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POC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경안천 유역의 강우 시, 비 강우 시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Kyongan River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and Dry Season)

  • 김태원;길경익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7-404
    • /
    • 2011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Kyongan river watershed. Samples were taken 27 times during dry season, 4 times during rain events and analyzed into flow rat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Carbon (R-DOC), Refractory Particulate Organic Carbon (R-POC). R-DOC during dry season was the lowest in winter and showed a rising tendency in spring and R-POC changes less than R-DOC. The mass loading of Refractory Total Organic Carbon (R-TOC) in summer takes approximately 80% of 1 year mass loading. During rainy season, EMC of R-DOC was similar to R-DOC in dry season. But maximum EMC of R-POC was 12 times higher than that of R-POC in dry season.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enhanced management of R-DOC in dry season and R-POC in rainy season is needed.

MODIS를 이용한 춘.하계 동해 서남부 해역의 해수 중 입자성 유기탄소 함량 추정 알고리즘 개선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lgorithms for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during spring-summer period using MODIS Aqua)

  • 홍기훈;안유환;손영백;유주형;김창준;양동범;김영일;정창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7-120
    • /
    • 2011
  • 동해에서 입자성 유기탄소(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함량을 위성 관측으로 추정하기 위해 MODIS AQUA 위성 자료와 2006~2010 년 춘계와 하계에, 동해 서남부 해역의 30 개 정점에서 화학 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POC 함량 자료를 원격 반사도, 확산광소산계수 등 MODIS Aqua 해색 위성 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현장 값에 가장 근접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해수 중 POC 함량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위성 자료가 현장 값에 가장 근접하는 경우는 $R_{rs}$(488)와 $R_{rs}$(555) 비율을 이용하는 경우로서 거듭 제곱형태로 $POC=266.85^*[R_{rs}(488)/R_{rs}(555)]^{-1.447}$ ($R^2=0.924$)이고, 평균 제곱근 오차는 20.9 mg $m^{-3}$로 양호하였다. 부유 입자 중 POC 이외 물질의 함량은 상기 알고리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동해 서남부 해역의 춘계와 하계에 대해서는 이 해역의 광학특성을 반영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MODIS Aqua 해색 위성 관측 자료로부터 표층 해수의 POC 함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유기물에 대한 조류영향 (Effect of Algal Fraction to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Upper Regions of a Brackish Lake Sihwa)

  • 최광순;김세원;김동섭;허우명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499-506
    • /
    • 2013
  •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유기물에 대한 조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5년과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기수역내 7개 지점을 대상으로 입자성유기탄소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식물플랑크톤 색소(chlorophyll a; Chl-a), pheophytin a; Pheo-a)의 시공간적 변동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POC 농도는 $1.0{\sim}76.6mgL^{-1}$ (평균 $7.4mgL^{-1}$)의 범위로 봄에 높은 계절변화를 보였으며, 염분성층이 강하고 고탁도층이 형성되는 중류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살아있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의 지표로 이용되는 Chl-a 농도는 $1.3{\sim}942.9{\mu}gL^{-1}$ (평균 $71.0{\mu}gL^{-1}$) 범위로 매우 높은 값을 보였고, 4월에 중류부에 최고치를 보여 POC와 유사한 변동을 보였다. 한편 Pheo-a 농도는 $1.4{\sim}1,545.5{\mu}gL^{-1}$ (평균 $59.9{\mu}gL^{-1}$)의 범위로, total Chl-a의 평균 44.2%로 죽거나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OC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색소와 강한 양의 상관(Chl-a (r=0.93), total Chl-a (r=0.88), >Pheo-a (r=0.81))을 보였는데, 이는 시화호 기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이 POC의 중요한 기원임을 시사한다. 한편 식물플랑크톤 색소와 POC와의 회귀식으로부터 POC/Chl-a 비(82.9)보다 POC/total Chl-a 비(35.9)가 하구에서 조사된 POC/Chl-a 비(40~60)에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시화호 기수역과 같이 Pheo-a 농도가 높은 수역에서는 조류기원성 POC를 산정하거나 또는 수체의 POC 농도에 대한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를 평가할 때 Chl-a 농도와 함께 Pheo-a 농도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남한강 지역의 건기 시, 강우 시,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South-Han River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and Dry Season)

