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ted-set cemen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의 내구특성 (Durability of Cement Concrete Pavement using Regulated Set Cement)

  • 이승태;김성수;박광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85-286
    • /
    • 2009
  • 고로슬래그미분말을 사용한 도로포장용 초속정시멘트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성능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재료개발을 목표로 한다.

  • PDF

광물질 혼화재를 혼합한 초속경시멘트의 성능개선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hanced Performance of Regulated Set Cement Using Mineral Admixtures)

  • 원종필;공태웅;박찬기;서정민;조용진;성상경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6권2호
    • /
    • pp.325-328
    • /
    • 2004
  • According to demand the increase of the rate of strength development for rapid constructions and repairs, many efforts have progressed to improve on performance of concrete. The use of regulated set cement helps make it possible to increase the rate of strength development. However it has some problems as like increasing its permeability and accelerate its long-term deterioration caus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gulated set cement, which mixed with the mineral admixtures. In this paper, setting time, compressive/flexural strength and chloride permeability of mortar according to the substitute ratio of SF, FA and BS in the range of $5\~20\%$ were conducted. Based on the test results, 5% substitute of silica fume for binder was showed good performance.

  • PDF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보수용 조기강도 콘크리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using Regulated Set Cement)

  • 원종필;김현호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93-197
    • /
    • 2001
  • The growth in concrete structures repair has prompted major efforts to develop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The internal or external restraint of thermal shrinkage movements could thus generate tensile stresses in concrete structures if it is used rapid setting repair concrete. Restrained shrinkage and thermal stresses could produce microcracks in concrete which increase its permeability and accelerate its long-term deterioration under weathering and load effects. This study aims at evaluation and increase of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using regulated set cement.

  • PDF

조기교통개방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Early-Strength Concrete for Early Traffic Opening)

  • 원종필;김현호;안태송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23-130
    • /
    • 2001
  • 본 연구는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조기교통개방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제로 포장콘크리트의 현장조건하에서는 외부적 또는 내부적인 요소에 의해 콘크리트의 수분과 열에 의한 수축을 구속함으로써 인장응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인장응력은 균열을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 초속경시멘트 콘크리트내에 섬유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종류의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하였고, 2종류의 섬유를 혼입하여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를 비교하였다. 시험결과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가 일반 콘크리트보다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나타냈다.

  • PDF

조기교통개방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Enhanced Durability Performance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for Early Traffic Opening)

  • 원종필;김현호;안태송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62-370
    • /
    • 2001
  • 콘크리트포장 보수공사에서 조기교통개방을 위해 현재 국내에서는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초기의 빠른 수화반응과 내.외부적 구속으로 인한 온도수축 및 건조수축이 발생하여 콘크리트포장에 인장응력을 유발한다. 구속으로 인한 수축은 콘크리트내에 균열을 발생시켜 투수성을 증가시키고 장기적으로는 내구성을 약화시킨다. 콘크리트보강재료로서 섬유는 이러한 균열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3종류의 초속경시멘트의 내구성을 평가하였고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보강 섬유를 혼입하였으며 일반 콘크리트와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조기교통개방콘크리트에서 섬유의 혼입은 일반 콘크리트보다 내구성을 증진시키는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새로 개발된 Cement

