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Induced Grafting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Surfac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Membrane by ${\gamma}$ Irradiation Methods and their Solutes Permeation Behaviors

  • Shim, J. K.;Lee, S. H.;Kwon, O. H.;Lee, Y. M.;Nho, Y. C.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9-101
    • /
    • 1998
  • 1. Introduction : The conventional grafting polymerization technique requires chemically reactive groups on the surface as well as on the polymer chains. For this reason, a series of prefunctionalization steps are necessary for covalent grafting. The surface prefunctionalizational technique for grafting can be used to ionization radiation, UV, plasma, ion beam or chemical initiators. Of these techniques, radiation method is one of the useful methods because of uniform and rapid creation of active radical sites without catalytic contamination in grafted samples. If the diffusion of monomer into polymer is large enough to come to the inside of polymer substrate, a homogeneous and uniform grafting reaction can be carried out throughout the whole polymer substrate. Radiation-induced grafting method may attach specific functional moieties to a polymeric substrate, such as preirradiation and simultaneous irradiation. The former is irradiated at backbone polymer in vacuum or nitrogen gas and air, and then subsequent monomer grafting by trapped or peroxy radicals, while the latter is irradiated at backbone polymer in the presence of the monomer. Therefore, radiation-induced polymerization can be used to modification of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ic materials and has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because it imparts desirable properties such as blood compatibility. membrane quality, ion excahnge, dyeability, protein adsorption, and immobilization of bioactive materials. Synthesizing biocompatible materials by radiation method such as preirradiation or simultaneous irradiation has often used $\gamma$-rays to graft hydrophilic monomers onto hydrophobic polymer substrates. In this work, in attempt to produce surfaces that show low levels of anti-fouling of bovine serum albumin(BSA) solutions, 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was grafted polypropylene membrane surfaces by preirradiation technique. The anti-fouling effect of the polypropylene membrane after grafting was examined by permeation BSA solution.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Fluoropolymer Membrane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 Choi, Jae-Hak;Kang, Phil-Hyun;Lim, Youn-Mook;Sohn, Joon-Yong;Shin, Jun-Hwa;Jung, Chan-Hee;Jeun, Joon-Pyo;Nho, Young-Chang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9권1호
    • /
    • pp.52-56
    • /
    • 2007
  • A proton exchange membrane was prepared by ${\gamma}-irradiation-induced$ grafting of styrene into poly(tetrafluoro-ethylene-co-perfluoropropyl vinyl ether) (PFA) and subsequent sulfonation reaction. The degree of grafting (DOG)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bsorbed dose. The prepared membranes showed high ion exchange capacity reaching 3.0 meq/g, which exceeded the performance of commercially available perfluorosulfonic acid membranes such as Nafion. The proton conductivity of PFA-g-PSSA membrane increased with the DOG and reached 0.17 S/cm for the highest sample at room temperature. The DMFC performance of the prepared membranes with 50% DOG was comparable to that of Nafion membrane.

불소수지 필름에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스틸렌의 방사선 그라프트 공중합 (Radiation-Induced Graft Copolymerization of 2-hydroxyethyl-methacrylate and Styrene onto Polytetrafluoroethylene)

  • 노영창;;;진준하
    • 공업화학
    • /
    • 제3권3호
    • /
    • pp.491-498
    • /
    • 1992
  •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나 스틸렌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gamma}-ray$를 사용한 동시조사법으로 불소수지 필름에 공중합시켰다. 단량체 농도, 조사속도, 조사량, 용매형태 및 HEMA와 스틸렌의 혼합조성비가 방사선 그라프트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HEMA 단독으로 불소수지 필름에 그라프트시킨 경우의 그라프트율은 자주 적었으나 HEMA와 styrene 혼합물의 그라프트 공중합은 좋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그라프트 용액에 황산을 첨가하면 그라프트율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 PDF

방사선 그래프트에 의한 반투막 제조연구 (Preparation of Permselective Membrane by Mean of a Radiation-Induced Grafting)

  • Young Kun Kong;Hoon Seun Chang;Chong Kwang Lee;Jae Ho Cho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10
    • /
    • 1983
  • Grafting과 주형용액 성분의 조절에 의한 붕괴 반웅과 방사선애 의한 graft 중합의 공간적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스틸렌-셀루로즈 아세테이트 grafts의 내절연성은 스틸렌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한 반면 친수성 단량체에 관한 grafts는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동시 조사법에 의해 graft된 셀루로즈 아세테이트막과 비교해 보면 전조사법에 의해 graft된 막은 ${\gamma}$선 또는 전자선의 방사선선량과 graft %에 관계없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 VP:St: BPO 시스템내 디비닐벤젠 (DB) 또는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레이트(TMPT) 같은 가교제의 혼합으로 점차 graft %는 증가되었다. 셀루로즈 아세테이트막에 대한 St:VP:BPO 용액의 grafting에 관한 활성화 에너지는 55$^{\circ}$-8$0^{\circ}C$에서 약 21.8Kca1/mole이었다. Grafting의 초기속도 (%/hr)는 선량강도의 0.76 승에 비례하였다.

