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TI model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3초

산사태 경보를 위한 RTI 모델의 적용성 평가 (A Feasibility Study of a Rainfall Triggeirng Index Model to Warn Landslides in Korea)

  • 채병곤;최정해;정해근
    • 지질공학
    • /
    • 제26권2호
    • /
    • pp.235-250
    • /
    • 2016
  • 우리나라는 여름철 강수량이 연 강수량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일 강우량이 200 mm가 넘는 극한강우가 증가하고 있다. 강우는 산사태를 유발하는 가장 직접적인 인자로서 이를 활용한 산사태 발생 예측 기준을 설정하고 경보를 발령하여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발생한 산사태이력 중 발생시점 및 장소가 분명한 12개소를 선정하고 각 지역의 강우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RTI (Rainfall Triggering Index) 모델에 사용된 각 인자들을 한국의 산사태 유발 강우특성에 따라 적정성을 검토하여 반영하고 강우강도의 단위시간을 달리한 3가지 모델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60-minutes RTI 모델은 3개소에서 산사태 발생 예측에 실패하였으며, 30-minutes RTI 모델 및 10-minutes RTI 모델은 모두 사전예측 가능하였다. 각 모델별 산사태 발생 경보에 따른 평균 대응시간은 60-minutes RTI model이 4.04시간, 30-minutes RTI model과 10-minutes RTI model은 각각 6.08과 9.15시간으로 단위시간이 짧은 강우강도를 사용한 RTI 모델이 산사태 사전예측실패 가능성이 적고 보다 긴 대응시간을 확보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산사태 발생 예측을 통한 대응시간은 단위시간을 세분화한 모델일수록 더 많은 시간을 확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시간 내 발생하는 변동성이 큰 강우강도 가진 한국의 강우특성을 고려할 때 시간 단위 이하의 강우강도를 적용하는 것이 RTI 모델을 통한 산사태 예측과 조기경보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TI 경보모델을 이용한 강원도 인제지역의 산사태 가능성 및 발생시간 분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nalysis of Landslide Potential and Triggering Time at Inje Area using a RTI Warning Model)

  • 채병곤;;조용찬
    • 지질공학
    • /
    • 제18권2호
    • /
    • pp.191-196
    • /
    • 2008
  • 이 연구는 집중호우시 산사태의 발생가능성과 발생시간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존에 개발된 RTI 경보모델을 우리나라에 적용 분석한 사례이다. RTI(Rainfall Triggering Index)는 강우강도(I) 유효 누적강우량($R_t$)의 곱으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강우기간 동안 특정 시간(t)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RTI의 상부임계값($RTI_{UC}$)과 하부임계값($RTI_{LC}$) 과거 산사태 발생시 강우자료 분석을 통해 각 지역별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강우강도가 상부임계값을 초과할 때 실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궁극적으로 향후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특정지역의 산사태 발생가능성은 물론 산사태 발생시기를 예상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전에 산사태 발생경보를 발령하는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2006년 7월 13일부터 7월 19일까지 강원도 인제군 일대에 내린 강우자료와 산사태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제 산사태가 발생한 7월16일 오전 11시경을 기준으로 23시간, 11시간, 9시간 전에 강우강도가 RTI의 상부임계값을 초과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와 같은 세 차례에 걸친 산사태 경보의 발령이 필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Java/RTI를 위한 Test Suite 개발 (Development for Java/RTI Test Suite)

  • 이정욱;김용주;김영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49-752
    • /
    • 2003
  • HLA(High Level Architecture)는 미 국방성에서 제안한 분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실시간 분산 데이터 공유를 위한 객체, 시간, 인터페이스 규격을 말한다. 이 HLA는 (1) Rules, (2) Interface Specification, (3) Object Model Template 둥의 3가지 구성요소로 정의되며, 인터페이스 명세를 구현한 것이 RTI(Run-Time Infrastructure)이다. RTI는 분산 운영체계가 응용 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Federation을 구성하고 있는 Federate들에게 상호연동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든 서비스들이 표준에 적합하게 구현되었는지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은 DMSO에서 제안한 RTI를 검증하기 위한 2단계 과정을 통해 테스트된다. 본 논문에서는 1단계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절차와 그 방법에 대해 논한다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각 영역에서 DMSO에서 제안한 Level One Test Procedures에 따라 RTI가 Interface Specification에 적합하게 구현되었는지 확인하며, 각 단계마다 올바른 명령과 예상된 결과가 나오는지 테스트하기 위한 Test Suite를 개발한다.

