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plum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SATELLITE-MEASURED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OKACHI RIVER PLUME

  • Lihan, Tukimat;Saitoh, Sei-Ichi;Iida, Takahiro;Matsuoka, Atsushi;Hirawake, Toru;Iida, Kohj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118-121
    • /
    • 2006
  • Variations in the extent and dispersal of river plume are important in the study of coastal environm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satellite detected plume area and river discharge and to clarify the temporal and spatial dynamic of plume from Tokachi River, Hokaido, Japan. We used 1.1 km spatial resolution of SeaWiFS normalized water-leaving radiance (nLw) images from 1998 to 2002. Supervised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was implemented to define classes of surface water optical properties. Satellite observed plume area was correlated to the amount of river discharge from April to October. First mode (44% of variance) of EOF analysis shows the turbid plume distribution resulting from re-suspension by strong wind mixing along the coast during winter. This mode also shows plume distribution along-shelf direction in spring and late summer. Second mode (17% of variance) shows spring pattern across-shelf direction due to strong discharge of snow melting water.

  • PDF

바람영향하의 River plume에 따른 부유물체 확산 및 이동 연구 (The study of moving and dissipation of floating mines due to wind forced river plume)

  • 백성호;박경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5-29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강 하구 지역에 부유물체 유출시 물체의 이동과 확산 패턴을 파악하고자 plume의 생성과 변화, 외력에 대한 변동성을 연구하였다. 외력이 없는 경우 강수는 bulge와 alongshore current를 형성하며 연안을 따라 이동한다. Downwelling wind와 downcoast meanflow의 경우는 steady state와 동일한 패턴을 형성하나 수송은 강해져 연안을 따라 흐르는 물체의 이동과 확산속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Upwelling wind가 부는 경우 Ekman transport에 의해 bulge가 연안으로부터 떨어져 45도 각도로 북서쪽으로 이동하는데 그 이동경로는 linear하며 바람의 세기로부터 독립적이다. 그리고 Bulge의 이동속도는 바람응력의 세기와 정비례한다. 따라서, 이 경우 부유물체의 upcoast로의 이동과 외해로의 확산이 예상된다.

  • PDF

홍수기 낙동강 하천플륨의 3차원 거동해석 (Three-Dimensional Behavior of Nakdong River Plume during the Flood Period in Summer)

  • 이종섭;윤은찬;백승우;이재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49-561
    • /
    • 2003
  • Behavior of the Nakdong River plume was studied by the analysis of the observed CTD data and numerical simulations using three-dimensional Princeton Ocean model (POM) in which the river discharge, tides and winds were considered. During the flood season of summer the 30 psu isohaline expands northward to Daebyeon and southwestward to Samcheonpo. The model results show that the isohalines ar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bottom slope,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pwelling induced by the topographic effects. Northwesterly wind expands the river plume to the offshore direction so that the inflow of fresh plume water into Jinhae Bay through the Gaduk Channel is constrained, then the coastal upwelling seems to be caused by the wind-driven current at the southern edge of Gaduk Island. Southwesterly wind expands the river plume toward Daebyeon, and the inflow of fresh water into Jinhae Bay is also constrained.

낙동강하구에서의 하천수 플룸의 횡방향퍼짐과 부유퇴적물의 수송 (Lateral Spreading of a River Plume an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Nakdong Estuary)

  • Yu, Hong-Sun;Lee, Jun;Kang, Hyo-Jin;Kang, Sin-Young;Park, Kyung-Sik;Kim, Jae-Soo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96-301
    • /
    • 1993
  • 하수젯트플룸과 주변염수와의 밀도차가 Gauss 분포를 한다는 가정하에 저자들이 구한 플룸의 횡방향 퍼짐에 대한 이론해를 낙동강 하수플룸의 관측자료로 검증하였다. 또한 플룸의 존재가 세립 부유퇴적물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도 검토되었다. 현장 관측자료는 이론적인 계산결과와 비교적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채택하여 검증한 플룸의 횡방향 유동에 대한 이론해가 플룸의 횡방향 퍼짐문제를 다루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플룸의 존재로 인한 밀도 성충으로 인하여 부유퇴적물은 침전이 지연되고 통상적 정상류의 경우보다 더욱 밀리 운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하계 금강 Plume의 구조와 변동 (Structure and Variation of the Keum River Plume in Summer)

