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b1 gen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초

Korean Red Ginseng and Rb1 facilitate remyelination after cuprizone diet-induced demyelination

  • Oh Wook Kwon;Dalnim Kim;Eugene Koh;Hyun-Jeong Y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319-328
    • /
    • 2023
  • Background: Demyelination has been observed in neurological disorders, motivating researchers to search for components for enhancing remyelination. Previously we found that Rb1, a major ginsenoside in Korean Red Ginseng (KRG), enhances myelin formation.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whether Rb1 or KRG function in remyelination after demyelination in vivo. Methods: Mice were fed 0.2% cuprizone-containing chow for 5 weeks and returned to normal chow with daily oral injection of vehicle, KRG, or Rb1 for 3 weeks. Bra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luxol fast blue (LFB) staining or immunohistochemistry. Primary oligodendrocyte or astrocyte cultures were subject to normal or stress condition with KRG or Rb1 treatment to measure gene expressions of myelin,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antioxidants and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Results: Compared to the vehicle, KRG or Rb1 increased myelin levels at week 6.5 but not 8, when measured by the LFB+ or GST-pi+ area within the corpus callosum. The levels of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astrocytes, and microglia were high at week 5, and reduced afterwards but not changed by KRG or Rb1. In primary oligodendrocyte cultures, KRG or Rb1 increased expression of myelin genes, ER stress markers, and antioxidants. Interestingly, under cuprizone treatment, elevated ER stress markers were counteracted by KRG or Rb1. Under rotenone treatment, reduced myelin gene expressions were recovered by Rb1. In primary astrocyte cultures, KRG or Rb1 decreased LIF expression. Conclusion: KRG and Rb1 may improve myelin regeneration during the remyelination phase in vivo, potentially by directly promoting myelin gene expression.

원발성 폐암에서 종양억제유전자 RB와 p53 단백질 발현양상과 예후와의 상관관계 (Expression Pattern of RB and p53 Proteins and its Correlation with Prognosis in Primary Lung Cancer)

  • 이상용;허혜경;최필조;우종수;홍숙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23-1231
    • /
    • 1996
  • 72예의 원발성 폐암조직에서 두 종양억제유전자 RB와 p53의 단백질 발현 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검출한 결과 RB 단백질 발현은 38예 (52.8%)에서 감소하거나 소실되었고, 변이형 p53 단백질은 35예(48.6%)에서 발현을 보였다. 이들의 발현 빈도는 폐암의 조직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RB는 선암에서 그리고 p53은 편평세포암에서 발현율이 높았다(p<0.05). 그러나 임상 병기와는 두 단백질의 발현율과는 상관이 없었다. 폐암 환자의 2년 생존율은 두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동반된 군(RB-/p53+)에서 22.4%, 두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전혀 없는 군(RB+/p53-)에서 63.1%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본 연구에서 RB와 p53단백질의 발현의 유무가 원발성 폐암 환자의 생존율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었고, 특히 RB가 원발성 폐암의 예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나타내었다.

  • PDF

인삼 사포닌이 인간면역계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in Human Immune System)

  • 박종욱;한인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5-22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ginseng,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proliferation and cytosine gene expression of human ph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 In the PBMC proliferation assay, total saponin exhibited proliferation inhibition on the PBMC or phytohemagglutinin(PHA)-stimulated PBMC in a dose-dependent fashion. Immunomodulatory effects of ginseng were further investigated using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as the indicators. In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est, interleukin (IL)-1, IL-2, IL-3, IL-4, IL-6, IL-13,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tumor necrosis factor (TNF), migration inhibitory factor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genes were expressed in the PHA-stimulated PBMC 48 hrs after cell culture. Among expressed cytokines, total saponin could increase the expression of IL-1 and TNF of PBMC without stimulation of PHA. All of ginsenosides, $Rb_1$, $Rb_2$, $Rg_1$, Rc, Re, incresed TNF gene expression. Especially, Rb2 (20 g/ml) showed most prominent effect on TNF gene expression and it also slightly increased IL-1 gene expression of PBMC.

