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b neoplasm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4초

늑골에 발생한 연골아세포종 -1례 보고- (Chondroblastoma of the Rib -A Case of Report-)

  • 안상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494-496
    • /
    • 1994
  • Chondroblastoma is a rare benign bone tumor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epiphyseal region of long bones. The most common locations are the knee and proximal humerus,but the rib is an unusual site. Second decade is the most common age group. The ossification centers for the rib appear in the second fetal month and ossify in a caudal-to-cranial direction. There are also epiphyseal centers at the head and tubercle of the rib that appear at puberty and ossify in the third decade. The epiphyseal plates of the head and tubercle may be the site of origin of the posterior chondroblastomas; the anterior lesions may arise from the costochondral junction. The histologic features consist of polygonal chodroblast, small foci of chondroid production, osteoclast-like giant cell, and are diagnostic of chondroblastoma.We experienced a case of the chondroblastoma arising from the rib, and its clinical and histologic features are discussed.

  • PDF

늑골 전방궁에 발생한 원발성 거대세포증 (Primary Giant Cell Tumor of Rib-Unusual Location)

  • 장지원;민선경;한재진;박영식;안재호;원태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51-253
    • /
    • 2002
  • 거대세포종은 늑골에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종양으로, 원발성 늑골 종양일 때는 주로 후방궁에 위치한다. 저자들은 늑골의 전방궁에 발생한 원발성 거대세포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기관지 및 늑골에 전이된 맥락막 흑색종의 수술적 치료 - 1예 보고 - (Surgical Resection of Metastatic Choroidal Melanoma in the Rib and Bronchus - A case report -)

  • 박병준;최용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117-119
    • /
    • 2010
  • 맥락막 흑색종은 성인에서 가장 빈번한 안구 내 종양이다. 간, 폐, 뼈로 전이를 잘하며 그 예후는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늑골 및 기관지에 전이된 맥락막 흑색종에 대하여 수술적 절제를 하였으며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Rib

  • Lee, Hae-Young;Kim, Jong-In;Kim, Ki-N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4호
    • /
    • pp.269-271
    • /
    • 2012
  •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bone, and especially of a single rib, is a rare disease. Here we report a 73-year old male patient complaining of continuous chest wall pain around the right 5th rib shaft who underwent a wide excision of the rib tumor with surrounding connective tissue. He was diagnosed with solitary plasmacytoma and will undergo radiation therapy.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과지단백증이 없이 발생한 늑골의 황색종 - 1예 보고 - (Xanthoma of the Rib without Hyperlipoproteinemia -A case report-)

  • 이승진;백강석;이석열;이철세;조현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232-234
    • /
    • 2010
  • 뼈에서 발생한 일차성 황색종은 흔치 않은 양성 종양이며, 특히 늑골에서의 황색종은 상당히 드물다. 대부분 연조직에서 발생하며 고지단백증과 관련이 있다. 54세 남자환자로 좌측 흉통으로 시행한 x-ray상 좌측 3번째 늑골종양이 확인 되었다. 혈액검사상 지질, 단백질 모두 정상이었다. 조직검사 위해 절제술을 시행 하였고, 병리소견상 황색종으로 진단되었다.

늑골에 발생한 원발성 활막육종 1 례 보고 (Synovial Sarcoma of the Rib Report of a Case)

  • 최용수;김관민;김진국;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154-1158
    • /
    • 1997
  • 활막육종은 관절, 활액낭, 건초 부위에서 발생하는 흔하지 않은 악성 간엽 종양이다. 발생 부위는 전형적으로 사지, 특히 하지에서 호발한다. 복벽이나 흉벽에서도 발생하며 드물지만 두경부에서도 발생한다. 본 병원(삼성의료원) 에서는 17세 여자에서 발생한 늑골의 활막육종 1례를 치험하였다. 수술적 치료로서 우측 두 번째 늑골 종양을 포함하여 첫 번째, 세 번째 늑골 일부를 흉벽과 함께 절제하는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으나, 외래 추적 도중 흉골과 양측 폐에 종양 재발이 발견되어 항암제 치료를 실시하였다.

  • PDF

늑골에 발생한 연골점액유사 섬유종 -1예 보고- (Chondromyxoid Fibroma of the Rib Report of one case -)

  • 이재욱;임재웅;원용순;고은석;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1호
    • /
    • pp.788-790
    • /
    • 2005
  •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은 뼈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으로 양성 골종양의 $2\%$ 미만을 차지한다.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은 무릎부위의 경골 근위부와 대퇴골 원위부에 가장 호발하며 골반, 비골, 발꿈치 뼈, 늑골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내원 1달 전부터 시작된 좌측 7번째 늑골부위의 부종과 간헐적으로 지속된 경한 동통으로 내원한 54세 남자가 방사선 검사상 양성 늑골 종양 진단 하에 늑골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조직 검사상 늑골에 발생한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으로 최종 진단되었고 현재까지 재발이나 별다른 증상 없이 외래 추적 중으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성인 늑골에 발생한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 - 2예 보고 - (Adult Onset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the Rib - Report of 2 cases -)

  • 김성완;김덕실;배종엽;변경환;김병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539-543
    • /
    • 2003
  •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은 과거에 조직구증 X로 불려진 질환으로서, 국소적 혹은 전신증상을 나타내며 비특이적인 조직구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군을 일컫는 말이다. 이 질환의 원인과 병리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호산구성 육아종, Hand-Shuller-Christian병, Letterer-Siwe병으로 대별되는 세 가지 질환 군에서 기본적인 병리학적 소견은 동일하다. 주로 어린 나이에 발생하나 어른에서도 발생한다. 저자들은 성인에서 늑골에 발생한 호산구성 육아종을 2예 치험하였다. 한 예는 요붕증을 동반하였고 다른 한 예는 늑골에만 발생한 경우였다.

흉벽에 발생한 혈관종증 -1례 보고- (A case of Angiomatosis on the Chest Wall -1 Case Report-)

  • 권오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1호
    • /
    • pp.973-976
    • /
    • 1994
  • Angiomatosis [ or Diffuse Hemangima] is a rare condition in which large segments of the body are involved by proliferating vessels. By now, some authers say that this lesion begins during early intrauterine life when the limb buds form, grow proportionately with the fetus, and consequently affect large areas of the trunk or extremity. The majority of angiomatoses present during childhood or infancy as swelling, induration, or discoloration of the affected area. The patient was 13 year old male and had no specific signs and symptoms except palpable mass on the left lateral chest wall from childhood and a painful tender mass on the posterior chest wall for 5 days before admission. The chest PA showed no abnormalities.The operation was done with the resection of left 10th rib and 9th and 10th intercostal muscles including masses and the ligation of the both intercostal and feeding vessels of the masses. The pathologic result was angiomatosis involving intercostal muscles and rib.

  • PDF

늑골에 발생한 고립성 형질세포종 - 1예 보고 -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Rib - A case report -)

  • 이영옥;류경민;조석기;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68-271
    • /
    • 2009
  • 고립성 골형질세포종은 형질세포종양의 $3{\sim}5%$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며 특히, 늑골에 발생한 고립성 골형질세포종에 관해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54세 남자 한자가 검진 시 시행한 단순가슴 사진에서 폐종양으로 의심되는 병변이 있어 타병원에서 전원되었다. 전산화 단층 촬영 및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결과 좌측 6번째 늑골의 종양으로 진단되어 수술적 절제를 하였다. 병리 검사 결과 골형질세포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술 후 선별검사에서 다발성 골수종의 증거는 없었다. 술 후 방사선 치료는 하지 않았으며 2년째 추적 관찰 중이나 새로운 병변은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