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igious Life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의 종교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개신교회에 출석하는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dolescents' Religious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 이성혜;전미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3호
    • /
    • pp.43-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s of religious activities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general trend of adolescents' religious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adolescents' religious activities and to parents' religious activitie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childhood, adolescents have been participated in religious activities habitually or by enforcement or encouragement of their acquaintances. However, most adolescents think that the main purposes of their religious activities are a receiving grace and self-growing. So,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worship service and spiritual training camp. Seco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as high when they got a high grade in school or they felt their health condition is good.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who belong to economically high class families and whose fathers were college graduates or above is high. Third, the facts that effec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re not how long they spend their time on religious activity, but the contents, motives and purposes of religious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religious activities. Fourth,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as high when their parents have same religion to them and their fathers participated in religious activities and their mothers did not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The Effect of Religious Activities on Boredom through the Meaning in Life: Focusing on Protestantism

  • Lee, Sohee;Park, Sangha;Choi, Hyomin;Kim, Youjin;Lee, Hye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11-119
    • /
    • 2022
  • Boredom is considered anxiety and is an experience accompanied by a lack of meaning because the need for meaning is not met. It is the pain that people feel without using their mind, and the suffering that people fall into the absence of desire. On the other hand, religious activities give people meaning in life, which reduces the tendency to feel bored.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boredom depending on whether individuals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and to verify whether the meaning in life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igious activities and boredom. We predicted that if individuals engaged in religious activities, the meaning in life would increase, and they would be less bored than those who did not. A total of 8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ing in life and boredom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religious activities or not. The group actively participating in religious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ing in life and lower boredom than the non-religious group. Second, the meaning in lif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ctivities and boredom. We conclude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can increase the meaning in life and ultimately reduce boredo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discussed.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연구 (A Influence Effect of Mid-life Religious Life and Faith Maturity on the Couples' Life Satisfaction)

  • 정진오;변상해;김종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88
    • /
    • 2009
  • 본 연구는 인생의 봄은 지나고 인생의 가을을 맞이하는 중년기부부관계는 결혼 전의 영향도 있지만 결혼 후에 발생하는 갈등요인이 더 많이 있다. 이유는 부부 사이의 태도와 안정되고 적절한 수입 그리고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이 부부생활만족과의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본다. C. G. Jung은 인생의 전반기를 자기확산기로, 후반기는 자기수렴기로 구분하였는데, 자기 확산기에는 외부적.물질적 자아에 몰두하는 반면, 자기 수렴기에는 종교적 철학적 직관적 정신세계에 몰두해야만 인생전체가 균형과 통합을 이루는 중년기로 보았다. 이는 중년기의 발달과 심리적 위기를 잘 극복하고 보내면 노년기를 행복하게 맞는다. 본 연구는 중년기의 정의와 중년기의 발달특성, 중년기에서의 종교와 종교에서의 부부관계와 중년기 부부변화가 무엇인가를 연구한 후 종교에 대한 이해를 중점으로 중년기부부 생활만족도에 대한 이론들을 문헌연구로 제시하였다. 양적연구는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변인들이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 내에 있는 35세 부터 60세 까지의 중년기를 연구대상으로, 2009년 3월 25일 부터 4월30일 까지 400명에게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그리고 부부생활만족도 등을 설문하고 통계 처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관계에서 신앙성숙도의 봉사, 관계, 영성은 종교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 결과는 영성적, 개인적, 공식적종교 활동은 신앙성숙도에 영향이 있음을 말한다. 둘째,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종교 활동(t=31.36, p<.001)이 신앙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과 종교활동(t=33.81, p<.001)이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그리고 신앙성숙도(t=28.64, p<.001)가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에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말한다. 셋째,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생활만족도에 대해서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사이에 주요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교 활동(F=15.95, p<.001)과 신앙성숙도(F=23.94, p<.001)는 부부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 사이에 관계성이 높은 것으로 기독교 불교 천주교의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of Health Status wi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Korea)

  • 윤현숙;원성원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077-1093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노인 1,409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건강수준, 생활만족도와 우울, 영성과 종교 활동은 성별에 따라 일관되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성별에 따른 영향도 포함하였다. 건강상태는 만성질환의 수로 측정하였고, 생활만족도는 PGCMS를, 우울은 CES-D를 적용하였다. 영성은 IE종교성 척도를 활용하였고, 종교활동은 종교모임에 참여하는 빈도로 측정하였다.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의 영성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활동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우울에는 영향을 미치며,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의 실천적 함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했다.

Religious Coping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 Zamanian, Hadi;Eftekhar-Ardebili, Hasan;Eftekhar-Ardebili, Mehrdad;Shojaeizadeh, Davood;Nedjat, Saharnaz;Taheri-Kharameh, Zahra;Daryaafzoon, Mo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721-7725
    • /
    • 2015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edictive role of religious coping in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Tehran, Iran, from October 2014 to May 2015. A total of 224 women with breast cancer completed measures of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religious coping (brief RCOPE), and quality of life (FACT-B).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t-test,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age was 47.1 (SD=9.07) years and the majority were married (81.3%). The mean score for positive religious coping was 22.98 (SD=4.09) while it was 10.13 (SD=3.90) for negative religious cop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showed positive and negative religious coping as predictor variables explained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overall QOL score ($R^2=.22$, P=.001)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Positive religious coping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QOL (${\beta}=0.29$; p=0.001). In contrast, negative religious cop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orse QOL (${\beta}=-0.26$; p=0.005).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e used types of religious coping strategies are related to better or poorer QOL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ligious support in breast cancer care.

