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 Korean Journal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SCI에 등재된 한국 학술지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ition Methodology of Korean SCI Journals)

  • 이춘실;이남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1-28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SCI와 같은 국제적인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학술지 중에서 한 나라의 학술지를 찾아내고 구분하는 기준이 어떤 것들이 있으며, 또 이러한 기준이 그 나라의 학술지를 모두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하는 것이다. 학술지 발행국, 학술지 편집 및 발행 주체 학술지명에 한국과 관련한 고유한 단어 포함여부, 한국 주소 논문이 많은 학술지 등 4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SCI와 JCR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학술지 웹사이트 등 관련 자료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2006년도 SCI 등재 한국 학술지는 모두 40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SCI에서 학술지 발행국을 한국으로 처리한 것은 38종, 외국출판사에서 발행하나학술지 편집주체가 한국의 학회인 학술지는 2종, JCR 2006에서 검색 가능한 것은 36종, 한국 관련 고유명사가 학술지명에 나타나는 학술지는 11종이고, 한국 주소 논문이 많은 SCI 학술지 20위 안에는 9종이 그리고 500위 안에는 36종이 포함되었다.

한국 의학학술지의 SCI영향력지표 계량측정 연구 : 1991년-1999년 (A Scientometric Study SCI Impact Factors of Major Korean Medical Jernals: 1991-1999)

  • 이춘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5-104
    • /
    • 2001
  • A Scientometric Study SCI Impact Factors of Major Korean Medical Jernals: 1991-1999 본 연구에서는 SCI학술지가 아니라서 Journal Citation Reports(JCR)를 통하여 영향력지표 값을 쉽기 알 수 없는 학술지들의 영향력지표값을 JCR 방식으로 산출함으로서, 한국 의학 학술지들의 구체적인 학술지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국제적인 위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였다. 1969년부터 1998년까지 10년간 의학분야의 국내학술지 8종에 발표된 7,779편의 논문을 대상 으로 SCI검색을 하여 연도별로 인용빈도를 측정하고 1991년부터 1999년까지의 학술지 영향 력지표를 JCR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량하여 분서하였다. 한글학술지 4종의 경우에는 국내학 자들이 SCI논문을 많이 발표하는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임에도 불구하고, SCI 인용을 거 의 찾아볼 수 없었다. 영문학술지 4종에 대한 SCI 인용빈도는 1994년경부터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1997,8년경부터는 인용주기가 짧아져서 최근 2,3년간 발표된 논문에 대한 인용 이 급증하고 있고, 따라서 영향력지표값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한국 의학 학술지들의 10년치 영향력지표값 평균은 0.002에서 0.126까지 분포하였으며, YMJ의 1999년 도 영항력 지표값이 0.331로 가장 높았다. 한글학술지들의 영향력지표값을 같은 분야의 SCI 학술지들과 비교하여 보면, 모두 SCI 등재학술지의 최하위 영향력지표겂보다 낮았고, 영문 학술지는 대개 최하위권이어서 한국학술지의 국제적 위상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국 의학학술지 3종은 1990년대 후반 영향력지표값이 0.2 정도가 되었을 때 SCI에 등재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영문학술지들이다. 영문으로 발행되는 현재 MEDLINE 학술지인 KJP는 1999년의 영향력지표값이 0.198로서 SCI등재 가능성이 있는 학술지로 판단된다.

  • PDF

한국한의학 관련학회지의 SCI등재를 위한 준비과정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f SCI Journal Selection Process for the Journal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 김현도;강태식;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87-9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Science Citation Index(SCI). SCI has been the benchmarking medium of scientific journals for over 40 years by reviewing thousands of journals published each year. The discipline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has been gaining global interest in recent years, yet the number of related journals indexed by SCI has been minimal. Korean Medicine has been producing number of quality journals for decades, but lack of journals in the English language and other problems has hindered consideration for registering with SCI.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journal selection process at ISI and recommend the criteria needed for a journal to be considered for SCI selection.

