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Safety Manag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 보수교육의 현황에 따른 정합성 판단 (Determination of Consistency according to the Status of Supplementary Education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Managers)

  • 김승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7권1호
    • /
    • pp.7-12
    • /
    • 2024
  • Medical institutions wishing to install and operate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must complete appointment training within one year of appointment based on the 「Medical Act」 and the 「Rules on Safety Management of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 Devices」 which will come into effect on January 1, 2024. Additionally, You must receive supplementary education every three years from the date you received it. The strengthening of safety management for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used in medical institutions means that although the radiation exposure that may occur when using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is low, the risk of carcinogenesis may be higher than previously evaluated. In addition, safety management of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can be said to be an essential requirement becaus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cidence of leukemia and other diseases is increasing in diagnostic radiation tests. However, the safety management training targets and programs for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operated by other organizations other than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dition, since the public institu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re divided, there is a risk of duplicative, excessive, and under-administrative application to medical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install and operate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Therefore, we would like to determine their consistency by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cases and the provisions of the 「Medical Act」 and the 「Nuclear Safety Act」.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에 대한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 조사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RSM) for the Educated Training of the Dental Diagnostics X-ray Generators)

  • 이미현;유윤식;이재승;임인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467-47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를 설치 및 가동 중인 전국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를 설문 조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이 분석하여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안전한 이용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방사선 안전 관리와 관계되는 원자력 관계 법령 및 국내 방사선 안전성 평가 및 규제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한 용역 보고서를 참고하여 포괄적인 문헌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방사선안전관리자의 위상, 방사선 안전관리 현황과 지식 및 의식 수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교육기관 내 방사선안전관리자와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를 운전 가능한 학사 및 실습 조교, 전임 교원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설문 응답 누락 및 불충분한 응답을 제외한 95부를 회수하여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일반적 특성 및 방사선안전관리자의 위상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방사선 안전 관리 현황과 지식 및 의식 수준은 빈도 분석과 설문 문항별 연관성 분석을 위한 ${\chi}^2$ 검정(chi-square test)과 수준간 연관성을 구하기 위한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운영은 대부분 대학 이상의 사회적 교육 수준이 높고 치위생학을 전공한 20대에서 40대의 여성이 담당하고 있었으며 남성과 비교하여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적 관계를 보였다(${\chi}^2$ >5, 0.1${\chi}^2$ >5, 0.3${\chi}^2$ >5, 0.3

A Method for Operational Safety Assessment of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for Spent Fuels

  • Jeong, Jongtae;Cho, Dong-Keun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spc호
    • /
    • pp.63-74
    • /
    • 2020
  • The operational safety assessment is an important part of a safety case for the deep geological repository of spent fuels. It consists of different stages such as the identification of initiating events, event tree analysis, fault tree analysis, and evaluation of exposure doses to the public and radiation workers. This study develops 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method for the operational safety assessment and establishes an assessment framework. For the event and fault tree analyses, we propose the advanc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AIMS-PSA Manager). In addition, we propose the Radiological Safety Analysis Computer (RSAC) program to evaluate exposure doses to the public and radiation workers. Furthermore, we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 assessment framework with respect to drop accidents of a spent fuel assembly arising out of crane failure, at the surface facility of the KRS+ (KAERI Reference disposal System for SNFs). The methods and tools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safety case for the KRS+ system as well as for the design modification and the operational safety assessment of the KRS+ system.

