심하게 나타났다. 이중 토마토는 quinclorac을 토괴(土壞)에 처리한 경우 10ppb 이하의 농도(濃度)에서는 초장(草長), 근장(根長), 과실수(果實數), 과실생체중(果實生體重) 등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濃度)에서는 감소가 일어났다. 특히 약서(藥書)는 영양기관(營養器官)보다 생식기관(生殖器官)에서 크게 나타났다. 대조식물(對照植物)로서 이용한 토마토와 같은 가지과(科)의 독말풀과 까마중도 역시 quinclorac에 의한 피해가 커 quinclorac은 종특이적(種特異的)인 약해(藥害)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Quinclorac에 의한 피해를 받은 식물체(植物體)는 엽내(葉內) 엽연소(葉緣素)의 함량(含量)은 감소하였고, 100ppb이상의 농도에서 가용성단백질(可溶性蛋白質)의 함량(含量)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가용성당(可溶性糖)의 함량(含量)은 quinclorac의 농도(濃度)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되었다.

  • PDF

답후작(沓後作)의 Quinclorac 잔류피해(殘留被害)에 대한 경감대책(輕減對策) 연구(硏究) (Counter-measure for Reducing Residual Effects of Quinclorac to Followed-by Crops of Paddy Rice)

  • 국용인;한성욱;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7-392
    • /
    • 1992
  • 답후작물(畓後作物)의 Quinclorac 잔류분(殘留分) 영향(影響)(약해(藥害))을 경감(輕減)시킬 목적(目的)으로 수종(數種)의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시용(施用), 경운(耕耘),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 및 사녹비작물(飼綠肥作物)에 의한 수탈처리를 하여 결과(結果)를 비교(比較)하였다.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가운데서는 활성탄(活性炭)이나 부숙퇴비(腐熟堆肥) 및 Perlite가 Quinclorac 잔류분(殘留分)의 흡착(吸着) 및 피복식물(被覆植物)의 활성부흥(活性賦興)에 의하여 유의적(有意的)인 약해경감(藥害輕減)을 시킬 수 있었다. 무경운(無耕耘) 및 무퇴비구(無堆肥區)에 비하여 경운(耕耘) 및 유기물시용(有機物施用)에 의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는 인정(認定)되었으나 Quinclorac에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토마토 및 상추에는 효과(效果)가 크지 않았다. 수탈작물 가운데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톨페스큐, 유채 및 귀리는 Quinclorac의 흡착력(吸着力)과 생장량(生長量)이 커서 후작(後作)인 토마토 생육(生育)을 크게 억제(抑制)시키지 않았으나 Quinclorac에 감수성(感受性)인 얄팔파나 자운영은 Quinclorac 잔류분(殘留分)에 의한 토마토 약해(藥害)를 경감(輕減)시키지 못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답후작(沓後作)의 Quinclorac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ison in Tolerance to Quinclorac among Followed-by Crops of Paddy Rice)

  • 국용인;노상언;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0-386
    • /
    • 1992
  • 19종(種) 답후작물(畓後作物)을 서로 다른 처리농도(處理濃度)의 Quinclorac agar 배지 및 수경재배(水耕栽培) 영양액(營養液)에 공시(供試)하여 Quinclorac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비교한 결과, 토마토, 가지, 오이, 상추는 급진적(急進的) 감수성(感受性), 수박, 당근, 완두, 강남콩, 담배는 완만적 감수성(感受性), 기타의 고추, 양파. 마늘, 시금치, 배추, 양배추, 무우, 쑥갓, 보리는 비교적 내성(耐性)으로 분류(分類)되었다. 급진적(急進的) 감수성(感受性) 작물(作物)이라도 토마토는 생육(生育) 단계(段階)가 진전된 유묘(幼苗)의 내성(耐性)이 컸던 반면 상추는 오히려 감수성(感受性)이 컸으며 오이는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른 영향(影響)이 적었다. Quinclorac을 포함한 7종 답제초제(畓除草劑)를 토양(土壤)에 공시(供試)한 후 120-180 일 후의 토양(土壤)에 9종 답후작물(畓後作物)을 40 일간 생육(生育)시킨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는 약제(藥劑)가 소멸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Quinclorac에 대한 토마토 반응(反應)은 유의적으로 발생되었다. 또한 마늘, 라이그라스, 오이 등에 대하여 처리후(處理後) 120-150일 된 토양(土壤)에서 약해증세(藥害症勢)를 발생시키는 제초제(除草劑)도 있었다.

  • PDF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벼의 생장(生長)에 대한 제초제간(除草劑間) 길항작용(拮抗作用) (Antagonistic Interaction between Quinclorac and Bensulfuron-methyl on Growth of the Rice Plants)