  • PDF

Ginsenoside Rg1 및 Rb1을 처리한 신경세포주(SH-SY5Y세포)의 유전자 발현양상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SH-SY5Y Human Neuroblastoma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Rg1 and Rb1)

  • 이준노;양병환;최승학;김석현;채영규;정경화;이준석;최강주;김영숙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1호
    • /
    • pp.42-61
    • /
    • 2005
  • Objectives:The ginsenoside Rg1 and Rb1, the major components of ginseng saponin, have neurotrophic and neuroprotective effects including promotion of neuronal survival and proliferation, facilitation of learning and memory, and protection from ischemic injury and apoptosi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basis of the effects of ginsenoside on neuron, we analyzed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SH-SY5Y human neuroblastoma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Rg1 or Rb1. Methods:SH-SY5Y cells were cultured and treated in triplicate with ginsenoside Rg1 or Rb1($80{\mu}M$, $40{\mu}M$, $20{\mu}M$). The proliferation rates of SH-SY5Y cells were determined by MTT assay and microscopic examination. We used a high density cDNA microarray chip that contained 8K human genes to analyze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in SH-SY5Y cells. We analyzed using the Significance Analysis of Microarray(SAM) method for identifying genes on a microarra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expression. Results:Treatment of SH-SY5Y cells with $80{\mu}M$ ginsenoside Rg1 or Rb1 for 36h showed maximal proliferation compared with other concentrations or control. The results of the microarray experiment yielded 96 genes were upregulated(${\geq}$3 fold) in Rg1 treated cells and 40 genes were up-regulated(${\geq}$2 fold) in Rb1 treated cells. Treatment with ginsenoside Rg1 for 36h induced the expression of some genes associated with protein biosynthesis, regulation of transcription or translation, cell proliferation and growth, neurogenesis and differentiation, regulation of cell cycle, energy transport and others. Genes associated with neurogenesis and neuronal differentiation such as SCG10 and MLP increased in ginsenoside Rg1 treated cells, but such changes did not occur in Rb1-group. Conclusion:Our data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gene mechanisms involved in possible role for ginsenoside Rg1 or Rb1 in mediating neuronal proliferation or cell viability, which can elicit distinct patterns of gene expression in neuronal cell line. Ginsenoside Rg1 have more broad and strong effects than ginsenoside Rb1 in gene expression and related cellular physiology. In addition, we suggest that SCG10 gene, which is known to be expressed in neuronal differentiation during development and neuronal regeneration during adulthood, may have a role in enhancement of activity dependent synaptic plasticity or cytoskeletal regulation following treatment of ginsenoside Rg1. Further, ginsenoside Rg1 may have a possible role in regeneration of injured neuron, promotion of memory, and prevention from aging or neuronal degeneration.

  • PDF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진세노사이드 Rb1에 의한 유전자 발현 양상 (Gene Expression Profiling by Ginsenoside Rb1 in Keratinocyte HaCaT Cells)

  • 이동우;김정민;방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14-523
    • /
    • 2019
  •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Rb1이 처리된 인간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microarray 분석 및 발현이 증가된 세포사멸 반응에 대한 작용기전을 연구하였다. HaCaT 세포에 진세노사이드 Rb1의 처리로 세포사멸, 유사분열 세포주기의 G2/M 전이, 세포분열, 핵분열, 그리고 단백질 수송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2 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DNA 수선, 감수 핵분열, 그리고 세포외기질 체계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2 배 이상 발현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포사멸 신호전달은 FAS와 PLA2G4A를 경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유전자의 상위 조절자로 STAT3가 예측되었다. 세포사멸 반응 경유 유전자 FAS와 PLA2G4A의 활성을 qPCR로 확인한 결과, FAS 유전자는 $10{\mu}g/ml$의 진세노사이드 Rb1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경우 약 2 배의 발현 증가와, PLA2G4A 유전자는 6시간 처리부터 약 2 배로 증가되어 24시간 동안 처리시 2 배 이상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한편 STAT3-siRNA를 이용한 knock-down 실험에서 FAS의 발현 감소와 PLA2G4A의 발현 증가로 상위 조절자 STAT3로부터 FAS 만을 경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의 처리에 의해 상위 조절자인 STAT3는 FAS를 경유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에 의한 HaCaT 피부각질세포의 전사체 분석 (Transcriptome Analysis of Human HaCaT Keratinicytes by Ginsenosides Rb1 and Rg1)

  • 김정민;조원준;윤희승;방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74-6781
    • /
    • 2014
  •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과 Rg1의 효능검증 및 작용점을 규명하고자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유전체 분석(gene expression profiles)을 실시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의 처리 농도 및 시간에 따른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0{\mu}g/mL$의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을 6 및 24 시간 처리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유전자인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의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b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는 항산화 작용점에 있는 일련의 유전자군, FANCD2, FGF2, LEPR, FAS 등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확인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주요인자들의 작용 및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특히 진세노사이드 Rb1의 신호전달을 완성하고자 한다.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의 Cyclooxygenase-2 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분석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Cyclooxygenase-2 gene in the Rock bream, Oplegnathusfasciatus)

