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ssula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V) (Taxonomic Investigations on Korean Higher Fungi(IV))

  • 김병각;김두하;최응칠;심미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5
    • /
    • 1976
  • 1976년 7월${\sim}$9월에 경기도(京畿道) 및 서울지방(地方)에서 채집(採集)한 고등(高等) 균류중(菌類中) 다음 9종(種), Amanita griseofarinosa, Pholiota spectabilis, Pholiota vermiflua, Boletus erythroporus, Russula alutacea, Russula chameleontina, Russula xerampelina and Polyporus sulphureus 및 Mycena haematopoda는 한국(韓國) 미기록종(未記綠種)임을 보고(報告)한다.

  • PDF

한국산(韓國産) 무당버섯속(屬)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Russula of Korea)

  • 복진덕;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7-246
    • /
    • 1986
  • Mushrooms were collected from those grown at Mt. Gyeryong, Mt. Chilgab, Mt. Ducyu, Mt. Chiri, Mt. Songri and at the regions of Chungnam Province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83 to October, 1984. They were classified into 30 species, two varieties and one form of Russula. These species were grouped into eleven sections. Of the classified species, Russula subnigricans Hongo, R. albonigra (Kromb.) Fries, R. cyanoxantha (Kromb.) Fries, R. cyanoxantha var. peltereaui Singer and R. compacta Prost et Pk were newly recorded in Korea.

  • PDF

Phylogeographic Messages Encoded in the rDNA of the Commercial Mushroom Zhenghonggu@ From Fujian, China

  • Chen, Yu H.;Chen, Peng D.;Chen, Liu Y.;Ma, Li Z.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5-45
    • /
    • 2014
  • Individualities of precious health mushroom called Zhenghonggu@ from respective protections scattered among all main mountains of Fujian China were collected and recognized locally, then compared with Russula griseocarnosa. Their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ITS1, ITS2 and 5.8S rDNA) of the nuclear rDNA were amplified, AMOVA analyzed, nested clade analyz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ITS sequences of relative Russula species from other regions of China to confirm the taxonomic status of Zhenghonggu$^@$ and its population structure. Total 23 haplotypes from different protections of Fujian can be clustered into three clades similar to the three lineages of Dahongjun$^@$ from southeastern China reported by Li et al. The geographic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se three phylogeny clades may be closely coupled with the vegetation regionalization and/or the differences of coenosium construction of Fagaceae that is the host of Russula griseocarnosa. The correlation of taxonomy, phylogen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Russula are discussed.

  • PDF

한국산 고등 균류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

  • 이규선
    • 약학회지
    • /
    • 제23권3_4호
    • /
    • pp.153-158
    • /
    • 1979
  • Free amino acids in extracts and total amino acids in hydrolysates of eight species of higher fungi were analyzed by an amino acid autoanalyzer. Twenty amino acids were analyzed in eight species of higher fungi. 1) of all free amino acids contained in higher fungi, alanine is the richest, and then comes glutamic acid, serine, arginine, proline and histidine in that order. Of all total amino acids contained in higher fungi, glutamic acid is the richest, and then comes proline, valine, aspartic acid, alanine, leucine in that order. Especially Russula fragilis and Lepiota procera contain large quantity of glutamic acid. 2) Gross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in the extracts is high in order of Lepiota procera, Phylloporus rhodoxanthus, Russula fragilis, Tylopilus felleus and total amino acids in hydrolysates is high in Phylloporus rhodoxanthus, Lepiota procera, Russula fragilis, Lentinus lepideus. 3) Total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in the extracts was high in Lepiota procera, Phylloporus rhodoxanthus, Tylopilus felleus, Xylaria hypoxylon, Lentinus lepideus, Russula fragilis, Lactarius piperatus and Calocybe gambosa and in the hydrolysates of Phylloparus rhodoxanthus, Russula fragilis, Lepiota procera, Tylopilus felleus, Lentinus lepideus, Lactarius piperatus, Calocybe gambosa and Xylaria hypoxylon in that order, respectively.