  • PDF

RTI Model and Its Applicability in Educational Settings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 Jun, Myongnam;Kim, Namok;Yang, Myonghee;Kwon, Daehoon;Hong, Daewoo;Choi, Hyeona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7권2호
    • /
    • pp.79-83
    • /
    • 2015
  • The Response to Intervention(RTI) approaches is the method to help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learning difficulties in advance and provide an appropriate level of intervention.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model RTI were reviewed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We considered RTI as supporting system to document students' progress and its applicability for the general educational setting in Korean school. The tier of RTI make it possible the evidence based individual instruction and counseling, differentiated step-by step approach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In conclusion, RTI can be used as educational tools for dealing with improvement of academic subjects learning,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For building high quality implementing for RTI it is needed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counselors and learning consultants and related educators.

HLA 패더레이트 개발을 위한 ROM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OM Framework for Developing HLA Federate)

  • 김대석;배종환;류재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6호
    • /
    • pp.1137-1144
    • /
    • 2002
  • 패더레이션의 개선 가능성은 구성된 멤버 패더레이트들에게 유연성과 적응성을 요구하게 된다. 더욱이 비 연동화 모델을 HLA(High Level Architecture) 패더레이트로 개발하고 이를 가변적인 특성 패더레이션에 연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ROM(RTI Object Model)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ROM은 RTI(Run-Time Infrastructure) 프로그래밍과 패더레이트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을 완벽하게 분리시킴으로써 가변성 있는 FOM을 지원할 수 있는 HLA 패더레이트 개발을 비용과 생산성 측면에서 획기적인 효율을 제공하게 되었다. 즉 ROM은 RTI와 패더레이트 사이에 RTI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계층과 실제로 객체 및 강호작용을 갱신 또는 반영하는 Foundation Class 계층을 두어 패더레이트 개발자들에게 보다 일반화된 HLA 서비스 사용환경을 제공해주고 동시에 반복적이고 하위수준의 RTI 프로그래밍을 자동화 할 수 있게 하였다.

HLA RTI에서의 FMS(Federation Management System)의 Design 및 Implementation (IN HLA RT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MS (Federation Management System))

  • 황정연;김호경;정창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64-66
    • /
    • 2002
  • HLA(High Level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들은 분산 환경에서 수행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시뮬레이션들은 지난 몇 년 동안 계속해서 그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런 분산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킬 때 페더레이트(federate)들의 오동작으로 네트워크의 혼잡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분산 시뮬레이션을 관리 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HLA 개발자들은 페더레이션(federation)의 내부를 알기 위해서 객체 모델을 개발했고, 이것을 Management Object Model(MOM) 이라고 한다. HLA MOM은 페더레이션을 모니터링과 컨트롤하며 관리 할 수 있게 한다. HLA RTI는 페더레이트간에 효율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게 하는 분산 운영 시스템이며 MOM을 통해서 RTI의 운영정보에 접근하고, 수행을 통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MOM을 이용할 경우 RTI 운영 정보들은 기존의 RTI 서비스를 이용해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런 특성으로 인해 시스템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구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LA MOM을 이용한 페더레이션을 관리 하는 FMS(federation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RTI기반 시뮬레이션의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연동모델의 모듈화 방안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f the Modularity of Federation Object Model to Improve Interoperability of RTI-based Simulations)

