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bium sp.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Rhizobium sp. RH84에 의한 간척지 환경에서의 헤어리베치 생육촉진 (Hairy Vetch Growth-Promoting Rhizobium sp. RH84 and Application to Reclaimed Land)

  • 장종옥;권미경;박동진;성창근;김창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4호
    • /
    • pp.235-239
    • /
    • 2013
  • 녹비 작물인 헤어리베치의 간척지 적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헤어리베치의 뿌리혹으로부터 분리 된 Rhizobium sp. RH84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직접 간척지에 적용하여 헤어리베치의 생산량 증대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전보에서 분리 한 RH84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식물생육촉진(PGP)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옥신, 질소 고정능, 인산 가용능, sideropore 생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RH84는 식물호르몬인 IAA를 $9.03{\mu}g/mL$ 생산하였고, 질소 고정 활성을 가진 균주이었다. 또한 염 농도가 0.3%인 간척지 토양에서의 헤어리베치 생장에 영향을 주며, 간척지 포장에서 약 56%의 헤어리베치 수확량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Rhizobium sp. RH84 균주는 염 농도가 높은 간척지에서 녹비작물인 헤어리베치의 생장을 촉진시키며 수확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Rhizobium sp. SNU003의 nifHD 클로닝 (Molecular Cloning of nifHD from Rhizobium sp. SNU003)

  • 강명수;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3-128
    • /
    • 1993
  • 해녀콩 뿌리혹의 질소고정 공생균인 Rhizobium sp. SNU003 균주의 게놈내 7.9 kb 의 EcoRI, 6.5kb 의 SalI, 7.3 kb 의 HindIII 와 4.4 kb 의 PstI 절편에 nifHD 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람다파아지 EMBL3-BamHI arm 을 사용하여 genomic library 를 제조하였으며 이로부터 nif-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9개의 재조합 파아지 클론을 선별하였다. 이들 중 15.3 kb 의 삽입 DNA 를 가지고 있는 Rnif-6 클론은 7.6 kb 의 BamHI/SacI 절편에 nifHD 가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절편을 pUC19 에 sub cloning 하고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한 결과 Rhizobium sp. SNU003 의 nifH 와 nifD 는 4.5 kb 의 BamHI/BglII 절편에 연속배열하고 있다.

  • PDF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이 우수한 헤어리베치 유래 Rhizobium의 분리 및 선발 (Screening of Rhizobium, Hairy Vetch Root Nodule Bacteria, with Promotion of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 장종옥;권미경;박동진;성창근;김창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1-13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헤어리베치로부터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이 우수한 Rhizobium 균주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일곱 군데 헤어리베치 재배 지역에서 수집 후 뿌리혹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헤어리베치에 분리 균주를 재접종하여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2개의 Rhizobium 속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 중 0.5% NaCl 농도 이상에서 자라는 Rhizobium은 16균주이었다. 뿌리혹 형성능은 16개 균주 중 Rhizobium sp. RH1, RH3, RH81, RH82, RH84, RH93의 균주를 접종한 시험구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질소 고정능을 확인한 결과 Rhizobium sp. RH84가 가장 높은 acetylene reduction activity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염의 분포가 불균일한 간척지에 적용 시에도 헤어리베치의 생육을 촉진해 녹비 작물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주는 결과로 판단된다.

Rhizobium muliticopy plasmid의 복제 및 이주 기능을 이용한 rhizobium-E. coli shuttle vector 구축 (Construction of rhizobium-E. coli shuttle vector using replication and mobilization function of indigenous multicopy plasmid from rhizobium)

  • 조무제;신평균;최영주;강규영;윤한대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2-97
    • /
    • 1989
  • the vector, pGUR19, for Rhizobium gene manipulation, was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replication and mobilization function of indigenous multicopy plasmid from Acacia(Robinia pseudoacacia L.) Rhizobia sp86 with E. coli cloning vehicle, pBR322. The vector could be efficiently mobilized by RP4 tra function incorporated into chromosome of E. coli named SM10 and efficiently transferred to various gram negative hosts including Rhizobium and Afrobacterium by transformation. Mobilization frequency of the constructed vector was ranged from $1.2\times 10^{-2}$ (E.coli HB 101) to $4.6\times 10^{-4}$ (A. tumefaciens 15955) and transformation frequency was ranged from $5.4\times 10^{-7}$(E. coli HB101) to $1.2\times 10^{-10}$ (A. tumefaciens 15955). The vector, pGUR19, was stably replicated and maintained in a variety of Rhizobium and Agrobacterium.