  • PDF

Delimitation of Russula Subgenus Amoenula in Korea Using Three Molecular Markers

  • Park, Myung Soo;Fong, Jonathan J.;Lee, Hyun;Oh, Seung-Yoon;Jung, Paul Eunil;Min, Young Ju;Seok, Soon Ja;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191-201
    • /
    • 2013
  • Distinguishing individual Russula species has been difficult due to extensive phenotypic plasticity and obscur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discontinuities. Due to highly similar macroscopic features, such as the presence of a red-cap, species identification within the Russula subgenus Amoenula is particularly difficult. Three species of the subgenus Amoneula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e used a combination of morphology and three molecular markers,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28S nuclear ribosomal large subunit (LSU), and RNA polymerase II gene (RPB2), for identification and study of the genetic diversity of Russula subgenus Amoenula in Korea. We identified only two species in Korea (R. mariae and R. violeipes); these two species were indistinguishable according to morphology and LSU, but were found to be reciprocally monophyletic species using ITS and RPB2. The markers, ITS, LSU, and RPB2, have been tested in the past for use as DNA barcoding markers, and findings of our study suggest that ITS and RPB2 had the best performance for the Russula subgenus Amoneula.

한국(韓國) 12개(個) 수종(樹種) 임분내(林分內)의 외생균근(外生菌根) 버섯의 기주선택성(寄主選擇性)과 분석(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Host Specificity and Distribution of Putative Ectomycorrhizal Fungi in Pure Stands of Twelve Tree Species in Korea)

  • 이경준;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8-69
    • /
    • 1987
  • 외생균근(外生菌根)버섯의 기주범위(寄主範圍)와 기주선택성(寄主選擇注)을 구명(究明)하고 주요(主要) 조림수종(造林樹種)의 균근균(菌根菌) 선택성(選擇性)을 상호비교(相互比較)하기 위하여 1981년(年)부터 1986년(年)까지 전국(全國)의 여러 곳에서 12개수종(個樹種)의 순림(純林)(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종비나무, 일본잎갈나무, 젓나무, 현사시, 밤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자작나무)를 대상(對象)으로 균근(菌根)버섯을 채집(採集)하여 분석(分析)을 비교(比較)하였다. 6년(年)동안 총(總) 48리(履) 196종(種) 8 품종(品種)의 균근(菌根) 버섯을 동정(同定)하였으며 그 중 Russla가 31종(種) 1 품종(品種), Amanita가 22종(種) 5 품종(品種), Lactarius가 18종(種) 1 품종(品種)이었다. 기주범위(寄主範圍)가 넓은 종(種)은 Russula, Amanita, Lactarius, Laccaria, Cantharellus 속(屬)에 속(屬)해 있있다. Laccaria Laccata는 12개조사수종중(個調査樹種中)에서 12개수종전분의 임분(林分)에서, Amanita vaginata group은 11개수종(個樹種)에서, Labtarius gerardii와 Russula sororia는 9 개수종(個樹種)에 서, Amanita agglutinata, Cantharellus cibarius, Russula bella, Russula bella, Russula virescens는 8개수종(個樹種)의 침개엽수임분(針開葉樹林分)에서 채집(採集)되어 기주(寄主)의 범위(範圍)가 넓은 버섯으로 분류(分類)되었다. Amanita citrina, Boletus bicolor, Boletus erythropus, Lactarius piperatus, L. subzonarius, Russula pseudodelica는 침개활수(針葉闊樹)의 $4{\sim}5$개수종(個樹種)에서 채집(採集)되어 기주(寄主)의 범위(範圍)가 중간(中間)정도(程度)인 버섯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특히 Suillus grevillei는 잎갈나무에서서만 채집(採集)되어 기주(寄主)의 범위(範圍)가 가장 좁은 버섯으로 판명(判明)되었다. 12개수종(個樹種)의 임분중(林分中)에서 균근(菌根)버섯의 종류(種類)가 가장 많은 젓나무림(林)으로써 83종(重)의 균근(菌根)버섯을 채집(採集)했으며, 소나무(赤松)림(林)에서 66종(重)을, 리기다소나무림(林)에서 50종(種)을, 잣나무림(林)에서 49종(重)을, 갈참나무림(林)에서 46종(種)을 채집(採集)했다. 일본잎갈나무림(林)에서는 23종(種)의 균근(菌根)버섯을 채집(採集)했는데 다른 임분(林分)과 달리 Amanita, Lactarius, Russula 는 적고 대신 Laccaria 가 많이 관찰(觀察)되었다. 본(本) 실험(實驗)에서 조사(調査)된 12개수종(個樹種)의 대부분(大部分)은 다양(多樣)한 균근(菌根)버섯과 공생(共生)하는 듯하며 균선택성(菌選擇性)이 적은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ycorrhizae of Cymbidium kanran (Orchidaceae) on Jeju Island, Korea

