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pus acidu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9초

진균류의 DNA 생합성 및 염기조성에 미치는 항생물질의 효과 (The Effect of Antibiotics on the DNA Synthesis and Base Composition in Fungal Cells)

  • 박규연;이종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6-377
    • /
    • 1994
  • Cycloheximide와 nalidixic acid를 각각 처리한 배지에 Aspergillus phoenicis, Rhizopus acidus, Candida albicans를 배양하는 동안에 이들 세포에서 항생물질이 DNA 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대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Cycloheximide 처리구에서의 DNA 염기 함량은 A. phoenicis에서 대조구에 비해 adenine 20.4%, thymine 43.1%, cytosine 40.9%, guanine 35.3%가 감소되어 purine기, pyrimidine기가 각각 32.2%, 42.7% 억제 현상을 나타내었다. R. acidus에서는 adenine이 34.2%, thymine이 42.1%, cytosine은 38.0%, guanine은 18.1%가 감소됨으로 purine기와 pyrimidine기가 24.1%와 40.0%로 저해되었다. 그리고 C. albicans의 염기 조성은 adenine이 58.3%, thymine이 58.5%로 대조구에 비해 억제되었고 cytosine은 58.1%, guanine은 42.4%가 감소되어 purine기 46.8%, pyrimidine기 58.8%의 억제를 보여주었다. Nalidixic acid 처리구에서는 A. phoenicis에서 adenine 41.6%, thymine 47.1%, cytosine 59.3%, guanine 46.3%가 저해되어 purine기 45.6%, pyrimidine기 57.2%가 감소되었다. R. acidus에서의 염기함량은 adenine 59.1%, thymine 54.7%, cytosine 35.3%, guanine 37.4% 감소로 purine기 45.9%, pyrimidine기 44.9%가 대조구에 비해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C. albicans에서는 adenine이 60.1%, thymine이 68.6%, cytosine이 60.7%, guanine이 40.0% 저해되어 purine기는 45.8%, pyrimidine기는 63.5% 감소현상을 보였다. 이들 3 균주의 DNA 생합성에서 purine기 보다는 pyrimidine기가 cycloheximide와 nalidixic acid에 의해 뚜렷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cycloheximide보다는 nalidixic acid가 DNA 생합성에 현저한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hizopus속의 염색체에 관한 연구 1 (Chromosomal Studies on the genus of Rhizopus I)

  • 민병례;이택준;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4-146
    • /
    • 1982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life cycle of 7 species (Rh.nigricans, Rh. delemar, Rh.oryzae, Rh.acidus, Rh.tritici, Rh. formosaensis and Rh. japonicus) in genus Rhizopus isolated from Korean soil, so as to seize the appropriate stage for detecting their chromosomal number and nuclear size under the method of thin layer slide culture using modified Rogers(1965a) mediu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owings ; 1. The haploid chromosome number are found 16 in Rh. japonicus are 8, respectively. 2. Comparing the 7 species of Rhizopus with each other,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basic haploid chromosome number of genus Rhizopus distributed in Korean soil are 8 and that Rh. nigricans is double of the basic hapolid chromosome number (n = 16). Besides them, the other two species (Rh. tritici and Rh. formosaensis) are believed aneuploids.

  • PDF

Rhizopus의 아밀라아제에 관한 연구 1 (Studies on the Amylase of Rhizopus(I))

  • 이영녹;윤경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50
    • /
    • 1973
  • 151 strains which belong to the gens Rhizopus were isolated from 750 specimens collected through all over South Korea, and 19 species of the genus, all of which are unrecorded in Korea,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modified Takeda-Yamamoto's classification key. The species identified are as follows ; R. nigricans, R.formosaensis, R.achlamydosporus, R.tritici, R.javanicus, R.cuiuniang, R liquefaciens, R.chungruoensis, R.acidus, R.chinensis, R.delemar, R.hangchow, R.japonicus, R.arrhizus, R.bahrnenesis, R.tonrinensis, and R.shanghaiensis.

  • PDF

탄수화물이 Aspergillus, Rhizopus, Candida 세포의 인지질 합성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hydrates on the Biosynthesis of Phospho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Aspergillus, Rhizopus and Candida Cells)

  • 조선희;이종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30
    • /
    • 1994
  • 탄수화물(포도당, 서당, raffinose)을 각각 처리한 배지에서 배양한 진균류(Aspergillus phoenicis, Rhizopus acidus, Candida albicans)의 세포에서 일어나는 지질대사 특히 인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당은 Aspergillus와 Candida의 생장에, 포도당은 Rhizopus의 생장에 최적의 당이었다. 포도당은 Aspergillus와 Rhizopus total lipid 합성에, Raffinose는 Candida total lipid 합성에 가장 유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포도당 처리는 Aspergillus의 Pl를 73.7%, Rhizopus의 PC를 292% 증가시켰다. 서당 처리는 Aspergillus의 Pl를 112%, Rhizopus와 Candida의 PC의 함량을 77.7%와 71.8%의 촉진 현상을 보여 주었다. Raffinose 처리는 Aspergillus에서 PC의 함량을 29.5% 증가시컸고, PE의 함량은 Rhizopus에서 50.9%, Candida에서 49.1% 촉진하였다. Aspergillus와 Candida의 당 처리구에서 PC와 PE를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이었다.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으로 Aspergillus에서는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 Rhizopus에서는 palmitic acid, Candida에서는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로 조사되었다. 이들 3진균류가 당 처리시 인지질 합성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로 분석되었다.