  • PDF

인삼 근계로부터 다당 생성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Bacteria in a Ginseng Root System)

  • 조건영;전인화;한송이;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97-300
    • /
    • 2013
  • 인삼근계(근권, 근면, 근내부) 내 EPS 생성세균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 근권토양 내에는 $2.4{\times}10^6$ CFU/g, 근면에는 $9.1{\times}10^6$ CFU/g, 그리고 근내부에는 $2.0{\times}10^4$ CFU/g로 확인되어 다수의 EPS 생성세균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인삼 근계로부터 EPS 생성 우수 균주 24균주를 순수분리하고 계통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근권(RS)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그리고 Rhizobium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면(RP)으로 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내부(IR)에서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Rhizobium 속 6균주, Bacillus 속 1균주 그리고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권과 근면에서 분리된 EPS 세균 중 Arthrobacter 속에 속하는 균주는 가장 특징적인 세균으로 밝혀졌으며, Rhizobium 속은 근내부에서 분리된 가장 특징적인 EPS 생성세균으로 나타났다. EPS 생성 우수균주 Rhizobium sp. 1NP2 (KACC 17637)는 10 g/L 그리고 Arthrobacter sp. 5MP1 (KACC 17636)는 4.9 g/L의 다당을 생성하였으며, 당단백질의 구성당 성분을 확인한 결과, galactose, glucose, mannose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glucosamine의 아미노당이 나타났다. 특히, glucose는 72.7-84.9%로 주요 구성당임이 확인되었다.

해녀콩(canavalia lineata) 뿌리혹으로부터 공생균주 Rhizobium spp.의 분리 (Isolation of Symbiotic Rhizobium spp. Strain from Root Nodule of Canavalia lineata)

  • 김성천;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8-403
    • /
    • 1989
  • The root nodule of Canavalia lineta was classified as a determinate nodule and the symbiont as a Rhizobium-bacterio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solated encosymbiont was similar both to R. leguminosarum and R. meliloti in its peritrichous arrangement of flagella and some of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control plants, Canavalia seedlings inoculated with the isolate grew normally due to induced root nodules, confirming isolate's infectivity and effe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reisolated endosymbiont from induced root nodule were identical to those of the first isolate, indicating the nodules were induced by the first isolate.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Rhizobium strain isolated from the root nodules of Canavalia lineata was a real symbiont, and was named Rhizobium sp. SNU003.

  • PDF

질소고정균의 성장과 질소고정력에 대한 osmoprotectant의 영향 (Effects of Osmoprotectants on the Growth and Nitrogenase Activity of Rhizobium and Azospirillum under Osmotic Stress)

  • 갈상완;최영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53-59
    • /
    • 1998
  • 수종의 두과작물과 수도에서 분리한 Rhizobium 및 Azospirillum들의 내염성을 조사하고 salt stress에 의하여 유도되는 균주의 생리적 특성 및 식물이나 미생물에서 osmoprotectant 로 작용하는 proline, glycine betaine 및 glutamate가 질소고정균의 생육이나 질소고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분리된 대부분의 질소고정균들은 0.6 M NaCl 농도에서 생육이 현저히 감소되었지만 Acacia rhizobia sp86 은 1.4 M NaCl 농도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였다. Osmotic stress에 의하여 증가되는 intracellular 유리아미노산은 Rhizobium 및 Azospirillum에서 glutamate 였으며, 특히 Acacia rhizobia sp86은 salt stress에 의하여 5배정도 glutamate를 축적하였다. Osmoprotectant (proline, glycine betaine, glutamate)를 배지내에 1 mM 첨가함으로서 salt stress에 의하여 감소되는 질소고정균의 생육과 질소고정력을 방지하였으며, glycine betaine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Responses of Pea Varieties to Rhizobium Inoculation: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itrogen Uptake