  • 권오연;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8-294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논 제초제(除草劑)로서 근래(近來)에 합제화(合劑化)된 bensulfuron-methyl과 quinclorac, 두 제초제(除草劑) 성분(成分)이 약해면(藥害面)에서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Quinclorac은 0, 300, 600, 900g ai/ha수준, bensulfuron-methyl은 0, 25, 50, 100g ai/ha수준에서 조합(組合) 처리(處理) 하였으며, 벼는 추청벼 10, 35, 55일묘(日苗)를 공시(供試)하고 온실, 생장상 및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은 Chisaka 및 Colby의 성적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벼 총건물중(總乾物重)을 10% 감소(減少)시키는 약량(藥量)은 quinclorac 단제처리의 경우 aj/ha, 유묘기(幼苗期)(파종후 20일 : 3.5엽기)에는 584.8g ai/ha, 분얼기(分蘖期)(파종후 65일 : 7엽기)에는 517.7g ai/ha로 벼의 생육기(生育期)에 따른 차이가 작았으나 bensulfuron-methyl 단제처리의 경우에는 유묘기에는 43.2g ai/ha, 분얼기에는 84.2g ai/ha으로 벼의 생육기에 따라 약제에 대한 내성(耐性)이 크게 달랐다. 2.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을 벼의 유묘기(幼苗期)와 분얼기(分蘖期)에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경우 총(總) 건물중(乾物重)을 10% 감소시키는 등(等) 효과선(效果線)을 얻은결과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antagonism index)는 -0.63 과 -0.67로서 길항작용효과(拮抗作用效果)가 인정되었으며,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간에 최대의 길항효과(拮抗效果)를 나타낸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유묘기에는 796.3 : 100g ai/ha, 분얼기에는 760.3 : 100g ai/ha로서 유묘기에 길항효과가 컸다. 3. 지상부(地上部) 생장에 대한 길항작용효과(拮抗作用效果)에 있어서 유묘기에는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quinclorac 600g ai/ha에 bensu1furon-methyl 100g ai/ha를 혼합처리(混合處理)한 구에서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의 각 단제처리 구보다 작았으며,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antagonism index)는 -0.79이었다. 분얼기(分蘖期)때는 quinclorac 600g ai/ha에 bensu1furon-methyl 25g ai/ha를 혼합처리한 구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지상부 건물중이 증가되었으며, 상호작용지수(antagonism index)는 -1.33 이었다. 4. Quinclorac의 auxin적 활성(活性)에 의해 발생되는 통엽(筒葉)은 유묘기(幼苗期)처리시에는 quinclorac 600g ai/ha단제 처리구에서 개체당 평균 0.22개의 분얼(分蘖)(1.87%) 에서 발생하였으며, quinclorac 900g a.i/ha의 단제처리구에서는 개체당 5.44개의 분얼(分蘖)(47.10%)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분얼기(分蘖期) 처리시에 는 quinclorac 900g ai/ha의 단제처리구에서 개체당 평균 0.22개의 분얼(2.2%)에서 통엽(筒葉)이 발생하였다. 5.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을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때는 bensulfuron-methyl의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수록 통엽(筒葉)발생이 급격히 감소(減少)하여 유묘기에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를 혼합처리한 구에서는 통엽발생(筒葉發生)이 없었으며, quinclorac 9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을 혼합처리한 구에서는 개체당 1.78개의 분얼(18.45%)에서만 통엽(筒葉)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분얼기 에서는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잎의 발육면(發育面)에서도 충분히 나타나 모든 혼합처리에서 통엽(筒葉)이 발생되지 않았다. 6. 약제처리효과(藥劑處理效果)의 온도반응(溫度反應)에서는 quinclorac 600g ai/ha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에서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bensulfuron-methyl 102g aijha 단제처리구에서는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심해졌으며, 이들의 혼합처리(混合處理區)에 있어서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작아졌다. 또한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ron-methyl 102g a.i/ha을 혼합처리하였을 때 저온조건(低溫條件)에서의 quinclorac 600g ai/ha 단제처리나,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bensulfuron-methyl 102g ai/ha 단제처리보다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적었다. 온도(溫度)에 따른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 변화(變化)는 총(總) 건물중(乾物重)의 실측치(實測値)와 기대치(期待値)의 차이가 저온조건(低溫條件)에서 -32.44, 적온조건(適溫條件)에서 -21.92,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21.53으로서 온도(溫度)가 낮아질수록 길항효과(括抗效果)가 컸다.

  • PDF

Genetic diversity and herbicide resistance of 15 Echinochloa crus-galli populations to quinclorac in Mekong Delta of Vietnam and Arkansas of United States

  • Le, Duy;Nguyen, Chon M.;Mann, Richard K.;Yerkes, Carla N.;Kumar, Bobba V.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72-477
    • /
    • 2017
  •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is one of the worst weeds in rice (Oryza sativa), but there are few reports about the genetic diversity and herbicide resistance of barnyardgrass in Vietnam. In this study, we use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and greenhouse testing to study the genetic diversity and quinclorac resistance levels of 15 Echinochloa crus-galli populations in the Mekong Delta, Vietnam, and the state of Arkansas, U.S. The quinclorac resistance of Echinochloa crus-galli populations in Vietnam was confirmed; 9 populations were resistant to quinclorac with R/S ratios ranging from 1.9 to 6.3. Six oligonucleotide primers produced a total of 55 repeatable bands of which 46 were polymorphic (83.3% average) among the 15 populations. Genetic distance was calculated, and cluster analysis separated the 15 populations into 2 main clusters with the genetic distances within the clusters ranging from 0.09 to 0.39. The two main clusters were divided into 7 subclusters, and the quinclorac resistant and susceptible populations were located randomly within each subcluster. Six out of 13 weed populations from Vietnam belonged to one cluster and a single Echinochloa species. The remaining 7 population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ly different species in the Echinochloa genus. Nine Echinochloa populations from Vietnam were tested and identified as quinclorac resistant. The connection between quinclorac resistance levels and weed groups defined by RAPD analysis in the study is unclear; the quinclorac resistance of each resistant population could have evolved individually,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genetic diversity and location of the sampled pop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