  • PDF

진균류의 원형질막 단백질 변화에 미치는 식품보존제의 영향 (Effects of Antiseptics on the Protein Change of Plasma Membrane in various Fungal Cells)

  • 이학미;이종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51-561
    • /
    • 1998
  • S.B, P.S, C.P를 각각 처리한 배지에 배양된 진균류(Aspergillus phoenicis, Rhizopus acidus, Candida albicans)에서 원형질막을 분리하였다. 원형질막 단백질의 함량과 특성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A. phoenicis의 생장은 S.B 처리구에서 평균 64.0%가 감소하였다. R. acidus의 생장은 P.S 처리구에서 평균 69.0%가 감소하였다. 또한 C. albicans의 생장도 S.B 처리구에서 평균 59.5%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여러 진균세포 원형질막에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S.B 처리구에서 평균 41.0%, 41.7%, 59.5%가 각각 억제되었다. A. phoenicis의 원형질막 단백질의 변화 양상은 처리구에서는 배양 1일째, 2일째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배양 1일째 $116\;KD{\sim}97\;KD$ 밴드는 거의 사라졌고 $45\;KD{\sim}29\;KD$ 밴드는 희미하게 관찰되었다. R. acidus는 S.B 처리구에서 배양 중간기부터 $116\;KD{\sim}97\;KD$ 밴드가 소실되었으며, P.S 처리구와 C.P 처리구는 배양초에 소실되기 시작하여 배양 36시간에는 완전히 소실되었다. C. albicans에서는 $116\;KD{\sim}97\;KD$ 밴드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배양초에 소실되기 시작하였고 $66\;KD{\sim}45\;KD$밴드는 배양 96시간에 희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C.P 처리구에서는 배양 96시간에 완전히 소실되었다.

  • PDF

한국산 Rhizopus의 효소활성에 관한 연구 (第 1 報) - Amylase, protease 및 cellulase 활성에 관하여- (Studies on the Enzyme Activities of Rhizopus distributed in South Korea(1) - On the amylase, protease and cellulase activities-)

  • 이영녹;윤경하;이평우;배광승;박용근;정성균;서항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9-49
    • /
    • 1976
  • Enzyme activities, such as glucoamylase dextrinogenic amylase, cellulase, acid protase and neutral protease, of Rhizopus isolated from various substrates collected throughout South Korea are measured, and their enzyme activities are surveyed from taxonomical,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viewpoint. Effect of carbon sources and phytohormones on the amylalse production of Rhizopus are also measured. Among the 735 strains of Phizopus isolated, strain number 587 exhibiting most prominent dextrinogenic amylase and netral protease activity is selected as the best strain, and the strain number 673, 108, 329, 165 and 728 are seleted for their predominant cellulase, acid protease, glucoamylase, dextrinogenic amylase and neutral protease activities, respectively. R.acidus and R.nigricans which exhibited relatively higher callulalse activity, showed lower activities for both amylase. R.tritici exhibited higher protease activity. The relations between activities and various substrates of wild strains are not outstnading difference, although the strains isolated from inland region exhibited more or less higher amylase and cellulase activities, than those of coast region, generally. Lactose and dextrin are most effective carbon sources for glucoamylase and dextrinogenic amylase production of the Rhizopus niveus, respectively. Although all phytohormones tested are effective for production of amylase by the Rhizopus strains, except nicotinamide for glucoamylase production, biotin and ascorbate are most effective for dextrinogenic amylase and glucoamylase production, respectively.

