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S CN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CS-CN Using GIS (GIS를 이용한 SCS-CN 산정에 관한 연구)

  • Cho, Hong-Je;O, Jun-Ho;Nam, Byoung-Ho;Jung, Kyoung-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1 s.28
    • /
    • pp.39-44
    • /
    • 2004
  • The SCS-CN method was known to have difficulties to the applied to the mountainous area like Korean river basins. This study focused to develop a distributed SCS-CN method considering river basin slopes from GIS data. For the purpose, the method was applied to Sulma river and compared with area weighted average method and distributed SCS-CN method using GIS. According to the results, SCS-CN method considering river basin slopes provided better effects on the estimating effective rainfall on the other methods. The necessity of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to the other rivers was discussed.

  • PDF

Revised AMC for the Application of SCS Method: 1. Review of SCS Method and Problems in Its Application (SCS 방법 적용을 위한 선행토양함수조건의 재설정: 1. SCS 방법 검토 및 적용상 문제점)

  • Park, Cheong-Hoon;Yoo, Chul-Sang;Kim, Joo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1
    • /
    • pp.955-962
    • /
    • 2005
  • Even though the runoff volume is very sensitive to the 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 (AMC), the general rainfall-runoff analysis in Korea has accepted,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of its applicability, the AMC classification of the Soil Conservation Service (SCS, 1972). In this study, by following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SCS Curve Number (CN),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Jangpyung subbasin of the Pyungchang River Basin were analyzed to estimate the CN and evaluate the AMC classification of currently being used. As results, CN(I), CN(II), and CN(III) were estimated to be 72.1, 79.3, and 76.7, respectively. Among them CN(II)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e other reports but the other two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oretically estima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AMC with CN, rather the frequency of each AMC could be a better indicator for its validity. This study developed the histogram of AMC and compared the frequency of each AMC. hs results we found that the criterion for AMC-III should be increased, Hut that for AMC-I decreased.

Comparison And Investigation on Estimation of SCS-CN in Andong-Dam Basin (SCS-CN 산정방법의 안동댐 유역 적용 및 비교.검증)

  • Lee, Yong-Shin;Lee, Ah-Reum;Park, K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94-1098
    • /
    • 2010
  • 미계측 유역에서의 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평가나 조사는 사실상 전무하여 수자원 설계실무에 이용할 수 있는 절차나 방법은 극히 제한되어있다. 현재 주로 이용하고 있는 홍수량 추정절차는 강우를 근거로 한 확률강우량법, SCS방법, 단위도법이 국내의 표준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수치지도 및 위성영상분석 등과 같은 GIS 자료의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서, 국내에서는 토양의 종류와 피복 형태 그리고 선행강우조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는 유출곡선번호(SCS Runoff Curve Number; CN)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출량 해석 시 이용되는 CN은 토지이용도 및 토양도와 같은 지형학적 인자에 지배받게 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공하는 토지이용도 및 토양도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분류방식이 상이하여 활용 자료에 따라 CN이 달라지므로 유출율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국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최적의 CN값을 산정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된 바있다. 허기술(1987) 등은 우리나라의 정밀토양도에 의한 토양군 분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조홍제(1997, 2001)는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유역의 토지피복상태를 분류하고 식생지수를 고려하여 CN을 추정하였고, 김경탁(1998, 2003, 2004)은 개략토양도와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유출모의 실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정밀토양도를 사용한 CN 추정기법의 사용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종류에 따라 총 9개 Case로 안동댐 유역의 CN을 산정하였다.

  • PDF

A Study on Change of Average SCS-CN Value by the Spatial Resolution (공간해상도에 따른 유역평균 SCS-N값 변화에 관한 연구)

  • Chang Eun-Mi;Jung In-Kyu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0 no.6
    • /
    • pp.361-368
    • /
    • 2004
  • Hydraulic models has a module to calculate SCS-CN values in order to estimate amount of water flow, which can be done with remotely sensed data and GIS data. The choice of the ancillary data tends to determine the range of SCS-CN values. We compare the results of SCS-CN value with satellite data of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and with soil maps of different scale. Mokhyun river basin was chosen,partly because of availbility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data, partly because of rapid changes in land use and land cover since last ten years. The average C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patial resolutions of 2.5 meter and 30 meter,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t result due to spatial resolution of CN resolution but due to both soil maps and to land cover maps.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for more than two kinds of satellite data.