  • 이상호;최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5-137
    • /
    • 1995
  • 금강하구 외해에서 1991년과 1992년 8월에 관측된 CTD, 광투과도 및 조류자료를 분석하여 담수 plume의 수평이동과 조류에 따른 수직구조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집중 호우로 발단된 초기 plume은 하구 서쪽 고군산군도와 연도사이 해역에서 표층에 저염 의 렌즈구조를 이룬다. 북동-남서 방향으로 왕복하는 조류에 의해 plume의 축이 이동 되며 축의 이동거리는 약 7km에 달한다. 낙조시의 plume은 전선이 형성되며 전선역에 서의 plume 두께는 6m까지로 깊어지고 비대칭적 구조를 보인다. 염분전선이 창조류에 의해 북쪽으로 이동되어 하구 북쪽의 해수가 전층에 걸쳐 남쪽보다 고온, 저염화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20일 이상 장기간에 걸쳐 다량의 담수가 유출되었을 때는 plume 이 십이동파도까지 렌즈 구조를 유지하며 확장하고 북쪽으로 편향된다.

  • PDF

금강 풀룸의 구조와 분포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Numerical Model Study for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the Keum River Plume)

  • 신은주;이상호;최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57-170
    • /
    • 2002
  • 연속적으로 방출되는 금강 담수에 의해 형성되는 풀룸(plume)의 구조와 분포를 시험하기 위해 전향력과 조석의 유무에 따른 3차원 수치모델 실험을 하였다. 조석없이 전향력이 포함된 경우 모델풀룸은 발달단계에서 남수로 북쪽에 시계방향 순환을 형성한다. 풀룸 확장이 진행되면 순환중심이 남서쪽으로 이동하며 남수로 입구에서부터 남서쪽으로 저염수의 유출 축 방향이 편향된다 이러한 결과는 외해의 강한 염분전선 때문에 하구입구 전방에서 누적되는 저염수에 의해 유지되는 해면경사에 의한 순압적 지형류 균형으로 설명된다. M$_2$분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모델풀룸이 북서쪽으로 멀리 확장하여 큰 혀모양의 염분분포를 이룬다. 외해역 풀룸의 조석주기 평균된 표층흐름은 주로 지형류 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풀룸분포의 변화는 하구입구 외측에서 저염수를 북쪽으로 공급하는 조류이동에 의한 저염수 이류와 풀룸을 따라 평균해면을 높이고 북쪽 천해연안역 표층염분을 증가시키는 활발한 조류혼합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 관측된 금강 풀룸의 주된 형태(Lee et at., 1999;최 등, 1999)는 하구 입구역에서부터 풀룸 축이 북서쪽으로 편향되고 북쪽으로 풀룸 두께가 깊어지는데 이러한 특징은 조석이 포함된 모델에서 잘 재현되었다.

하천수 플룸 횡방향 퍼짐의 해석해 (A Hydrodynamic Solution for the Lateral Spreading of a River Plume)

  • Yu, Hong-Sun;Lee, Ju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02-306
    • /
    • 1993
  • 하수제트플룸내에서 플룸과 주변해수와의 밀도차가 Gauss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는 가정하에 하구만에 흘러 나오는 하수 플룸의 횡방향 퍼짐속도의 해석해를 구하였다. 이 가정을 도입하므로써 얻는 이점은 첫째, 혼합과정의 결과가 밀도분포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혼합과정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고, 둘째로는 밀도분포가 알려져 있으므로 그로부터 압력경사력을 구하여 운동방정식에 대입, 문제를 쉽게 풀 수 있다는 점이다. 이론해를 낙동강 하수플룸의 관측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비교적 잘 일치함을 발견하였고 본 연구의 이론식이 하수플룸의 퍼짐을 다루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Numerical Experiment on the Dispersion of the Changjiang River Plume