  • 한국양회공업협회
    • 시멘트
    • /
    • 통권59호
    • /
    • pp.26-38
    • /
    • 1975
  • 본고는 일본 소야전Cement Co.의 중앙연구소주임연구원으로 있는 Hiroshi Uckikawa 박사가 일본의 Ceramics-Japan지(''74.10)에 기고한 것을 번역한 것으로서 그 내용에 의한 목차는 다음과 같다. 즉 근년에 개발된 새로운 cement로서는 1. 속경성 cement 2) 초속경 cement(jet cement, regulated set cement) 2) Alumina cement 3) 초조강 cement 4) 급경 cement 2. 고강도 cement 3. 내구성 cement 1) 내유산균 cement 2) 내화 cement (1) alumina cement 계 (2) barium, strontium 계 cement (3) 인산 aluminium 계 cement 3) 방사선차폐용 cement 4. 팽창 cement 1) alumine 산, 유산 calcium 수화물의 생성에 의한 것 2) 수산화 calcium의 생성에 의한 것 3) 기타 5. 시공성을 개선한 cement (예: 유정용 cement, 도장용 cement) 등이 있다. 머지 않아 우리나라에서도 cement 품종의 다양화가 필연적인 문제로 대두될 것을 생각하여 본번역문이 다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초기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수축특성 (Shrinkage Properties of High Early 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 원종필;김현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24-131
    • /
    • 2001
  • The shrinkage properties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were investigated. One of the method to control microcrack and crack development due to restrained shrinkage is to reinforce concrete with randomly distributed fibers. Regulated-set cement and two different types of fiber were adopted. The experiments for heat of hydration, drying and autogenous shrinkage were conducted. The desirable resistance of high early 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to restrained shrinkage microcracking was achie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se of fiber in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 of crack development due to restrained shrinkage.

  • PDF

광물질 혼화재를 혼입한 포장콘크리트의 기초물성 (Fundamental Properties of Pavement Concrete Containing Mineral Admixtures)

  • 이다현;이승태;박광필;정호섭;김성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621-624
    • /
    • 2008
  • This study deal with the effect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SG) and silica fume (SF)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pavement concrete made with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regulated set cement.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as well as unit weight of concretes were monitored. From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G was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s, but not for development of compressive strength.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the present study is limited only to the data by the age of 28 days. More data at long-term age should be accumulated for reliability.

  • PDF

배합수량 변동에 따른 콘크리트의 경화성상 및 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rdened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Concrete according to Unit-Water Content)

  • 구경모;임창혁;이의배;김영선;김영선;김규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45-48
    • /
    • 2009
  • The performance of concrete mainly depend upon its water-cement ratio. If water percentage is excess in concrete, it may cause the degradation of performance.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change of water content is managed by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 of unit water content. And criterion for the change of water content is regulated and used. However the criterion is set only considering production error and measurement error but criterion does not consider performance degradation of concrete.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degradation of performance while adding extra water by artificial manipulation or management error in concrete, The contents of extra water for tests are set as 0, 20, 40, 60kg/m3, to examin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concrete, strength, shrinkage, cracks, carbonation are tested This study conclude that, when extra water content is excess than 20kg/m3 in concrete, then performance level of concrete declined rapidly. 80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quality of concrete for its better performance.

  • PDF

CAC 및 석고혼입 CAC를 사용한 초속경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 of Ultra Rapid Hardening Concrete-Polymer Composite using CAC and Gypsum Mixed CAC)

  • 구자술;유승엽;김진만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7-105
    • /
    • 2016
  • 최근 국내에서는 노후화된 도심지 도로 등을 신속하게 보수하기 위하여 초속경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를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초속경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초속경시멘트와 폴리머의 높은 가격과 큰 환경부하로 보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재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강슬래그를 재활용하여 환경부하가 작은 CAC 및 GC를 초속경시멘트에 일부 치환한 초속경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의 특성을 폴리머 종류별로 검토함으로써 초속경시멘트의 대체재로서 CAC 및 GC의 활용가능 여부와 초속경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의 성능향상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CAC 및 GC를 초속경시멘트에 일부 치환한 경우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접착강도 및 탄성계수는 초기재령인 3시간에서는 기존보다 명확히 높은 값을 보였고, 그 이후의 재령에서는 거의 동등한 수준의 값을 보였다. 폴리머 디스퍼션 종류에 따라서는 BPD를 사용한 경우가 강도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지만, 탄성계수는 동등한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초속경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 제조용 시멘트로서 CAC 및 GC의 일부 대체사용이 가능하고, 폴리머 디스퍼션으로 BPD를 사용 시 초속경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의 성능향상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