한국산 Rhizopus의 효소활성에 관한 연구 (第 1 報) - Amylase, protease 및 cellulase 활성에 관하여- (Studies on the Enzyme Activities of Rhizopus distributed in South Korea(1) - On the amylase, protease and cellulase activities-)

  • 이영녹;윤경하;이평우;배광승;박용근;정성균;서항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7-56
    • /
    • 1976
  • Enzyme activities, such as glucoamylase dextrinogenic amylase, cellulase, acid protase and neutral protease, of Rhizopus isolated from various substrates collected throughout South Korea are measured, and their enzyme activities are surveyed from taxonomical,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viewpoint. Effect of carbon sources and phytohormones on the amylalse production of Rhizopus are also measured. Among the 735 strains of Phizopus isolated, strain number 587 exhibiting most prominent dextrinogenic amylase and netral protease activity is selected as the best strain, and the strain number 673, 108, 329, 165 and 728 are seleted for their predominant cellulase, acid protease, glucoamylase, dextrinogenic amylase and neutral protease activities, respectively. R.acidus and R.nigricans which exhibited relatively higher callulalse activity, showed lower activities for both amylase. R.tritici exhibited higher protease activity. The relations between activities and various substrates of wild strains are not outstnading difference, although the strains isolated from inland region exhibited more or less higher amylase and cellulase activities, than those of coast region, generally. Lactose and dextrin are most effective carbon sources for glucoamylase and dextrinogenic amylase production of the Rhizopus niveus, respectively. Although all phytohormones tested are effective for production of amylase by the Rhizopus strains, except nicotinamide for glucoamylase production, biotin and ascorbate are most effective for dextrinogenic amylase and glucoamylase production, respectively.

  • PDF

DNA-probe를 이용한 미생물 검출 진단 방법의 개발

  • 김영대
    • 미생물과산업
    • /
    • 제25권2호
    • /
    • pp.2-6
    • /
    • 1999
  • 151 strains which belong to the gens Rhizopus were isolated from 750 specimens collected through all over South Korea, and 19 species of the genus, all of which are unrecorded in Korea,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modified Takeda-Yamamoto's classification key. The species identified are as follows ; R. nigricans, R.formosaensis, R.achlamydosporus, R.tritici, R.javanicus, R.cuiuniang, R liquefaciens, R.chungruoensis, R.acidus, R.chinensis, R.delemar, R.hangchow, R.japonicus, R.arrhizus, R.bahrnenesis, R.tonrinensis, and R.shanghaiensis.

  • PDF

Rhizopus속의 histones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istones of the Genus Rhizopus)

  • 민병례;이은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8-133
    • /
    • 1990
  • 고등한 진핵생물에서 nucleosome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istone 단백질이 하등한 진핵생물에서도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 하등한 균류에 속하는 Rhizopus 속의 5종(R. acidus, R. arrhizus, R. formosaensis. R R. japoηicus, R. oryzae)을 재료로 하여 15% polyacrylamide acid-urea gel과 18% P이yacηlam ide SDS-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였다. 분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marker protein으로 Cytochrome C와 함께 15% polyacrylamide SDS-gel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gel에서 standard로써 calf thymus histone을 사용하여 electrophoreticmobility를 비교하였고 호 한 속내에서의 종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설험하였다 실험결과는 한 속내에서 종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없었으며 standard인 calf thymus histone HI. H2A, H2B, H3, H4와 유사한 electromobility흘 갖는 protein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HI histone은 t성확하게 일치되지가않았다.따라서 하등한균류인Rhizopµs에서도고등 진핵생불과유사한단백질이 존재함을 주정할 수가 있었다.

  • PDF

다양한 균주를 이용한 혼합곡물 발효음료의 제조와 일반 성분 비교 (Production of Saccharogenic Mixed Grain Beverages with Various Strains and Comparison of Common Ingredients)

  • 이재성;강윤환;김경곤;임준구;김태우;김대중;배무환;최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6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효균 starter를 이용한 당화 혼합곡물 음료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혼합곡물의 수분 흡수 지수를 측정한 결과, 쌀 60분, 차조 120분, 기장 120분, 메밀 120분, 수수 180분으로 나타났다. 7종의 균주와 2가지의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균 starter의 당화력은 0.13~3.58 units/g으로 형성되었다. Starter를 이용하여 제조한 당화 혼합곡물 음료의 가용성 고형분($^{\circ}Brix$)은 당화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15시간 동안 당화를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C sample에서 $17.55{\pm}0.05$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수분 함량은 77.9~80.7%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3.7~7.5%, 0.37~0.97%, 1.81~7.47%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음료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60~528.3 CP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음료의 유리아미노산을 측정한 결과, 아르기닌과 필수 아미노산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G sample에서 필수 아미노산으로 알려진 루신, 이소루신, 발린, 트레오닌과 단맛을 나타내는 알라닌, 라이신, 세린의 함량이 다른 당화 음료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균 starter가 가지는 고유의 효소 활성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Aspergillus oryzae CF1003, Asp. acidus KACC46420, Rhizopus delemar KACC-46149, Rhz. oryzae KACC45714, Rhz. oryzae KACC46148, Asp. oryzae CF1001, Asp. acidus CF1005의 7가지 균주 각각을 이용하여 제조한 starter와 이 균주들을 혼합한 starter를 이용한 당화물의 제조에 관한 기초 자료와 일반 성분을 검토함으로써 혼합곡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