국내 의과대학 교수들의 Science Citation Index (SCI) 이용 실태 및 SCI 학술지에 대한 인지도(認知度)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cience Citation Index (SCI) and Awareness of SCI Source Journals by Faculty Members at Korean Medical Colleges)

  • 이춘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9-52
    • /
    • 1997
  • 본 연구는 국내 의학 연구자들의 SCI 이용 실태와 SCI 학술지에 대한 인지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국내 4개의 유수한 의과대학에 재지 중인 교수 902명 중 무작위 추출한 180명 $(20\%)$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여 104명 (회신율$57.8\%$)의 설문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국내 의학자들은 필요한 의학 정보를 찾을 때 SCI는 별로 이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대부분의 국내 의학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어 그 이용이 편리한 MEDLINE을 집중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의 많은 의학자들이 SCI 학술지의 Impact factor list를 Journal Citation Reports (JCR)로. JCR을 색인지인 SCI로 혼동 또는 동일시하고 있었다. 즉 국내에서 SCI에 대한 지식과 용도는 색인의 기능이라기 보다는 Impact factor 정보원의 기능이다. Impact factor에 대한 관심은 SCI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해야 한다는 목적의식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을 뿐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의과대학들은 국내 타 의과대학보다 좋은 연구여건을 갖추었을 터인데도. 소속 교수들이 SCI. SCI 학술지 그리고 Impact factor에 대하여 정보 부족 및 부재 현상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각 분야별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대한 주관적인 인지도는 인용문헌 분석에 의하여 선정된 SCI 학술지의 범위. Impact factor 순위와 상당 부분 일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내 의학 교수들에게 SCI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도록 독려하는 방안이나, SCI 학술지에 논문 게재 여부로 연구 업적을 평가하는 정책은 긍정적으로 검토되어 질 수 있겠다.

  • PDF

CONSORT statement를 기반으로 한 국내 Science Citation Index 저널과 NEJM의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의 abstracts 질적 비교 평가 연구 (The quality of Reports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bstracts from Korean Science Citation Index journal and NEJM;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adherence to the CONSORT Statement)

  • 경은정;김효선;김은영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1-136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and compared the adherence to the CONSORT for quality of reports on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abstracts by four major Korean Science Citation Index (SCI) journals and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 Methods: A descriptive analysis of published RCT abstracts in Korean SCI journals and NEJM from 2007/01 to 2011/06 was conducted by two reviewers, independently extracting data from a PubMed search. A modification of CONSORT for abstract was used including 16 checklist items. Reporting of checklist items for individual group was conducted to compare adherence patterns between two groups. Results: We identified the potential 57 RCT abstracts from Korean SCI and 50 from NEJM meeting our inclusion criteria; among them, three abstracts from Korean SCI and one from NEJM were excluded. Among total 16 checklist items based on CONSORT statement, Korean SCI journals and NEJM were statistically equivalent in 4 items; Korean journals were better in three items and NEJM were in nine. The methodological quality domains were inadequately reported in both journals: allocation concealment about 1.9% and 4.0%, and blinding 44.4% and 40.8%. In general, The CONSORT adherence of NEJM was better than that of Korean SCI in the method and result domain (p < 0.0001). Conclusions: The quality of NEJM reporting of RCT abstracts was better than that of Korean SCI, in general. This study on adherence of RCT reports from Korean SCI journals and NEJM abstracts to the CONSORT statement reveals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especially Korean SCI.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quality of RCT reports and ways to improve reporting quality is required.

JKMS 의 SCI 등재를 위한 필수요건 및 제언 (Essential Factors and Suggestions for Making the JKMS an SCI Journal)

  • 박선기
    • 대기
    • /
    • 제16권4호
    • /
    • pp.387-393
    • /
    • 2006
  • In this study, journal selection processes of the Science Citation Index (SCI) and the SCOPUS are investigated aiming at mak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JKMS) an SCI journal. In addition,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CI journals in the field of atmospheric sciences published in Asian countries are examined. Some domestic journals in the related disciplines that are recently listed in the SCI and SCOPUS are also analyzed in terms of strategic approaches.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fundamental strategic information in pursuing the JKMS to be listed in the SCI in the near future.