  • PDF

방사선에 의한 폴리에칠렌의 난연성전선 및 케이블에 관한 연구 (Applications of Irradiation to Polyethylene for Flame Retarded Wire and Cable Insulation)

  • Young Kun Kong;Hoon Seun Chang;Chong Kwang Lee;Jae Ho Cho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245-253
    • /
    • 1981
  • 고분자피복재 중 polyethylene은 전기적 절연성 및 내방사선성이 좋으나 난연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이 단점을 개질하였다. 방사선을 이용하여 polyethylene에 여러 종류의 난연제를 고착시켰는데 grafting 방법과 blending후 crosslink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grafting시키는 경우 시료에 난연제가 고착되는 량은 방사선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Grafting 방법으로 polyethylene에 난연제를 고착시킬 때 시료를 팽윤(swelling)시켜서 난연제를 grafting시켜야 한다. Blending 한 후 crosslinking시킨 경우 시료와 난연제의 량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blending하여 crosslinking시킬 수 있는 이질이 있다. 난연제를 고착시키는 2가지 방법중 blending후 crosslinking 시키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 PDF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스틸렌의 방사선 그라프트 반응에서 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Additives on the Radiation-Induced Grafting of Styrene onto Polypropylene Fabric)

  • 박종신;노영창;진준하;이면주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938-945
    • /
    • 1996
  • Co-60 조사하에서 동시조사법으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스틸렌을 그라프트 중합반응시키면서 조사량, 조사선량률, 용매효과, 산 및 다관능성 단량체의 첨가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같은 조사량의 경우 조사선량률이 낮을수록 그라프트율은 증가하였다. 초기의 그라프트 반응속도는 조사선량의 0.56차수에 비례하였다. 산을 그라프트용액에 첨가하면 전 농도 범위에서 그라프트율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다관능성 단량체를 첨가하여도 그라프트율이 증가하였다. 2개의 비닐기를 가진 DVB에 비하여 3개의 비닐기를 가진 TMPTA를 첨가하면 더 높은 그라프트율을 나타냈다. 한편 산과 다관능성 단량체를 동시에 첨가하면 별개로 첨가한 것보다 훨씬 높은 그라프트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 PDF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아크릴산의 방사선 그라프트 반응에서 금속염의 효과 (Radiation-Induced Grafting of Acrylic Acid onto Polypropylene Fabric in the Presence of Metallic Salt)

  • 노영창;박종신;진준하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946-953
    • /
    • 1996
  • 동시조사법에 의한 아크릴산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그라프트 반응에서 조사량, 조사선량률, 금속염 및 용매가 그라프트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같은 조사선량에서는 선량률이 낮을수록 높은 그라프트율을 나타냈다. 한편 조사선량률을 달리하여 일정 시간 동안 그라프트 반응시키면 조사선량률이 높을수록 그라프트율은 높았으며, 첨가한 금속염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라프트 속도는 조사선량률의 0.74 차수에 비례하였다. 사용한 금속염 중에서 $FeSO_4{\cdot}7H_2O$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첨가제의 함량이 증가하면 할수록 그라프트율은 감소하였지만 적정농도이하에서는 그라프트용액이 고화되어 그라프트 반응시킬 수 없었다.

  • PDF

방사선 중합법에 의한 Kapok 이온교환 섬유의 합성 (Preparation of Son Exchange Kapok Fiber by Radiation Polymerization)

  • 조인희;강필현;임윤묵;최재학;황택성;노영창
    • 폴리머
    • /
    • 제31권6호
    • /
    • pp.512-517
    • /
    • 2007
  • [ $Co_{60}\;{\gamma}-ray$ ] 방사선 조사법을 이용하여 kapok 섬유에 styrene, glycidylmethacrylate(GMA) 또는 acrylic acid(AAc)를 그래프트 공중합 반응하여 합성한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율은 단량체의 농도와 방사선 조사량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합성된 이온교환 섬유의 도입된 관능기를 확인하고 이온교환 능을 측정하였으며, SEM과 FT-IR을 통하여 이온교환 섬유의 표면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방사선 중합법에 의한 PE 코팅 PP 복합섬유를 이용한 가교 및 비가교 POF 양이온교환 섬유의 합성 및 중금속 흡착 (Synthesis of POF Cation Exchange Fibers Using PE Coated PP Matrix by Radiation-Induced Polymerization and Their Adsorption Properties for Heavy Metals)

  • 조인희;백기완;임윤묵;노영창;황택성
    • 폴리머
    • /
    • 제31권3호
    • /
    • pp.239-246
    • /
    • 2007
  • [ $Co^{60}\;{\gamma}-ray$ ] 선원에 의한 그래프트 공중합 반응을 통해 설폰화 이온교환 섬유를 합성하였다. 그래프트 공중합 반응의 경우 총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그래프트율이 증가하였으며, 가교제인 divinylbenzene을 첨가하여 공중 합하였을 때 최대 1000%의 그래프트율을 보였다. 또한 이온교환 섬유의 설폰화율이 증가할수록 이온교환용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가교제가 첨가된 설폰화 POF-co-St/DVB 이온교환 섬유의 이온교환용량이 5.06 meq/g로 설폰화 POF-co-styrene 이온교환 섬유에서 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온교환 섬유의 중금속 이온 흡착량은 섬유의 그래프트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Removal of cobalt ions from aqueous solution using chitosan grafted with maleic acid by gamma radiation

  • Zhuang, Shuting;Yin, Yanan;Wang, Jianlo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211-215
    • /
    • 2018
  • Chitosan was modified by gamma radiation-induced grafting with maleic acid and then used for the removal of cobalt ions from aqueous solutions. Chitosan-g-maleic acid was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The effect of the dose (1-5 kGy) and monomer concentration (0.3-1.3%, m/v) on the grafting ratio was examined. The adsorption kinetics and isotherm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al dose for grafting was 2 kGy. When monomer concentration was within the range of 0.3-1.3% (m/v), the grafting ratio increased almost linearly. For the adsorption of cobalt ions by chitosan-g-maleic acid beads, the pseudo second-order kinetic model ($R^2=0.99$) and Temkin isotherm model ($R^2=0.96$) were able to fit the experimental data reasonably well. The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y of cobalt ions increased from 2.00 mg/g to 2.78 mg/g after chitosan mod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