  • 진지웅;김도형;김영철;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30
    • /
    • 2013
  • Megalocytivirus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각국의 양식현장에서 고위험성 병원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류의 면역체계와 megalocytivirus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다양한 연구에서 cyclooxygenase isoform중 COX-1 유전자는 constitutive 하게 발현되며, COX-2 enzyme은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COX-2 유전자는 LPS (lipopolysaccharide) 또는 병원체의 감염과 같은 염증반응 시 그 발현이 증가한다고 알려져있다. 본 연구는 다른 어종의 COX-2 유전자를 바탕으로 제작된 degenerated primer와 5'- 그리고 3'-end RACE-PCR을 이용하여 돌돔에서 COX-2 유전자의 전체 염기서열을 밝혔으며, 그 결과 rbCOX-2 (rock bream COX-2)유전자 cDNA의 전체 길이는 2655 bp 였으며, 60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있었다. rbCOX-2 유전자의 genomic organization은 9개의 intron과 10개의 exo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돌돔에 megalocytivirus의 인위감염 시 COX-2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LPS 접종 시 rbCOX-2 유전자는 접종 1일 후 대조구와 비교하여 13.10배 증가하여 최고 발현을 보였으나, megalocytivirus 접종 시 대조구와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발현을 확인할 수 없었다. 돌돔에서 COX-2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분석과 발현 분석은 바이러스 감염 시 어류의 방어기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바이러스 백신개발 및 치료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한국인 폐암 환자에 대한 p53 및 Rb유전자의 다형성 분석 (Analysis of p53 and Retinoblasoma(Rb) Gene Polymorphisms in Relation to Lung Cancer in Koreans)

  • 이경상;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이정희;이춘근;조율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34-546
    • /
    • 1997
  • 연구배경 : p53 및 망막모세포 암종(Rb) 항암 유전자는 인체의 여러 임종의 발암 과정에 관련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 p53 등의 유전자 다형성이 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Rb 유전자 다형성이 폐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어 이들 유전자의 다형성의 반도 및 흡연 관련 폐암과 이들 유전자의 다형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했다. 방 법 : 한국인 폐암 환자 발생의 유전적 감수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128명의 폐암 환자군과 145명의 대조군에 대한 p53 유전자(exon 4 및 intron 6 부위) 및 망막모세포 암종(retinoblastoma, Rb) 유전자(intron 17 부위)의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p53 유전자의 16bp 반복 다형성을 제외한 유전자 분석은 중합효소연쇄반응-제한효소절편길이 다형현상(PCR-RFLPs)을 이용하였으며, 16bp 반복 다형성은 중합효소연쇄 반응 후 전기영동으로 직접 분석하였다. 결 과 : p53 유전자의 exon 4/AccII 다형성 : 대조군 및 환자군에 대한분석에서 다형적인 3가지 유전자형(Arg/Arg, Arg/Pro, Pro/Pro)이 관찰되었으며, Arg과 Pro 유전자 빈도는 각각 0.66, 0.34 였다. 폐암 환자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Arg/Pro 유전자형은 높고, Pro/Pro 유전자형은 낮게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조직학적으로 소세포 폐암의 경우 유전자형의 분포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53 유전자의 intron 3/16bp 중복 다형성 : 대조군과 환자군에서 156bp 동형 접합체와 156bp와 172bp의 이형 접합체만이 관찰되었으며, 172bp 동형 접합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156bp와 172bp 대립인자 각각 0.98, 0.02로 172bp 대립인자의 빈도가 아주 낮았다. 전반적으로 폐암 환자군과 대조군간의 유전자형 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53 유전자의 intron 6/MspI 다형성 : Intron 3의 16bp 중복 다형성과 완전 연관 관계에 있었으며, m1 동형접합체와 m1/m2 이형접합체만 관찰 되었다. 16bp 중복 다형성에서와 같이 m1, m2의 유전인자의 빈도는 각각 0.98, 0.02 으로 MspI 절단부위가 없는 m2 대립인자의 빈도가 아주 낮았다. 전반적으로 폐암환자군과 대조군간의 유전자형 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b 유전자의 intron 17/XbaI 다형성 세가지 다형적인 유전자형(r1/r1, r1/r2, r2/r2)이 관찰 되었으며, 대조군에서 r1, r2의 유전자 빈도는 각각 0.50, 0.50 이었다. 유전자형의 분포가 조직학적으로 흡연관련 폐암군(Kreyberg type I)과 대조군 또는 폐 선암종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Kreyberg type I군에서는 폐 선암종군에 비해 동행접합체(r2/r2 또는 r1/r1) 빈도가 높고 이형접합체(r1/r2) 빈도는 유의하게 낮은 반면, 선암군에서는 이형접합체 빈도가 73.4%로 특징적으로 높았다. 또한 고흡연자군에서의 유전자형의 비흡연자를 포함한 저흡연자군의 유전자형 분포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258), 이형접합체의 빈도가 유의하게 낮게 검출되었다. 따라서 Rb 유전자의 유전자형이 이형접합체인 경우 흡연관련 폐암 발생 위험이 감소되며, 동형접합체일 경우는 상대적으로 발생 위험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p53 유전자의 다형성 보다는 Rb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의 흡연관련 폐암발생의 유전적 감수성 결정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보다 명확한 연관관계 규명을 위해서는 다른 인종 및 더 많은 수의 환자군에 대한 분석이 요망된다.