  • 길경익;김태원;정명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6-313
    • /
    • 2011
  • In this paper, runoff characteristics of South-Han river watershed in term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wer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DOC, POC, R-DOC, R-POC in runoff and flow rates were determined by monitoring 27 times in dry season and 4 times in rainy season. The concentrations of the dissolved refractory organic matter, R-DOC was the lowest in fall and similar in the other dry seasons. The particulate refractory organic matter, R-POC showed less fluctuation than R-DOC. In summer, mass loading was the highest than other dry seasons. The concentrations of R-DOC, R-POC were showed to be affected by runoff volume. The mass loading grows higher as runoff volume gets higher.

Soil Carbon Dioxide Flux and Organic Carbon in Grassland after Manure and Ammonium Nitrate Application

  • Lee, Do-Kyoung;Doolittle, James J.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8-244
    • /
    • 2005
  • Fertilization effects on changes in soil $CO_2$ flux and organic C in switchgrass (Panicum virgatum L.) land managed for biomass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The mean daily soil $CO_2$ flux in the manure treatment was 5.63 g $CO_2-C\;m^{-2}\;d^{-1}$, and th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value of 3.36 g $CO_2-C\;m^{-2}\;d^{-1}$ in the control. The mean daily $CO_2$ fluxes in N and P fertilizer treatments plots were not different when compared to the value in the control plots. Potentially mineralizable C (PMC), soil microbial biomass C (SMBC), and particulate organic C (POC) were highest at the 0 to 10 cm depth of the manure treatment. Potentially mineralizable C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SMBC (r = 0.91) and POC (r = 0.84). There was also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MBC and POC (r = 0.90). Our results indicated that for the N and P levels studied, fertilization had no impact on temporal changes in soil organic C, but manure appli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mporal changes in soil $CO_2$ evolution and active C constituents such as PMC, SMBC, and POC.

아산만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 (Nutrients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Asan Bay)

  • 문창호;박철;이승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81
    • /
    • 1993
  • 아산만에서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영양염은 8월에 높고 2월에 낮았으며 무기 질소와 인산 인의 원자비는 5월의 24.8을 제외 하고는 Redfield ratio와 유사하였다. 5월에 인산 인을 제외한 다른 영양염들은 염분이 $31.5{\sim}32.0\%0$까지는 염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그 후 다시 증가하여 하구 내에서 영양염 공급이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러나 8월의 조사에서 영양염과 염분이 좋은 역상관 관계는 이 시기에 영양염 공급원이 담수 유입으로 추정된다. chlorophyll a 농도는 5월에 최대이었고 조사시기 동안 Rb/Ra(Rb: fluorescence before acidification, Ra: fluorescence after acidification) 비가 비교적 낮아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이 생리적으로 성장하기에 나쁜 환경에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입자성 유기 규소(PBSi)와 입자성 유기탄소(POC)의 비가 낮고 PBSi/chlorophyll a 비 및 POC/chlorophyll a 비가 상대적으로 높아 아산만에서 저층으로부터 많은 non-living detritus의 공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비강우시 한강수계 하천의 연간 난분해성 물질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Han River Basin during Dry Days)

  • 허상회;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3-358
    • /
    • 2017
  • 2,600만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인 한강수계의 경우 수질관리를 위해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특히 비점오염원이 주요 원인인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의 주요 3개 하천(남한강, 북한강, 경안천)의 연간 비강우시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포함한 유기물질의 유출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의 경우 용존성 물질의 비율이 높았으며 전체 부하량중 여름철에 대부분의 부하량이 가장 많았다. 각 하천별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의 연간 부하량의 경우 유역면적에 비례하여 남한강, 북한강, 경안천 순서로 나타났다. 각 유역 면적 당 부하량 산정결과 TOC의 경우 경안천, 남한강, 북한강 순서로 나타났으며, R-TOC의 경우 비교적 일정한 유출특성을 보였다.