계층화 의사결정법을 이용한 방사선방호선택 대안결정에 관한 해석적 방법론 (An Analytical Methodology for Evaluating Radiological Protection Alternatives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 사상덕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99-107
    • /
    • 1994
  • 방사선방호의 최적화 검토에 대하여 계층화 의사결정법에 의한 의사결정과정의 예시적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ICRP Publ. 55의 우라늄 광산 환기시스템 결정 사례의 방호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어진 방호선택대안 가운데 최적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이 AHP 방법은 방사선방호의 최적안 결정에 있어 방사선방호 관리자 또는 의사 결정자가 이해하기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핵의학 종사자의 인식 고찰 (A Consideration of Perception on Enforcement of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SAPA) among the Workers in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이주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77-490
    • /
    • 2022
  • 2022년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핵의학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현 시점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지식과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의료기관 중 핵의학과에 근무하는 실무자 총 51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성별, 근무병원의 규모, 근무경력, 세부직종으로 분류하였으며, 성별에서 결측 1명, 직종에서 결측 2명의 결과를 반영 적용하였다. 근무병원은 핵의학과가 있는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 준종합병원으로, 근무경력은 3년 미만, 3년 이상 ~ 5년 미만, 5년 이상 ~ 10년 미만, 10년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세부직종은 체내검사(영상실) 방사선과와 방사선안전관리자, 기타로 분류하여 적용하였다. 이로 인한 업무상의 부담감은 준종합병원에서 근무하며, 경력이 3년 이상 ~ 5년 미만이고, 직종에 따라 방사선안전관리자가 높았다. 소속기관의 관련 체계 구축 정도는 준종합병원, 경력이 3년 미만이며, 직종에 따라 방사선안전관리자가 긍정적으로 설문하였다. 중대산업재해와 관련된 경우는 혈액전파성 질병, 급성 방사선증(홍반, 탈모 등), 무형성 빈혈순으로 답하였다. 또한 중대시민재해와 관련된 경우는 방사성의약품 투약오류, 환자낙상, 불필요한 방사선피폭, 의료기기사고, 방사성동위원소분실, 차폐체 등 고중량 물체에 의한 사고 순으로 답하였다. 실질적인 법적용을 위한 관련법의 개선, 시설점검 및 관련예산의 확보, 안전관련 전문인력이 확충 된다면 법적용에 따라 실효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방사선 이용과 환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eta-analysis of Outcomes Compared between Robotic and Laparoscopic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 Liao, Gui-Xiang;Xie, Guo-Zhu;Li, Rong;Zhao, Zhi-Hong;Sun, Quan-Quan;Du, Sha-Sha;Ren, Chen;Li, Guo-Xing;Deng, Hai-Jun;Yuan, Ya-W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871-4875
    • /
    • 2013
  • This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outcomes of robotic gastrectomy (RG) and laparoscopic gastrectomy (LG) for treating gastric cancer.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was carried out using the PubMed database, Web of Knowledge, and the Cochrane Library database to obtain comparative studies assess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between RG and LG in May, 2013. Data of interest were analyzed by using of Review Manager version 5.2 software (Cochrane Collaboration). A fixed effects model or random effects model was applied according to heterogeneity. Seven papers reporting results that compared robotic gastrectomy with laparoscopic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were selected for this meta-analysis. Our metaanalysis included 2,235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of which 1,473 had undergone laparoscopic gastrectomy, and 762 had received robotic gastrectomy. Compared with laparoscopic gastrectomy, robotic gastrectomy was associated with longer operative time but less blood lo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hospital stay, total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proximal margin, distal margin, numbers of harvested lymph nodes and mortality rate between robotic gastrectomy and laparoscopic gastrectomy. Our meta-analysis showed that robotic gastrectomy is a safe technique for treating gastric cancer that compares favorably with laparoscopic gastrectomy in short term outcomes. However, the long term outcomes between the two techniques need to be further examined.

일개병원의 환자안전문화 인식도 조사결과 (The results of recognition survey for patient safety culture in a hospital)

  • 김기영;한혜미;박유리;김순애;신현수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5-90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measures the level of cognition of employee's patient safety culture and evaluates the current level through comparing the results to external levels. Ultimately it is performed to construct a strategic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basic database for patient's safety cultur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f self reporting type was carried out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of the patient's safety culture for employees currently employed in a hospital. Total responders was 1,129 and a response rate was 54.6%. The survey results were calculated with a percent positive response, and the current level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e survey results of a hospital (2009 and 2014) and the survey result of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2014). Results: Sub-dimension of high percent positive response for each area were 'teamwork within hospital units' (80%), 'feedback & communication about error' (73%) and 'supervisor/manager expectations & actions promoting safety' (67%). Meanwhile, 'teamwork across hospital units' (31%), 'hospital management support for patient safety' (29%), 'staffing' (27%) and 'non-punitive response to error' (17%) were relatively low percent positive response. Compared to the survey results of AHRQ (2014) for each area, 'teamwork within hospital units' (80%), 'feedback & communication about error' (73%), 'frequency of event reporting' (66%) were at the top 50% percentile level and the remaining sub-dimensions showed a very low level in the lower 10% percentile area. Conclusion: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for patient safety culture within the hospital and evaluate the effect on this,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evaluate the patient's safety culture and establish regulations on hospital safety culture to comply with this.

