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ersed micell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콜라겐 수용액을 함유하는 역미셀의 제조 및 립 제품에 응용 (The Preparation of Reversed Micelle Containing Water Soluble Collagen Solution and Their Application on Lip Make up Products)

  • 김영호;정은지;이동원;이상길;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71-279
    • /
    • 2013
  • 립스틱의 보습력을 개선하기 위해 수용성 콜라겐(30 wt%)을 역미셀 방법으로 립스틱의 유상 내에 포접하였다. 콜라겐을 포함하는 역미셀은 외부상으로서 caprylic/capric triglyceride와 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10) octylphenyl ether (Triton X-100)와 보조계면활성제로 aliphatic alcohol인 1-dodecanol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콜라겐을 포접하는 역미셀의 형성 조건은 전기전도도와 methylene blue (MB)를 이용한 UV-vis spectrum을 통해 확인하였고, 콜라겐 포접체를 함유하는 역미셀의 립스틱에서 안정성 및 보습력은 레올로지 측정, 수분량 측정 및 아미노산 정량을 통해 확인하였다. 물과 계면활성제의 농도비인 W (water-pool), [$H_2O$]/[Triton X-100]는 10이하에서 안정한 역미셀이 형성되었다. 20 wt%의 콜라겐 포접 역미셀을 함유한 립스틱은 역미셀을 함유하지 않은 립스틱과 경도에서 큰 차이없이 안정하였으며, 수분량은 59%까지 개선되었고, 아미노산 함량은 92.7%였다.

역미설계를 이용한 들깨기름의 산화안정성 향상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Effect of Ascorbic Acid Solubilized via Reversed Micelle in Perilla Oil)

  • 이옥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06-709
    • /
    • 1989
  • 역미설계를 이용하여 들깨기름에 아스코르브산을 용해하여 이의 산화방지 효과를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과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역미셀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용해된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합성 산화방지제에 비하여 들깨기름의 산화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다. 한편, 아스코르브산과 델타-토코페롤과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Synthesis and Surface Derivatization of Processible Co Nanoparticles

  • Lee, Jin-Kyu;Choi, Sung-M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1호
    • /
    • pp.32-36
    • /
    • 2003
  • Co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 reverse micelle technique (NaBH₄reduction of cobalt chloride in a reversed micelle solution of didodecyldimethylammoniumbromide (DDAB)/toluene). The size and the shape of Co nanoparticles could be easily controlled by changing the water contents and micelle concentrations, and the solubility of Co nanoparticles was systematically tuned by choosing appropriate surface capping organic ligand molecules. Furthermore, a novel nanofabrication process was clearly demonstrated, which generated oxide over-coated Co nanorods from Co nanoparticles in organic solution by slow oxidation with an external magnetic field.

Separation of Two Amino Acids by Microemulsion Bulk Liquid Membrane

  • Salabat, Alireza;Sanij, Fereshteh Dehghan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0호
    • /
    • pp.3387-3390
    • /
    • 2012
  • In this research work the potentialities of microemulsion bulk liquid membrane for the selective transport of L-tryptophan (L-Trp) and L-tyrosine (L-Tyr) are investigated at 298.15 K. Reversed micelle formed by sodium bis(2-ethylhexyl)sulfosuccinate (AOT) in dichloroethane, was used as mobile carrier to transport amino acids between a source and a receiving aqueous phase. The effects of pH,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initial amino acid concentration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and transfer rate of the amino acids were studied. It is verified that for a mixture of two amino acids, L-Trp can be extracted selectively by using this type of the bulk liquid membrane with optimized condition.

가압 이산화탄소와 역미셀을 이용한 난백 lysozyme의 추출에 대한 수분함량의 영향 (The Effect of Water Content on Hen Egg lysozyme Extraction using Reversed Micelles and Pressurized Carbon Dioxide)

  • 박선영;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202-206
    • /
    • 2003
  • 역미셀과 가압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난백 lysozyme의 추출실험에서 일정한 압력의 이산화탄소를 유기용액에 가하였을 때 lysozyme의 추출율과 그 때 형성되는 역미셀의 크기, 즉 역미 셀 내부의 수분함량 ($W_{0}$)를 알아보았다. 이산화탄소로 가압된 상태에서도 수용액에서 유기용액으로의 lysozyme의 추출 경향은 실험조건인 수용액의 이온강도, pH, 유기용액의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달리 하였을 때 기존의 다른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102 bar까지 증가시켰을 때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때 역미셀 내부의 수분함량 ($W_{0}$)을 측정한 결과, lysozyme의 추출율과 역미셀 내부의 수분함량은 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미셀을 이용한 Lysozyme 추출에 대한 물질 전달 (Mass Transfer of Lysozyme Extraction Using Reversed Micelles)

  • 전병수;김석규;윤성옥;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41-245
    • /
    • 2001
  • Mass transfer rates have been measured for the extraction of enzyme from aqueous solution into a reverse-micelle phase at $25^{\circ}C$. The 420 mL vessel was carefully designed to maintain a planar interface between the aqueous and solvent phases, so allowing precise measurement of interfacial area, has been investigated. Sodium di-2-ethylhexyl sulfosuccinate(AOT) was the surfactant used. Factors varied included: agitator speed, pH, ionic strength and surfactant concentration.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olvent phase at 15min intervals, and the amount of enzyme extracted was measured by UV absorption at 280 nm. The observed Sherwood numbers for the aqueous phase $Sh_1$were correlated interms of the aqueous phase Reynolds number $Re_1$, and modified Schmidt number $Sc_1$. $Sh_1=0.664Re_1^{0.5}Sc_1^{0.33}$

