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ugee Youth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Ethical Perspectives in Studying the Participatory Behavior of Refugee Youth: The Case of Sports and Leisure Activities

  • KIM, Ji-hye
    • 연구윤리
    • /
    • 제3권2호
    • /
    • pp.7-11
    • /
    • 2022
  • Purpose: For several decades, there has been a variety of publications on refugee and enforced immigration studies, with the rising corpus of studies on obligatory displacement and sport reflecting relatively recent emphasis over the last decade. However, prior studies do not suggest and summarize regarding ethical perspectives in terms of participatory behavior of refugee youth in sports and leisure fiel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nlik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tries to qua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ariables, the qualitative research design that was selected by the current study as a main methodology attempts to take a look at the current and past literature contents closely so that obtained datasets may be explanatory and abundant. Results: After thorough analysis, it was evident that in all research where ethical perspectives were utilized, there was increased participation in sports and leisure activities by the refugee youths, and it may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ulturally sensitive, contextual, and reflective ethics. Conclusions: The current research concludes that ethical perspectives are required to research refugee youth's participatory behavior in sports and leisure and many more ethical factors are aspired to, and they must be thoroughly evaluated before, throughout, and following the study.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문화변용정체성에 관한 연구 (Problem behaviors,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 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4-154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behaviors,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NK) refugee youth and to suggest an appropriate approach for helping them to adjust to our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s: The subjects were 117 NK adolescent refugees in Hanawon. Data were collected by a demographic questionnaire, Youth Self Report (YSR), the South-North Korean cultural identity. Results: Problem behaviors of NK refugee youth were the highest in anxiety/depression and withdrawal behavior and were followed by internalized behavior, aggressiveness, overall problem behavior, externalized behavior, delinquency and positive behavior in that order. Acculturation was the highest in 'separation' followed by 'integratio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in that ord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roblem behaviors except positive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some important information that we have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primarily focused on withdrawal, anxiety/depression, and internalization for the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f NK refugee youth. It is necessary to explore further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process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roblem behaviors.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chool Drop-out Intention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 김연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191-21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의 영향요인과 그 영향의 정도를 밝히고, 결과를 근거로 사회복지실천 개입전략과 정책적 제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성별, 학업성취역량 인식, 자아존중감, 학교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같은 개인내적 특성이 학교중도탈락의 주요 영향요인이며, 부모 양육의 질, 또래애착, 가족의 경제수준, 정착기간 등의 환경적 요인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기여, 실천 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 - 정체성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Navigating Identity: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Field Professionals' Views on Arts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 신혜선;윤현경
    • 예술경영연구
    • /
    • 제55호
    • /
    • pp.75-113
    • /
    • 2020
  •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재를 성찰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2010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이행안(로드맵)의 세 번째 목표인 지역 내 소수자와 이민자들을 포용하는 예술교육 전략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비판 이론(critical theory)을 바탕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으로 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탈북 청소년이 체감하는 사회와 정체성 고민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접근방법과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탈북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학습대상자에 대한 이해가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그들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한 개인으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인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동시에 탈북 청소년을 구분 짓는 프로그램이 기존의 대상화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기독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Study on the Adaptation of Christian North Korean Adolescents to Korean Society)

  • 김은희;임창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147-17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 있어 기독교 신앙이 기여하는 바를 밝히는 것에 있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를 활용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입국하여 1년 이상이 된 17세에서 24세로 교회에 소속되어 있는 9명의 후기청소년이다. 연구문제는 네 가지이다. 첫째, 탈북청소년들은 탈북동기와 여정을 통해 과거를 어떻게 회고하는가? 둘째, 탈북청소년들은 현재 남한 사회에 적응해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극복하면서 정체감을 확립하는가? 셋째, 탈북청소년들은 통일세대 주역으로 미래를 재구성해나갈 수 있는가? 넷째, 탈북청소년들은 기독교신앙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으며 신앙은 한국사회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청소년들의 탈북 동기와 과정에서 이들의 불안과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가 정체성 혼란을 가져오며 한국 사회 적응에 방해 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탈북청소년들의 불안정한 정착에는 가족 갈등, 세대 갈등, 죄책감과 딜레마라는 미해결 감정과 학업 경쟁, 진로 고민, 취직의 부담감, 높은 사회적 장벽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 셋째, 한국 사회에서 태어난 청소년에 비해 탈북청소년들은 통일에 대한 인식이 높아 이들의 남한 사회 유입은 통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탈북청소년들은 가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한국 사회에서 예배의 경험과 신앙과 문화와의 만남은 한국 사회 정착에 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탈북청소년중 기독교 신앙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남한 사회에서 정체감 형성과 적응과정에 기독교 신앙이 어떻게 기여하였는지 규명하고 북한 선교와 통일을 앞두고 미래세대를 위해 일하는 모든 기독교 사역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출신성분에 따른 탈북여성의 문화적응 기제에 관한 비교분석 (The Synthetic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Acculturation mechanism from North Korean women Elite-class in South Korea)

  • 김윤나;주경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29-338
    • /
    • 2017
  • 본 연구는 현재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71%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탈북여성의 남한사회 적응과 관련하여 출신성분에 따른 Berry의 문화적응 이론의 재검증을 시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북한의 출신성분제도, Berry의 문화적응 이론, 관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IRB심의가 끝난 2014년 12월 15일~2015년 2월 30일까지 FGI 및 설문조사를 통해 탈북여성이 겪는 사회적 정체감과 문화적 유능감을 밝혀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출신성분에 따른 남 북한정체감(심리적 문화적응 전략), 문화적 유능감, 지각된 동화 압력, 문화이질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은 개별적인 사례 특성에 따라 다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구체화된 발전과제를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함께 후속연구의 과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