  • 심준용;조원섭;진정훈;김세환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39-146
    • /
    • 2009
  • 최근 국방관련 소프트웨어 산업은 자원 및 비용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M&S(Modeling & Simulation) 기반의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을 늘리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 모의되는 개체의 재사용성과 개체 간 상호운용성의 제공은 핵심기술 중 하나이다. HLA 인터페이스 표준 구현물인 RTI는 이러한 핵심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써, 시뮬레이션에 참여하는 모의기 간 정보교환을 위해서 시뮬레이션 연동모델인 FOM(Federation Object Model)을 사용하며, 각각의 모의기는 참여하는 시뮬레이션 내에서 동일한 FOM을 소유해야만 하는 특징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기 개발된 HLA/RTI 기반의 시뮬레이션 네트워크 관리자에 적용된 연동모델의 재사용성과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SISO 표준인 BOM(Base Object Model) 모델의 특징을 살펴보고, FOM 모델의 모듈화를 통해서 시뮬레이션 네트워크 관리자의 구조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분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HLA DEVS-Obj-C 환경 구축 (Devlopment HLA DEVS-Obj-C Environment for Distributed Simulation)

  • 최두진;조대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89
    • /
    • 2002
  • Development of distributed simulation environment must be required in order to simulate the distributed models regionally and inter-operate with running simulations individually, Simulation based on DEVS formalism is difficult to simulate the distributed models. DEVS formalism is modeling methodology. To specify model, this formalism separates behavior and structure, therefore it is able to design complex model easily. HLA is standard framework of distribute simulation environment, It is defined to facilitate the interoperability and the reusability. RTI (Run Time Infrastructure) is software that provides common service to simulation systems and implementation of the HLA Interface Specification. Method of implementation is that modules cooperating with RTI are added to simulator on DEVS simulation environment. On the DEVS simulation environment (DEVS-Obj -C) that already developed, Highest class of abstract simulator uses service that RTI provide, then This environment is able to change DEVS model into Federate and run distribute simulation that inter-operates with the RTI. Because this distributed simulation environment includes convenience of modeling that obtains through the DEVS formalism and accompanies HLA standard, this environment make it possible to simulate with_ complex systems and heterogeneous simulations

  • PDF

표준연동 아키텍처(HLA/RTI)기반 다해상도 연동 시뮬레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lti-resolution Interoperation Simulation using HLA/RTI)

  • 이상태;이승영;황근철;김세환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1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표준연동 아키텍처(HLA/RTI)기반 다해상도 연동이 가능한 시뮬레이션을 구성하여 공학급(QUEST), 교전급(SADM), 임무급(EADSIM)의 모델을 연동하였다. 공학급 모델은 전투실험 공학분석 시범체계에서 개발된 전투실험 통합개발환경(QUEST)을 이용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교전급 모델은 SADM을 이용하여 개발하고 임무급 모델은 EADSIM을 이용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여러 계층의 모델을 연동하기 위해 표준 연동 아키텍처 기반(HLA/RTI)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각기 다른 분산된 환경에서 수행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이 상호 연동을 위해 표준 연동 인터페이스 명세에 만족하는 연동 시뮬레이션을 설계하고 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간의 중계 역할을 담당하는 통합연동 게이트웨이를 개발하였다. 다해상도 연동 시뮬레이션을 통해 여러 계층 간의 모델을 연동하여 해양 무기체계 효과도 분석을 위한 모델충실도를 향상하고 운용자 필요에 따라 요구되는 전장 환경을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표준연동 아키텍처(HLA/RTI)를 기반으로 설계하게 된 다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도 쉽고 효율적으로 연동할 수 있다.

Java/RTI를 위한 Level One Test Procedures 구현 (Implementation of Java/RTI Level One Test Procedures)

  • 이정욱;김용주;김영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50
    • /
    • 2003
  • HLA (High Level Architecture) is the object, time, and interface standard that proposed for distribution simulation in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The HLA is defined by three components: Rules, the HLA Interface Specification, and the Object Model Template (OMT). The RTI (Run-Time Infrastructure) software implements the interface specification. It provides services to simulation applications. To test whether a RTI software is suitable for the standard and all service was implemented is performed through two phases of processes proposed by DMSO. In this paper, we implement Level One Test Procedures of DMSO and apply to NetCust's RTI software.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