한국 의학학술지 인용지표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Citation Indicators of Korean Medical Journals)

  • 이춘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4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한국 의학학술지에 의한 한국 의학학술지의 인용도 분석을 광범위한 규모로 시도하고 각종 학술지 인용지표를 개발한$\ulcorner$KoMCI 2000: 한국의학학술지 인용정보$\lrcorner$보고서에 수록된 다양한 데이터와 인용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국내 의학학술지의 인용수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인용지표들의 한계를 노출함으로써 인용데이터를 합리적으로 그리고 타당성 있게 해석 및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한국의학계의 실정에 좀 더 부합하는 학술지 인용지표 및 학술지 평가지표를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국내 의학학술지의 인용분석이 한국 의학학술지 문헌이 인용하는 문헌의 8.5%밖에 안되는 인용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 의학학술지(KoMCI)의 영향력 지표값은 0.424 이하로 아주 낮게 분포하고 그 평균값은 0.182이다. 한국문헌이 인용하는 전체 참고문헌 중 자체학술지 인용비율은 4.6%이지만, 한국학술지 인용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대부분 50% 이상으로 매우 높다. 이것은 같은 주제분야에 속하는 학술지가 몇종씩 밖에 안 되는 등 다른 한국 의학학술지를 인용할 폭이 매우 좁기 때문이다. 동일한 학술지 (2000년도 SCI 영향력지표값이 SCI JCR에 보고된 한국 의학학술지 2종)의 KoMCI 영향력 지표값이 SCI 영향력지표값의 1/3 정도 수준으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SCI 학술지 5,900종의 1/100(의학학술지로 제한하면 1/30) 정도밖에 안 되는 69종으로부터 받은 인용을 분석하기 때문이다.

  • PDF

Analysis of SCI Journals Cited by Korean Journals in the Computer field

  • Kim, Byungkyu;You, Beom-Jong;Kang, Ji-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79-86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학문인 컴퓨터 분야에서 생산되는 연구성과물에 대한 활용 정보자원의 분석 및 제공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컴퓨터분야 학술지 수록 논문들에서 인용한 국제과학기술인용색인인 SCI 학술지들을 식별하여 피인용 현황과 이들의 동시인용 관계를 네트워크로 생성하여 분석하고 지도화하여 시각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반 데이터로 KSCD의 발행연도 기준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논문 및 참고문헌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학술지 동시인용 기법과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국내 컴퓨터 분야 학술지 논문들이 인용한 SCI 학술지 및 논문들의 피인용 순위와 인용나이 분석을 통한 인용절정기(2년), 인용반감기(6.6년), 즉시인용율(2.4%)이 파악되었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결과 피인용 SCI 학술지들에 대한 연결정도, 사이, 근접중심성 지표가 측정되어 지표별 학술지 순위가 측정되었으며 네트워크의 지도화를 통한 시각화를 통해 피인용 SCI 학술지 간 주제분류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Automatic Subject Classification of Korean Journals

  • Choi, Seon-Heui;Kim, Byung-Kyu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1호
    • /
    • pp.43-46
    • /
    • 2014
  • Subject classification of journals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utilized for the improvement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and analysis by research area. The classification by experts in a subject area wastes a lot of time and expense. On the other hand, the simple classification with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journal title has limitation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suggests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Korean journals using the SCI journals information cited by Korean journals, and an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result. In particular, this study adopted the WoS subject categories for classification to support the base for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citation database and the global citation database (KSCI vs. SCI).

최근 5년간 국내 과학기술자들의 연구활동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omestic research activity in science and technology last five years)

  • 심병규;김기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137-169
    • /
    • 1997
  • The Annual Editions of SCI(Science Citation Index) CD-ROM over the last five years ('92-'96) were studied to investigate: 1) the status of domestic research activity in science & technology,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2) research activity by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Because the selection of journals in SCI is based on the criteria of citation sources, the journals registered in SCI are recognized as the Core Journals in each area of research. Therefore, the analysis result of SCI data is a quite reliable measurement to evaluate the research activit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1996 a total of 6, 227 papers were listed on SCI, ranking the 21st up from the 29th in 1992. Over the last five years, the number had grown rapidly at an average of 29% per annum. This fast growth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