종교인의 가정 생활과 가치 지향에 관한 연구 -불교, 천주교, 기독교 신자를 중심으로- (A compartive study on the family life & value orientation of the people with the deferent religious affiliations - On the center or Buddhist. Catholic & Christian -)

  • 이정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3-78
    • /
    • 1998
  • In multi-value, multi-religions situation, we need to the research on the function of relig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family life & value orientation of the people with the deferent religious affiliations. The out line of the research is a as fallow: 1) The religious life of the people with the deferent religious affiliations consists of three factors: value & attitude, religious belief and family life. 2) Among these different religions, Christian has the strong intention. 3) In general, women has the strong nature of religion more than man. 4) When the husband & wife are same religions, they get more intention of religion.

  • PDF

종교지향과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 대한 종교적 원리주의의 조절효과 (The Moderate Effect of the Religious Fundamentalism on Religious Orienta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 정성진;;서경현;김신섭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1호
    • /
    • pp.19-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종교지향과 종교적 원리주의가 주관적 웰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웰빙에 대한 종교지향과 종교적 원리주의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374명의 대학생들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2.54(SD=4.79)세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I/E-R 종교지향척도, 종교적 원리주의척도, 영적안녕척도, 정서빈도검사, 삶의 만족척도, 주관적 행복척도, 삶의 동기척도 및 삶의 기대척도이다. 분석 결과, 종교를 가진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종교적 안녕을 더 경험하고 있었지만 주관적 웰빙 수준은 더 높지 않았다. 대학생의 종교지향은 영적 안녕은 물론,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긍정정서 등과 같은 웰빙 변인과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종교지향이 주관적 웰빙 변인과 공변하는 부분은 4~6%가량 밖에 되지 않았다. 종교적 원리주의는 영적 안녕이나 삶의 만족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삶의 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한편, 대부분의 주관적 웰빙 변인과 종교지향의 관계에서 종교적 원리주의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단순주효과 분석결과, 종교적 원리주의 성향이 약한 대학생의 경우 종교지향이 수준에 따라 주관적 웰빙 수준에 큰 차이가 없었지만, 종교적 원리주의 성향이 강한 경우 종교지향이 수준이 강하면 그렇지 않은 것보다 실존적 안녕 수준이 높고 긍정정서나 행복감을 더 느끼고 삶을 만족하고 있었는데, 특히 미래의 삶에 대한 동기와 기대 수준이 매우 높았다. 이런 결과는 종교 관련 변인들이 상호작용하며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알코올중독자의 신체적 건강과 삶의 만족도: 종교적 대처의 완충효과 (Physical Health Problem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lcoholics: Moderating Effects of Religions Coping)

  • 이봉재;오윤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5-24
    • /
    • 2008
  •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problems and life satisfaction is well documented, less is known about the role of coping strategies, in particular strategies for coping via religious or spiritual mean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data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completed by 326 adult alcoholics at a rehabilitation agency. Significant Physical Health Problem $\times$ Religious Coping buffer interaction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problem and life satisfaction.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eligious coping reduced the impact of physical health problem on life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are discussed.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hurch Education for the Elderly's Religious Maturity)

  • 박은혜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7권
    • /
    • pp.77-1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된 한국교회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종교적 성숙의 과제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인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해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교회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노인교육의 방향과 과제가 종교적 성숙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인간 삶의 여러 영역에서 종교적 성숙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관련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종교적 성숙의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성서적 및 신학적 성숙의 개념과 종교심리학적 성숙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중요한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하나님 이미지 개념과 성숙한 인간 삶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맺도록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을 지적, 정서적, 행위적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지적인 차원의 교육으로 성서적 및 신학적 하나님 개념을 교육하는 것과 지속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으며 성장과 성숙이 필요한 존재로 노인 스스로를 인식하도록 교육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정서적 차원의 교육으로 노인들의 하나님 이미지의 기원과 형성 과정에 대한 성찰 및 확인하도록 교육할 것과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 치유하기 위한 교육 상담적 접근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행위적 차원의 교육으로 다음 세대의 신앙교육에 있어서 부모와 조부모의 역할에 대해 교육할 것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삶으로 나타나도록 실천을 유도하는 교육방법을 사용하여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사회활동과 종교 및 영성이 한국노인들의 우울증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Impact of Social Activities and Religion/Spiritualit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 강선경;김헌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2호
    • /
    • pp.163-190
    • /
    • 2011
  • 본 연구는 65세에서 80세 사이의 연령대에 있는 서울/경기지역 노인복지센터에 참여하는 217명의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활동, 종교적 경험, 영성 수행 등이 노인 우울증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종교 및 영성에 관련된 변수는 일상적 영성 경험, 가치관, 관용, 개인의 종교 활동, 종교 및 영적 수양, 종교적 지지 등 여섯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측정되었다. 사회활동과 종교 및 영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활동척도 (Social Activities Scale)와 종교/영성 다중체계 척도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sity/Spirituality)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증 측정을 위해서는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적용하는 동시에 삶의 만족도 측정은 삶의 만족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사용하였다. 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분석한 연구결과, 높은 수준의 종교 및 영적 수양, 사회활동, 높은 소득수준, 낮은 수준의 일상적 영성 경험이 노인들의 우울증 발생에 낮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일수록, 고령일수록, 사회활동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