  • Bang, In-Kweon;Lie, He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4호
    • /
    • pp.185-199
    • /
    • 1999
  • With a realistic geography and topography the Princeton Ocean Model is used to study the effects of topography, wind and time-varying Chanajiang (Yangtze) River discharge on the dispersion of the Chanaiiang River plume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The topographic feature of deepening offshore suppresses the offshore expansion of the discharged low salinity water while spreading along the coast is not hindered. Also the spreading of the Chanajiang River plume is very sensitive to wind conditions and the southerly wind is most responsible for the eastward expansion toward the Cheju Island. It is also shown that the influence of the Chanajiang River Diluted Water on the hydrography and circulation of the Yellow Sea including the South Sea of Korea is substantial even in the absence of tide, wind and current.

  • PDF

낙동강 하구에서 담수 유입에 따른 연안 클로로필-a 증가 : 낙동강의 육상-해양 coupling 패턴 분석 (Enhanced Primary Production in Response to Freshwater Inflow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Characteristics of land-Ocean Coupling (LOC))

  • 김수현;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2호
    • /
    • pp.96-109
    • /
    • 2021
  • 담수를 통해 유입되는 육상 기원 물질은 연안 일차 생산을 제어하는 주요 요소이므로 육상-해양 coupling을 파악하는 것은 연안 생태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육상-해양 coupling 양상을 시간에 따라 세 단계(Base flow, Plume event, Residual flow)로 구분하여 개념화하였고, 낙동강 하구에서 각 양상의 출현을 확인하기위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측정된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원격 탐사 측정 자료(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 GOCI), 현장 실측 자료(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MEIS), 연속 측정 자료(유량 자료, 기상 자료)로 구분될 수 있다. 주성분분석을 통해 MEIS 자료를 육상-해양 coupling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고, 이 구분을 2013-2018년 동안의 여타 자료에 적용하여 단기간 육상-해양 coupling 양상을 살펴보았다. 낙동강 하구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Plume event때 Chlorophyll-a (Chl-a) 최대값이 나타났다. 이는 담수 증가에도 탁도 증가는 크지 않았고, 플러싱 효과도 약해 식물플랑크톤이 증가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육상-해양 coupling을 기반으로 여러 하구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육상-해양 coupling은 담수 유입에 영향을 받는 하구에서 흔한 현상이나 하구에서 형성되는 플룸 크기에 따라 육상-해양 coupling이 다르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처럼 작은 플룸(~10 km 규모) 이 형성되는 하구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인해 Plume event 단계에 Chl-a 최댓값이 나타나는 반면, ~100 km 이상의 큰 플룸이 형성되는 하구(담수 배출이 크고, 플러싱이 강한 곳)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념화한 육상-해양 coupling 양상(Residual flow 때 Chl-a 최대)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강댐방류에 따른 부유쓰레기의 거동 및 담수확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and Fresh Water Diffusion According to Discharge of Namgang Dam)

  • 김연중;윤종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46
    • /
    • 2009
  • Typhoon Rusa in 2002 was recorded as causing the biggest damage due to flood in our country. With the enormous damage to the land, the flood was totally discharged to the open sea. As a result, in the coastal area, the discharging of a river had a big influence in comparison to the scale of the coastal area, which suffered damaged due to the discharging of the river. As it cleared the land, the load was totally discharging into the sea, where it caused various problems due to its influence on the ecosystem. These included changes to the environment, like a difference in salinity and the inflow of a land load. Therefore, in this study, a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 flow model capable of solving the behavior of a river plume, supposing Sachon Bay. It is performed the research able to tendency-like valuation and reappearance about real event. The result was that the model was well approximated the sea area tendency and the river plume of the specific e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