  • Solaiman, A.R.M.;Khondaker, M.;Karim, A.J.M.S.;Hossain, M.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61-368
    • /
    • 2003
  • The responses of five varieties and three cultivars of pea (Pisum sativum) to Rhizobium inoculation on nodulation, growth,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were investigated. The pea varieties were IPSA Motorshuti-l, IPSA Motorshuti-2, IPSA Motorshuti-3, BARI Motorshuti-l, BARI Motorshuti-2 and the cultivars were 063, Local small and Local white. Fifty percent seeds of each pea variety/cultivar were inoculated with a mixture of Rhizobium inoculants at rate of 15g/kg seed and the remaining fifty percent seeds were kept uninoculated. The plants inoculated with Rhizobium inoculant significantly increased nodulation, growth,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Among the varieties/cultivars, BARI Motorshuti-l performed best in almost all parameters including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of the crop.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r=$0.987^{**}$, $0.909^{**}$),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r=$0.944^{**}$, $0.882^{**}$), dry weight of shoot (r=$0.787^{**}$, $0.952^{**}$), N content (r=$0.594^{**}$, $0.605^{**}$) and N uptake (r=$0.784^{**}$, $0.922^{**}$) by shoot both at flowering and pod filling stages of the crop,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BARI Motorshuti-l in symbiotic association with Rhizobium inoculant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by pea.

Isolation of an Indigenous Imidacloprid-Degrading Bacterium and Imidacloprid Bioremediation Under Simulated In Situ and Ex Situ Conditions

  • Hu, Guiping;Zhao, Yan;Liu, Bo;Song, Fengqing;You, Minsh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1호
    • /
    • pp.1617-1626
    • /
    • 2013
  •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its complexity of the enrichment culture during the isolation and screening of imidacloprid-degrading strain were studied using denaturat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The dominant bacteria in the original tea rhizosphere soil were uncultured bacteria, Rhizobium sp., Sinorhizobium, Ochrobactrum sp., Alcaligenes, Bacillus sp., Bacterium, Klebsiella sp., and Ensifer adhaerens.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as altered extensively and its complexity reduced during the enrichment process, and four culturable bacteria, Ochrobactrum sp., Rhizobium sp.,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and Alcaligenes faecalis, remained in the final enrichment. Only one indigenous strain, BCL-1, with imidacloprid-degrading potential, was isolated from the sixth enrichment culture. This isolate was a gram-negative rod-shaped bacterium and identified as the genus Ochrobactrum based on its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nd its 16S rRNA gene sequence. The degradation test showed that approximately 67.67% of the imidacloprid (50 mg/l) was degraded within 48 h by strain BCL-1. The optimum conditions for degradation were a pH of 8 and $30^{\circ}C$. The simulation of imidacloprid bioremediation by strain BCL-1 in soil demonstrated that the best performance in situ (tea soil) resulted in the degradation of 92.44% of the imidacloprid (100 mg/g) within 20 days, which was better than those observed in the ex situ simulations that were 64.66% (cabbage soil), 41.15% (potato soil), and 54.15% (tomato soil).

질소고정균(Rhizobium)과 인산가용화균(Bacillus megaterium)의 동시배양을 위한 배양조건 탐색 (Effect of a Common Medium on the Growth of Nitrogen Fixer Rhizobium and Phosphate Solubilizer Bacillus megaterium)

  • ;;류정현;;정근욱;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14
    • /
    • 2005
  •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있는 농업용 유용미생물을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하기 위하여는 동시에 다양한 미생물이 상호간에 길항관계를 갖지않고 잘자랄수있는 배지의 선택이 필수적으로 요망된다. 본실험은 질소고정균 (Rhizobium)과 인산가용화균 (Phosphobacteria)을 yeast extract mannitol변형배지를 포함한 다양한배지에서 함께 배양시 각각의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종시차를 규명하고 각 조건에서 생산된 미생물의 효능유지기간을 비교하였다. 인산가용화균과 질소고정균을 동시배양시 최대 수율을 얻기위한 조건은 인산가용화균을 먼저접종한 후 48시간후에 질소고정균을 접종한 후 60시간 배양하는것이었다. 이러한 조건으로 배양하였을 때 생산된 균의 효능유지기간은 각각의 균을 단독배양한것과 비교하여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조건에서 생산된 미생물의 개체수는 담체에 고정시킨후에도 60일까지 변화없이 유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