Short-course Versus Long-course Preoperative Radiotherapy plus Delayed Surgery in the Treatment of Rectal Cancer: a Meta-analysis

  • Liu, Shi-Xin;Zhou, Zhi-Rui;Chen, Ling-Xiao;Yang, Yong-Jing;Hu, Zhi-De;Zhang, Tian-S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755-5762
    • /
    • 2015
  • Background: Short-course preoperative radiation (SCRT) with delayed surgery was found to increase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pCR) rates in several trials. However, there was no clear answer on whether SCRT or long-course chemo-radiotherapy (LCRT) is more effective. Therefore we conducted this meta-analys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SCRT versus LCRT, both with delayed surgery, for treatment of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literature was searched from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Cochrane Library and clinicaltrials.gov up to November, 2014. Quality of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chrane's risk of bias tool of RCT. Th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GRADE) system was used to rate the level of evidence. Review Manager 5.3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Pooled risk ratios (R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Results: Three RCTs, with a total of 357 rectal cancer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sphincter preservation rate, local recurrence rate, grade 3~4 acute toxicity, R0 resection rate and downstaging rate. Compared with SCRT, LCRT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CR rate [RR=0.49, 95%CI (0.31, 0.78), P=0.003]. Conclusions: In terms of sphincter preservation rate, local recurrence rate, grade 3~4 acute toxicity, R0 resection rate and downstaging rate, SCRT with delayed surgery is as effective as LCRT with delayed surgery for management of rectal cancer. LCRT significantly increased pCR rate compared with SCRT. Due to risk of bias and imprecision, further multi-center large sample RCTs were needed to confirm this conclusion.

RI사용 의료기관의 효율적인 배기관리 방안 (A Study on the Effective Controlling System of Radio-activity Ventilation)

  • 이경재;이진형;김경훈;곽동우;조현덕;고길만;박영재;이인원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91-98
    • /
    • 2008
  • 산업의 발달과 기술개발을 통해 양적이나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해오고 있다. 특히 연구 개발 또는 진단용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생산은 국내 사이클로트론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그 성장추세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하는 기관으로는 병원, 발전소, 연구소, 교육기관 등이며, 이러한 시설은 급기보다 배기시설을 중요시 하는데, 이러한 시설에서 발생되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외부로 방출될 경우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원자력법에 의하여 배기되는 공기 중 방사능 농도를 규제하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현재 국내병원들의 배기관리 실태파악 및 현황을 설명하고 이러한 운영현황이 규제기관인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의 원자력법에서 규정한 배출관리 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개선과제를 도출하여 기준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필터의 정의 및 pre filter, hepa filter, charcol filter의 특징과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RI filter 교체 절차와 주의할 사항을 알아보았다. 규제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원자력법에서 규정한 배출관리 기준 및 RI filter의 교체주기의 기준을 제시하겠고 국내 의료기관의 RI배기관리 실태파악 및 현황을 설명하고 이러한 운영현황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도입한 RCMS 기능 및 타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에 있는 디지털 차압 게이지를 PC와 연동하여 구동하는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RI를 사용하는 의료기관들의 의료시스템은 21세기를 맞아 눈부시게 개혁되고 있다. 특히 방사선안전관리 분야도 국제적 변화에 발맞추어 세분화, 고도화, 첨단화로 급격한 기술변화에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배기관리 시스템은 과거의 형태에서 변화를 찾아 볼 수 없다. 우선 우리나라의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RCMS 및 디지털 차압게이지를 이용한 시스템 기능을 강화하여 RI filter의 교체주기와 배출관리 규정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할 것이다. 본 과제에서는 지금까지 배기관리 시스템을 현장에서 사용하는 방사선안전관리자로서 현재의 문제점 및 개선안에 대한 개인적인 제안사항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보다 심도 깊은 검토과정을 거쳐추진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KSR-3 비행시험 원격측정시스템 운용 결과 (A Study on the Telemetering Results of KSR-III Flight Test)

  • 이상래;이수진;김성완;이재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6-101
    • /
    • 2003
  • 과학로켓3호(KSR-III) 비행시험시에 탑재용 원격측정장치는 로켓의 서브시스템들의 실시간 상태 및 각종 센서 자료를 획득하여 무선으로 전파 통신을 하고 지상에서 로켓을 추적하면서 비행중인 원격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복원하는 것은 로켓의 비행을 분석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실시간으로 자료처리된 원격측정자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임무통제센터로 보내져 로켓의 비행 궤도를 도시하고 동시에 비행통제원이 로켓의 비행종단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판단자료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로켓3호 비행시험에 적합한 원격측정 수신과 관련된 운용기법 및 실시간 자료처리 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기술하였으며 원격측정 수신결과를 분석하였다. 실제 비행시험시에 성공적으로 원격측정 수신 및 실시간 자료처리 임무를 완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