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eger syndrom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증례 보고 : Rieger syndrome (RIEGER SYNDROME : A CASE REPORT)

  • 이홍모;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67-672
    • /
    • 2003
  • Rieger syndrome은 눈의 전안방 기형과 치아결손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한 유전질환으로 두개안면 이상과 체성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Rieger syndrome은 상염색체 우성유전(autosomal dominant inheritance)되며, 발생빈도는 약 200,000분의 1이고, Paired-like homeodomain transcription factor2(PITX2)의 변이가 이 질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Rieger syndrome으로 진단 받은 4세 7개월 된 여아에 대한 것으로, 양안에 다동공증과 후태생환을 보이고, 측모두부계측에서 상악골 열성장이 나타났으며, 상악유측절치와 더불어 다수의 영구치 결손이 방사선 상에서 관찰되었다. 이 증례를 통하여 Rieger syndrome 환아의 구강 및 두개안면의 소견을 관찰하고,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xenfeld-Rieger 증후군의 치과적 소견 (ORAL MANIFESTATIONS OF THE AXENFELD-RIEGER SYNDROME)

  • 강태성;최병재;김성오;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0-514
    • /
    • 2003
  • Axenfeld-Rieger 증후군은 치과 및 안과적 이상을 동반하는 희귀한 상염색체 우성 유전성 질환이다. 주요한 안과적 증상은 부분적 혹은 완전한 양측성 홍채선조(iris stroma)의 형성 부전증, 안구 주변부의 홍채유착과 관련된 이상 및 쉬발베 소체(Schwalbe's corpuscles)의 전방 변위 등이 있다. 치과적으로는 부분적 무치증, 왜소치, 정형치(peg-shaped teeth) 및 지연맹출 등이 나타나며 안모상 가성 하악 전돌증이 보일 수 있다. 기타 전신적인 증상으로 심장 형성이상(cardiac malformation), 합지증(syndactylism), 제탈장(umbilical hernia), 귀의 이상, 정신지체, 뇌성 마비, 구개열, 제대피부이상(umbilical skin abnormality)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소아치과 의사가 조기에 발견할 경우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나타나는 녹내장(glaucoma)에 의한 시력 상실을 조기에 방지 할 수 있다.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Axenfeld-Rieger 증후군 환아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xenfeld-Rieger 증후군과 연관된 치과적 이상 (Dental anomalies associated with Axenfeld-Rieger syndrome)

  • 김기림;이두영;김승혜;이상휘;최병재;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4-98
    • /
    • 2010
  • 저자는 Axenfeld-Rieger 증후군을 가지는 5세 8개월 연환에 대한 구강 및 두개 안면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본 증례의 환아는 Axenfeld-Rieger 증후군의 전형적인 안과적, 구강적, 전신적 특징인 녹내장, 동공이상, 제탈장, 지연된 골령, 다수 치아 및 치배 결손, 상악 저성장 등을 보였다. 2. 이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과 적절한 시기의 치료개입이 중요하다. 3. 치과의사에 의한 조기진단이 녹내장 등에 의한 시력상실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 PDF

Rieger증후군의 증례 (Case Reports of Rieger's Syndrome)

  • 기우천;곽준봉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5권8호통권219호
    • /
    • pp.783-788
    • /
    • 1987
  • The authors observed the two cases of Rieger's syndrome in 21-year-old male and 13-year-old female with a chief complaint of Partial anodontia of permanent teeth on both jaws. We had done the laboratory and ophthalmic examinations and had taken radiographs. Final diagnosis was established as Rieger's syndrome.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There was no peculiar hereditary tendency in them. 2. The patients had no disturbance of general physical activity and mentality. 3. The male patient had pseudoprogenathism, concave profile, congenital missing on upper anterior and second premolar teeth, and conical shaped crown of upper len celral incisor. The female patient had also pseudoprognathism, concave profile, thickened upper labial frenum, decreased upper dental arch width, congenital missing on upper anterior teeth, and delayed eruption of second premolars. 4. The ophthalmic symptoms that were ins abnormalities, decreased visual acuity, and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were present. 5. The abnormalities except dental and ophthalmic abnormalities were not round.

  • PDF

Axenfeld-Rieger Syndrome 환자의 증례보고 (AXENFELD-RIEGER SYNDROME WITH DENTAL PROBLEM : A CASE REPORT)

  • 성민경;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3-117
    • /
    • 2012
  • 저자는 ARS를 가진 15세 여자 환아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환아는 Axenfeld-Rieger Syndrome의 안과적 증상인 전안부 형성부전을 나타낸다. 2. 환아의 구강 및 구개악안면 소견으로 다수의 영구치 결손 및 왜소치, 상악 형성 부전, 구치부의 반대교합이 관찰되었다. 3. 환아의 성장에 따른 주기적인 치과적 검진과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ncurrent SHORT syndrome and 3q duplication syndrome

  • Boaz, Alexander M.;Grasso, Salvatore A.;DeRogatis, Michael J.;Beesley, Ellis 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15-18
    • /
    • 2019
  • SHORT syndrome is an extremely rare congenital condition due to a chromosomal mutation of the PIK3R1 gene found at 5q13.1. SHORT is a mnemonic representing six manifestations of the syndrome: (S) short stature, (H) hyperextensibility of joints and/or inguinal hernia, (O) ocular depression, (R) Rieger anomaly, and (T) teething delay. Other key aspects of this syndrome not found in the mnemonic include lipodystrophy, triangular face with dimpled chin (progeroid facies, commonly referred to as facial gestalt), hearing loss, vision loss, insulin resistance,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 3q duplication syndrome is rare syndrome that occurs due to a gain of function mutation found at 3q25.31-33 that presents with a wide array of manifestations including internal organ defects, genitourinary malformations, hand and foot deformities, and mental disability. We present a case of a 2 year and 3 month old male with SHORT syndrome and concurrent 3q duplication syndrome. The patient presented at birth with many of the common manifestations of SHORT syndrome such as bossing of frontal bone of skull, triangular shaped face, lipodystrophy, micrognathia, sunken eyes, and thin, wrinkled skin (progeroid appearance). Additionally, he presented with findings associated with 3q duplication syndrome such as cleft palate and cryptorchidism. Although there is no specific treatment for these conditions, pediatricians should focus on referring patients to various specialists in order to treat each individual manife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