  • Hong, Ji Won;Suh, Hyoungmin;Kim, Oh Hong;Lee, Nam Sook
    • Myc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475-480
    • /
    • 2015
  • A fung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was used to identify the mycorrhizae of Cymbidium kanran. The family Russulaceae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group in both root and soil samples. In phylogenetic analyses, the majority of the Russulaceae clones were clustered with Russula brevipes and R. cyanoxantha. Therefore, C. kanran may form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the genus Russula.

한국산 미기록종 Russula eburneoareolata Hongo (상아무당버섯)의 보고 (Note on the New Record of Russula eburneoareolata Hongo in Korea)

  • 신광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7-198
    • /
    • 2010
  • 2006년 7월25일 국립공원 계룡산 상신리 지역의 활엽수림에서 채집한 무당버섯인 R. eburneoareolata Hongo의 형태학적 특징 및 생태학적 특성을 기초로 하여 상아무당버섯으로 명명하였다. 본 종의 자실체는 중형이며, 갓은 4-9 cm의 크기이며 성숙하면 표면이 갈라져 상아색 돌기 모양이 나타난다. 주름살은 조밀하며 짙은 크림색이며 자루는 길이가 3-6 cm, 두께가 12-20mm 정도이다. 포자는 타원형이며 표면에 사마귀모양의 돌기가 가는 띠로 연결되어 분포한다. 크기는 $7-8{\times}6-7\;{\mu}m$이다. 담자기는 크기가 $35-40{\times}10-11\;{\mu}m$ 정도이며 4개의 담자포자가 달린다. 낭상체는 반원통형 또는 방망이 모양으로 끝부분이 약간 뾰족하다.

한국(韓國)에서 수집(蒐集)된 무당버섯 속(屬)에 대한 검토(檢討) (Revison of the Genus Russula collected in Korea)

  • 김양섭;박용환;김영배
    • 한국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
    • /
    • 1977
  • 한국(韓國)에 자생(自生)하는 야생(野生)버섯의 분포상(分布狀)을 조사(調査)하기 위해, 수원(水原), 광릉(光陵), 대관령(大關嶺), 지리산(智異山) 및 한라산(漢拏山)에서 무당 버섯속(屬)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한국미기록종(韓國未記錄種) 3종(種)이 분류(分類)되었으며 기록종(記錄種) 29종(種)을 포함(包含)하여 32종(種)을 4아속(亞屬)에 배치기재(配置記載)하였다. 또한 한국(韓國) 미기록(未記錄) 3종(種)과 4아속(亞屬)에 대(對)하여 우리나라 이름을 명명(命名)하였다.

  • PDF

소나무목(林)과 포플러목(林)에 공생(共生)하는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동정(同定) 및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in Pine and Poplar Stands)

  • 이경준;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3
    • /
    • 1983
  • 수원근처(水原近處)에 있는 리기테다소나무림(林) 포플러(은사시나무)림(林)의 임상(林床)으로부터 1981년(年) 6월말(月末)부터 11월초(月初)까지 그리고 1982년(年) 7월초(月初)부터 9월말(月末)까지 외생균근(外生菌根)을 형성(形成)하는 버섯을 채취(採取)하여 그 분포(分布)를 구명(究明)하고 두 임분(林分)의 균종(菌種)의 상이점(相異點)을 비교(比較)하였다. 소나무림(林)에서는 15속(屬) 39종(種)을 구명(究明)하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포플러림(林)에서는 8속(屬) 16종(種)을 분류(分類)하였으며, 이 중 13종(種)은 소나무림(林)에서도 채취(採取)된 동일균종(同一菌腫)이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Boletus는 두 임분(林分)에서 한 균근(菌種)(붉은 그물버섯)만이 확인(確認)되었다. Lactarius는 포플러림(林)에서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1982년도(年度) 채집중(採集中) 한국말기록종(韓國未記錄種)인 Cantharellus lutescens를 소나무림(林)에서 채취(採取)하여 확인(確認)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