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licit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Re-Elicitation with Methyl Jasmonate in Eschscholtzia californica Cell Suspension Cultures

  • Byun, Sang-Y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07-110
    • /
    • 2000
  • Elicited cells with methyl jasmonate continued to produce benzophenanthridine alkaloids throughout medium changes in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Large increases in alkaloid production were observed by re-elitations with medium changes. The total alkaloid production increased during the successive elicitation steps reaching a maximum level on the 4th elicitation. The highest total alkaloid produced was 250 mg/I, which was 20fold higher than that of the single elicitation and 4-fold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culture without elicitation. The large increases in alkaloid production in successive re-elicitations with medium changes are believed to be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the signal transduction compound, jasmonate.

  • PDF

결정에서 반응 조화설의 재검증 (Re-examination of Response Compatability Hypothesis in Decision-Making)

  • 안상지;이영애
    • 인지과학
    • /
    • 제20권2호
    • /
    • pp.197-223
    • /
    • 2009
  • 반응 조화설 (Shafir, 1993)은 결정에서 두 대안 중 한 대안의 특징들이 선택이나 거부의 반응과 조화될수록 사람들이 그 대안을 더 택한다고 주장한다. 장단점을 많이 가진 풍부한 대안이 그렇지 않은 보통의 대안보다 더 많이 선택되고 더 많이 거부되어야 한다. 유승민과 이영애(2001)는 이 가설의 예측과 일치하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두 대안의 특징들의 제시 방식 그리고 질문 순서를 변화시켜 반응 조화설을 검토하였다. 특징들을 나열하지 않고 문장으로 제시하고 선택 또는 거부 질문을 먼저 제시하였을 때 반응 조화설과의 예측과 상당히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반응 조화설을 검토할 때 선호의 구성 방식이 중요함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를 최근 연구들과 비교하였다.

  • PDF

Efficient Elicitation of Ginsenoside Biosynthesis in Cell Cultures of Panax notoginseng by Using Self-chemically-synthesized Jasmonates

  • Wang Wei;Zhao Zhen-Jiang;Xu Yufang;Qian Xu hong;Zhong Jian-Jia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2호
    • /
    • pp.162-165
    • /
    • 2005
  • A series of fluorine and hydroxyl containing jasmonate derivatives, which were chemically synthesized in our institut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ffects on the biosynthesis and heterogeneity of ginsenosides in suspension cultures of Panax notoginseng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without addition of elicitors), $100{\mu}M$ of each of the jasmonate was added on day 4 to the suspension cultures of P. notoginseng cells. It was observed that, jasmonates greatly enhanced the ginsenoside content and the ratio of Rb group to Rg group (i.e. $(Rb_1\;+\;Rd)/(Rg_1\;+\;Re)$ in the P. notoginseng cells. Some of the synthetic jasmonates, such as pentafluoropropyl jasmonate (PFPJA), 2-hydroxyethyl jasmonate (HEJA) and 2-hydroxye-thoxyethyl jasmonate (HEEJA), could promote the ginsenoside content to $2.55\;\pm\;0.11,\;3.65\;\pm\;0.13\;and\;2.94\;\pm\;0.06$mg/100 mg DW,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0.64\;\pm\;0.06$mg/100 mg DW for the control and $2.17\;\pm\;0.04$ mg/100 mg DW by the commercially available methyl jasmonate (MJA); and they could change the respective Rb:Rg ratio to $1.60\;\pm\;0.04,\;1.87\;\pm\;0.01\;and\;1.56\;\pm\;0.05$, compared to that of $0.47\;\pm\;0.01$ for the control and $1.42\;\pm\;0.06$ by MJA. The results suggest that suitable esterification of MJA with fluorine or hydroxyl group could in-crease the elicitation activity to induce plant secondary metabolism.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is study is useful for hyper-production of heterogeneous products by plant cell cultures.

2계단 배양방법을 이용한 인삼 모상근의 대량배양과 Ginsenoside 생산 (Mass Culture and Ginsenoside Production of Ginseng Hairy Root by Two-Step Culture Process)

  • 고경민;양덕춘;박지창;최강주;최광태;황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63-69
    • /
    • 1996
  • 인삼의 모상근 HRB-15 clone을 3L 용량의 생물반응기에서 배양하여 ginsenoside 생산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상근을 광배양하면 암배양에 비해 생장이 30% 정도 억제되지만 ginsenoside 함량(ginsenoside-Rb1, -Rb2, -Rc, -Rd, -Re, -Rg1)은 크게 증가되어 암배양시보다 2배 높은 1.10%로 나타났으며, 이때에는 ginsenoside-Re의 함량이 매우 높은 반면 다른 ginsenoside들의 함량은 암배양시 보다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초기 10일간 암배양한 후 20일간 광배양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sodium acetate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본 결과, sodium acetat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상근의 생장이 억제되고 ginsenoside 함량도 감소하였으며, 배양배지내 인산의 농도를 변화시켜 본 결과, 1.25 mM $KH_2PO_4$ 처리가 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함량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yeast elicitation과 ammonium nitrate를 이용한 2단계 배양방법(two-step culture process)을 개발하였다. Elicitor로서 $50\;\mu\textrm{g}/g$ yeast extract를 배양 20일째(광배양 10일째)에 첨가하여 본 결과, 총 ginsenoside 생산 모두에서 상승된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2단계 배양방법은 인삼 모상근의 대량배양을 통해 이차대사산물인 ginsenoside 생산량을 증가시킬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요구사항 수집 단계에서 가변성 분석을 위한 문제 프레임 및 목표 모델 통합 프레임워크 (A Framework Integrating Problem Frames and Goal Modeling to Support Variability Analysis during Requirements Elicitation)

  • 미투시 싱;이석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3호
    • /
    • pp.261-274
    • /
    • 2017
  • 가변성 관리는 시스템이 어느 정도까지의 복잡성을 처리할 수 있는가를 정의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대부분의 요구 공학 연구에서는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에 대해 많은 부분을 간과하거나 추측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본질적으로 변화하는 컨텍스트를 관찰하고 조정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i* 목표 모델, 문제 프레임, 유즈 케이스 맵, 라이브 시퀀스 차트를 활용하여 다양한 컨텍스트에 적합한 요구사항을 식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며 스마트 그리드의 실시간 가격 정책 변화 시스템을 사례 연구로 활용하여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를 단계별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방법에서 유즈 케이스 맵과 라이브 시퀀스 차트를 활용한 시나리오 정교화 과정이 초기 컨텍스트 분석 및 검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보여주며 장애물 및 충돌 분석을 위한 요구사항을 정교화함으로써 요구공학 엔지니어들이 시스템의 건장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와줄 수 있음을 증명한다. 이처럼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이론적인 방법과 실증적인 사례를 통해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