  • PDF

역미셀을 이용한 Lysozyme 추출 최적조건 (Optimum Conditions of Lysozyme Extraction Using Reversed Micelles)

  • 전병수;김석규;윤성옥;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661-664
    • /
    • 1999
  • Lysozyme 수용액으로부터 역미셀을 이용한 Lysozyme 추출공정에서 주요변수인 pH, 이온강도, AOT 농도, 추출시간 등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미셀내의 수분함량과 lysozyme 농도는 비례관계임을 KCl 농도변화에 따른 결과로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lysozyme의 등전점이 약 11.2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추출공정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고, 추출공정(forward extraction)에서의 최적조건은 pH 6-9일 때, 그리고 0.1 M 염농도와 50 mM이하의 AOT 농도에서 가장 높은 lysozyme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역추출(back extraction)에서는 pH 12이상, 1M 염농도에서 Lysozyme의 가장 높은 추출 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역마이셀에 의한 TiO(OH)$_2$ 미세분말 제조 (Formation of TiO(OH)$_2$ Ultrafine Particles by Reverse Micelle)

  • 장화익;강석원;이광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94-602
    • /
    • 1998
  • 유기용메인 이소옥탄(isooctane)에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물을 역마이셀 형태로 생성시킨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e alcohol)에 묽힌 티타늄알코옥사이드(tetraisopropyl orthotitanate)를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를 거쳐 TiO(OH)2 분말을 제조하였다. 역마이셀에 의한 TiO(OH)2 분말 제조에 미치는 공정변수들인 계면활성제의 종류, 농도, 보조계면활성제, 가수분해 반응온도, pH등이 생성된 입자의 크기, 모양, 입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비이온계활성제인 Span 80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Span 80의 농도변화, 가수분해 반응온도 변화, pH변화에 무관하게 입도분포가 uninodal형태였으나, 음이온계면활성제인 Aerosol-OT(AOT)를 사용하였을 경우, binodal형태를 나타내었다. 에타올(ethanol)을 cosurfactant로 첨가한 계(AOT, 1.0CMC, isooctane+ethanol, pH2.5, 30$^{\circ}C$)로 부터 생성된 입자는 평균입경이 0.12${\mu}{\textrm}{m}$ 으로서 미세할 뿐아니라 입도분포도 매우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osurfactant의 유무가 생성 입자의 입도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FT-IR 분석으로 T1-O 결합과 Ti-OH 결합에 의한 흡수피크를 확인하였고, TGA-DTA 분석결과에 의하면 41$0^{\circ}C$ 부근의 발열피크로 부터 비정질 구조에서 anatase 구조로 결정화가 시작됨을 알 수 있었으며, 온도 상승과 더불어 결정이 성장하여 약 45$0^{\circ}C$ 정도에서 비정질상이 anatase상의 결정구조로 완전히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 PDF

바이컨티니어스 큐빅상 액정의 생성과 자기조직화 (Self Assembly and Formation of Bi-continuous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 김인영;최화숙;이소라;최성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78-485
    • /
    • 2014
  • 이 연구는 경표피흡수를 위하여 큐빅액정의 자기조직체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복수 수산기(-OH)를 가지는 친수부에 4개의 메칠 그룹을 가지는 양친매성지질인 diglyceryl phytylacetate (DGPA)를 합성하여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DGPA의 유화력은 1%의 적은 농도에서도 고 내상의 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W/O water-in-oil)에멀젼이 유지되었다. DGPA, dimethicone (2CS), water의 3성분계의 특정영역에서, 안정한 큐빅상의 액정이 형성되었다. 3상 구조도 작성을 통하여 큐빅 액정영역, 헥사고날 영역, 물과 헥사고날이 혼제된 영역, 역미셀 영역을 확인하였고, SAXS (small angled x-ray scattering)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증명하였다. 화장품의 응용으로, 큐보좀 (cubosome)에 10%의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5%의 피리독신트리헥사데카노에이트를 봉입하여 캡슐화하였다. 큐보좀의 occlusive 효과는 역미셀(reverse micelle)보다 1.7배 우수한 효과를 가졌다. 큐보좀을 분산제인 poloxamer를 사용하여 W/O 에멀젼을 만든 것으로부터 큐빅구조의 액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따라서, DGPA의 양친매성지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큐빅상의 액정을 형성하는 기재로써 화장품 산업과 의약품분야에서 경표피흡수제로써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귀금속-티아크라운에테르 착물들의 역상 이온쌍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용리거동 (Reversed-Phase Ion-Pair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Elution Behavior of Noble Metal-Thiacrown Ether Complexes)

  • 정용순;김동원;이강우;김창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16-421
    • /
    • 1998
  • 귀금속-티아크라운에테르 착물들의 역상 이온쌍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RPIP-HPLC)용리 거동에서 이온쌍 시약의 농도와 리간드 종류 효과를 연구하였다. 귀금속 이온 분석의 선택성은 사용한 티아크라운에테르의 고리를 구성하는 원자들의 수가 작을수록 좋았고, 귀금속-티아크라운에테르 착물의 용리 메카니즘은 이동상 중 이온쌍 시약인 도데실술폰산나트륨염(SDS)의 농도가 10 mM 이하일 경우 이온쌍 형성 메카니즘으로, 10 mM 이상일 경우 미쎌 형성 메카니즘으로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몇 가지 귀금속-티아크라운에테르 착물들을 최적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흑백사진 정착액 중 Ag(Ⅰ) 이온 분리와 정량에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