합천호의 TOC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TOC Distribution in Lake Hapcheon)

  • 성진욱;김형진;박제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11-71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budget of organic matter in the Lake Hapcheon. In the dry season, the concentration ranges of organic carbons were similar, but in the rainfall season, it showed about double concentrations. Changes of vertical water quality in the lake,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with the concentration by the depth. However, it tends to be relatively high on the surface, a little low on the mid-depth and high in the lake bottom. DOC rate at TOC, it was lower than POC rate at inflow and DOC rate was higher than POC rate in the lake and discharging water. R-DOC accounted for more 80% of DOC rate in all investigated areas, therefore we judge that this R-DOC is to increase the organic carbon pollution gradually. As the result of the calculated organic carbon budget in the Lake Hapcheon, the amount of allochthonous, autochthonous and release were 3,552, 3,288, 228 tonC/year, respectively. the amount of discharge, decomposition and sedimentation were 504, 1,344, 5,520 tonC/yea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investigation, the changed amount of organic matter in the Lake Hapcheon recorded -300 tonC/year with the increase of 7,068 tonC/year and the decrease of 7,368 tonC/year.

갯벌의 수직적 환경 특성 (The vert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sediments)

  • 김종구;유선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29
    • /
    • 2000
  • As one of the fundamental survey to evaluate 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at the tidal flat sediments, we studied vert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ree tidal flat sediments, Chunjangdae, Eueunri and Gyewhado. These are dissmilar to external feature in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ed; As the results of particle analysis, Eueunri tidal flat fediment located in Keum river estuary consists of 98.98% as silt & clay, Chunjangdae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SeocheonGun consists of 97.99% as sand. And Gyewhado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Saemankeum in Saemankeum area consists area consists of 32.81% as silt & clay and 67.19% as sand.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I.L., COD, POC, PON) in Eueunri tidal flat sediment which highly content of silt & clay were 3~4 times higher than others.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 at each layer were slightly increase goes with deepen layer.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I.L. and COD, POC, PON were obtaine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 range of 0.821~0.940.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pH and COD, POC, PON were high(>r=0.9). Filteration rate in Chunjangdae tidal flat sediment was 0.01584cm/s as mean value, but the other were almost nothing filtered off.

  • PDF

동해 극전선의 영양염류 순환과정 II. 1995년 동계 입자태 유기탄소 및 유기질소의 분포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II.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n Winter, 1995)

  • 양한섭;문창호;오석진;이행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2-450
    • /
    • 1997
  • 본 연구는 부경대학교 해양탐사선인 탐양호를 이용하여 1995년 2월 14일에서 17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를 이용한 T-S diagram 및 $T-O_2$ diagram 으로부터 수괴는 5개의 Type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T-S diagram에서는 잘 구분되지 않았던 Type IV와 Type V는 $T-O_2$ diagram에서 뚜렷이 구분되었다. 하지만 기존 수괴와 명확히 일치하지 않는 것은 본 조사가 동계에 실시되어 표층수온의 감소로 인하여 수괴의 수직혼합이 강하게 일어나서 생긴 현상으로 사료된다. 영양염류의 수괴별 농도분포를 보면, Type I, Type II, Type III은 서로 거의 비슷한 농도를 보였지만 Type IV에서 Type V로 갈수록 증가되었다. 그리고 동일 수괴에서 농도범위가 넓게 나왔는데, 이는 수온약층의 약화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N/P ratio은 모든 water type에서 Redfield ratio 이하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질산염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chlorophyll $\alpha$의 농도는 $0\~8\;{\mu}g/\ell$의 범위로, Type I에서 최대였고 Type IV와 Type V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입자성 유기탄소와 유기질소의 농도는 각각 $0.49\~20.03\;{\mu}g-at/\ell$$0.09\~5.34\;{\mu}g-at/\ell$ 범위로서, 수심의 증가에 따라 그 농도가 감소하고, 연안에서 외양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Water type별 농도는 Type I > Type II > Type III > Type IV > Type V의 순서로 수심의 증가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즉 이들 입자성 유기물질은 수괴별로 어떤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며, 수심에 따라서 농도가 변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POC/PON의 원자비는 3.23으로 Redfield ratio 이하로 나타났다. 이것은 POC보다 PON이 더 난분해성이라 침강하는 동안 POC는 분해되지만 수직혼합에 의해 PON은 다시 재부유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POC/chlorophyll $\alpha$의 평균값은 1962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non-living detritus가 POC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