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ve thinking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19초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promotion strategies using Thinking maps on Reflective think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백동국;소금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3호
    • /
    • pp.219-23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학년 2개 학급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서 실험반에는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반에는 전통적인 지도서 위주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셋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넷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

어머니의 반영기능과 유아의 상위수준 사고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실행기능과 반사실적 사고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Ser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s and Counterfactual Thinking on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 이윤정;임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131-148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Participants included 293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Daegu city and Gyeongsang province.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reflective functioning,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reative thinking.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preschoolers' critical thinking and caring thinking. Preschoolers' counterfactual thinking was measured by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5.0. Path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used with AMOS 25.0 program. Also, specific indirect effect were analyzed using AMOS user-defined estimand function.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critical thinking and caring thinking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however,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had no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creative thinking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need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o explain the level of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The results highligh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포트폴리오 활용이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Effects of Portfolio Applicati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 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1-229
    • /
    • 2016
  • 이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들의 포트폴리오에 나타난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또한 내러티브에 나타난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차원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기 초에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는 대부분 초점 차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즉각적이고 기술적이었다. 학기 말에 실시된 분석 결과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가 질문 차원과 변화 차원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대부분 대해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과정에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대화적이고 변혁적인 수준으로 높아졌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들은 포트폴리오 활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과정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효과 (The Learning Effect of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by the Reflective Thinking Strategy)

  • 김보람;심규철;소금현;여성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3호
    • /
    • pp.271-281
    • /
    • 2011
  •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ccurate knowledge and attitude could be linked to real action, but those have no effect on changing the behavior. To effect the change in behavior, we need to consider the reflective thinking which can make people change their behavior. The strategies to accelerate the reflective thinking are five steps of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nd the interaction through the discussion of students. And also, it is more proper if the contents are based on the real experiences of the students. Thus, this study tried to know whether the improvement of reflective thinking was able to affect to the environmental behavior.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60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in Gyeonggi-do and the survey methods were presented in the general experimental curriculum. To study 6th subjects (energy, harmful chemical material, heavy metal and agricultural chemicals, food additive, environmental friendly consumption, and recycle) was developed.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environment knowledge, the environment behavior, the level of reflective-think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과 디지털 역량의 관계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Their Digital Competences)

  • 박진희;손원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their digital competence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0 early childhood teacher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model 4 were performed using SPSS 28.0 and The Process macro 4.1.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overall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reflective thinking, and digital competences, including each of their respective sub-factors. Second, the study revealed that reflective thinking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digital compet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hen reflective thinking mediated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digital competences were further increa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not only positive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of teachers but also reflective thinking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digital competences.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for Tasks on Polar Coordinates

  • Oh, Hye Mi;Park, Jee Hyun;Kwon, Oh 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9-131
    • /
    • 2013
  •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re is a subject, advanced mathematics in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it is posing a challenge to the teachers who are teaching it. At the advanced level,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mental mathematical activities. This research analyse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n solving the tasks specific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olar coordinates. We report how and through what process mathematical tasks that can create disequilibrium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nable reflective thinking and exp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oughts and recognition of defining reflective thinking in looking back on one's problem solving and thinking processes.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vScientific Experiment in Experimental Journal Writings)

  • 이윤정;임성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8-20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 과학교사의 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탐구기반 물리실험 수업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매 주제의 실험 수행마다 실험 과정과 수행에 대한 결과 및 논의와 더불어 실험 수행 후 실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실험 저널을 작성하도록 하고, 이들이 작성한 실험 저널에 포함된 진술문을 분석하여 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지식, 과정, 지향, 태도 등 4개의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지식 차원에는 반성적 사고는 실험을 통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점검하거나 실험 후에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내용과 실험 후 새롭게 알게 된 내용에 대한 반추가 포함되었으며, 과정 차원에는 전반적인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207실험 과정에 대한 점검과 구체적인 실험 수행에 대한 반성이 드러났다. 지향 차원에서는 실험 수업을 통하여 얻게 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교육에 대한 견해가 포함되었으며, 태도 차원에서는 실험 수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 실험수업에 대한 가치 인식이 포함되었다. 수행한 실험주제에 따라 반성적 사고의 유형별 빈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공통적으로 이러한 반성적 사고에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자신의 앎과 학습과정에 대한 초인지, 과학과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과학과 실험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자신이 수행한 실험에 대해서 형식적인 절차에 따른 '과학적' 글쓰기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형태로 '자신의' 글쓰기를 하게 하는 실험 저널쓰기는 과학학습 맥락에서 반성적 사고가 드러날 수 있는 매개이자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활동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성찰수준, 학습활동에 관한 연구 - 간호학 대학원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Student's General Recognition of Web-Based PBL and Learning Activity of Students by Their Reflective Thinking Level)

  • 이선옥;박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204
    • /
    • 2009
  • Purpos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of students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area of nursing studies on web-based PBL. These factors were used as a component of learning strategies. One was to understand general recognition to web-based PBL and reaction to the use of reflective journal. The other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was related to learning activity. Method: PBL was adopted for an online course titled 'Nurs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Twenty graduate students were evaluated from questionnaire, reflective journals, and individual assignments. Result: Web-based PBL was strong for self-directed learning, team activity, creative thinking, diversity of thinking, and diverse process of learning while hard time, lack of cooperation, uncertainty of outcome, and lack of time were considered as weakness. Reflective journal gave moderate help to learning activities. The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was the lowest in the middl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Conclusion: Generally, graduate students in college of nursing showed slightly positive attitude to PBL experience and slightly positive reaction to the learning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PBL was estimated to be valuable and meaningful.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and learning activities.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Usage of Practice Skills)

  • 유영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7-362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실천기술의 활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실천행위를 스스로 평가하고, 실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되돌아보는 인식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Dewey, Mezirow, Kember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수준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료와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 등 사회복지 조직이 갖는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는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 사고수준이 심층적으로 깊어질수록 실천기술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폭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 실천가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제안하고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에 대한 저널쓰기의 효과 (The Effect of Journal Writing on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원미경;강승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429-440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effect of journal writing on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Would the journal writing experiences improve reflective think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50 sophomores in junior college, J city, and they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group had journal writing experiences for 8 week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Journal writing activity revealed positive effect on reflective thinking level improve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