  • PDF

폐암세포에 p16 (MTS1) 유전자 주입후 암생성능의 변화 및 세포주기관련 단백질의 변동에 관한 연구 (The Change of Cell-cycle Related Proteins and Tumor Suppressive Effect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after Transfection of p16(MTS1) Gene)

  • 김영환;김재열;유철규;한성구;심영수;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796-805
    • /
    • 1997
  • 연구배경 : 세포주기의 활성화, 그 중에서도 특히 $G_1$/S 이행에 관여하는 세포주기관련 단백질들은 암발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_1$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중의 하나인 cdk4 (cyclin dependent kinase 4)의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 p16 유전자는 최근에 밝혀진 종양억제유전자중의 하나로서 MTS1 (multiple tumor suppressor 1)이라고도 불린다. p16 유전자는 지금까지 알려진 어느 종양관련 유전자보다도 유전자변이의 빈도가 높은 암억제유전자인데, 특히 비소세포폐암인 경우는 70% 이상의 세포주에서 p16 단백질의 발현이 없는 것으로 밝혀져 있어 p16 유전자는 비소세포폐암 발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에서 p16을 이용한 유전자치료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p16이 결여된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NCI-H441)에, 정상섬유아세포에서 총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효소 및 DNA 중합효소반응으로 증폭된 p16 cDNA를 유핵세포 발현 vector인 pRC-CMV plasmid에 subcloning하여 구축된 pRC-CMV-p16 plasmid vector를 lipofectin을 이용하여 유전자 이입한 후, 단백질을 추출하여 Western blot 분석과 면역침전법으로 $G_1$ 세포주기관련 단백질의 변동을 관찰하고, colony 형성능을 비교함으로써 암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 과 : p16이 유전자주입된 NCI-H441 세포주에서 p16과 cdk4가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고 인산화 Rb가 대조 세포주에 비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p16이 cdk4와 결합함으로써 cdk4에 의한 Rb의 인산화를 방해하고 이에 따른 $G_1$ 세포주기 정체에 의해 종양억제효과가 나타난다는 설명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Clonogenic assay 결과는 p16 유전자주입된 NCI-H441 세포주의 colony 형성능이 대조 세포주에 비하여 현격히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p16(MTS1) 유전자를 p16 단백질을 발현하지 못하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 주입할 경우, 주입한 유전자에서 생성되는 p16 단백질이 cdk와 결합하여 Rb 단백질의 인산화를 저하시켜 궁극적으로 암억제 효과를 일으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는 향후 비소세포폐암의 유전자치료에 있어서 p16 유전자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된다고 생각된다.

  • PDF

Anxiolytic and Antidepressant Activities of Ginsenoside Rb1

  • Choi, Jong-Hyun;Yoon, Seo-Young;Choi, Eun-Joo;Ryu, Yim-Seon;Ko, Hong-Sook;Yim, Dong-Sool;Her, Youl;Lee, Yong-Soo;Song, Mi-Ryoung;Cheong, Jae-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1호
    • /
    • pp.27-33
    • /
    • 2007
  • The psychopharmacological profile of ginsenosides has not yet been confirmed systematically although various neuropharmacologic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m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psychological activities of Rb1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whether it can be used in treatment or prevention of psychological disorders. Rb1 was intravenously injected at doses of O.2,2,5 and 10 mg/kg. The effects of Rb1 on the $Cl^-$ ion influx were investigated using IMR-32 human neuroblastoma cells. Moreover, locomotor activity, forced swimming activity, activity on rotating rod and activity in elevated plus-maze were tested in mice. Rb1 increased the $Cl^-$ influx into the intracell reg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Rb1 did not cause change in behavior in total open field when locomotor activity was tested, however it increased activities, especially, such as rearing frequency in center area. Administration of Rb1 at 0.2 mg/kg significantly reduced activities on rotating rod however administration at high dosages had no effect on them. Rb1 administration decreased animal immobile time in a water chamber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increased the strong mobile time of animals. In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 that Rb1 contributes to the psycho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g and may be used in treatment or prevention of psychological disorders such as anxiety or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