Application of GIS for Runoff Simulation in Ungaged Basin(I): Selection of Soil Map and Landuse Map (미계측 유역의 유출모의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응용(I) :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

  • Kim, Gyeong-Tak;Sim, Myeo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2
    • /
    • pp.163-176
    • /
    • 1999
  • Hydrology-based topographical informations generated by GIS techniques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base map, algorithm of extraction,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SCS CN extracted by GIS technique and to propose the effective strategy for applying GIS to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in ungaged basin. For experimental implementation, GIS spatial data, such as reconnaissance soil map, detailed interpretative soil map, landuse planning map and remotely sensed data(Landsat TM), were collected and generat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effective rainfall in Pyungchang river basin. In applying SCS Runoff Curve Number to the test basin, the hydrological attribute data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respons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GIS spatial data for SCS CN were reviewed. This study shows the applicability of GIS techniques to runoff simulation in ungaged basin by comparing with the measured flood hydrograph.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tained interpretative soil map and remote sensing data are appropriate for calculating of SCS CN.

  • PDF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TM with KOMPSAT-1 EOC and SCS-CN Direct Runoff Estimation (Landsat TM과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및 SCS-CN 직접유출량 산정)

  • Kwon Hyong Jung;Kim Seong Joon;Koh Deuk Koo
    • KCID journal
    • /
    • v.7 no.2
    • /
    • pp.66-7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land cover classification map by using remotely sensed data : Landsat TM and KOMPSAT-1 EOC, and to estimate SCS-CN direct runoff by using point rainfall(Thiessen network) and spatial rainfall(surface interpolation) f

  • PDF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at the Northern Part of Seoul City (서울 북부 지역의 지하수 함양량산정에 관한 연구)

  • 김병우;정상용;강동환;심병완;정상원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275-284
    • /
    • 2002
  • 서울 북부지역에 위치하는 북한산 일대의 지역단위 지하수 함양량 산정에 대하여 물수지 분석법과 SCS-CN방법을 이용하였다. 물수지분석법에는 Coutagne 공식과 Turc 공식을, SCS-CN방법에는 직접유출율과 누가침투율을 계산하여 평균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물수지분석법인 Coutagne 공식과 Turc 공식에서 평균 21.36%가 지하수 함양량으로 산출되었다. SCS-CN 방법에서는 직접유출율과 침투율을 계산하여 산정한 결과 지하수함양량은 30.07%로 추정되었다. 여기서 북한산 일대의 기반암을 경계로 상당량이 기저유출(baseflow)의 형태로 유출되기 때문에, 기저유출량 10.9%을 제외한 19.17%를 순수 지하수함양량으로 결정하였다. 누가침투율을 이용한 지하수함양량은 약22.0%로 산정되었다. 물수지분석법과 SCS-CN 방법들을 이용하여, 북한산 지역의 지하수 함양량을 산출한 결과 평균 약 20.84%로 산정되었다.

  • PDF

Estimating SCS-Curve Numbers of Paddy Fields in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영산강.섬진강 수계의 논 유출곡선지수(SCS-Curve Number)산정)

  • Jung, Jae-Woon;Yoon, Kwang-Sik;Choi, Woo-Jung;Choi, Woo-Young;Choi, Jin-Kyu;Kim, Young-Ju;Lee, So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75-780
    • /
    • 2008
  • 유출곡선지수(SCS-CN)를 사용하는 유역수문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 유출곡선지수가 잘 정의되어야한다. 하지만 논의 경우에는 유출곡선지수가 잘 정의되어 있지않다. 현재까지 연구된 논 CN number로는 경기지역의 조건을 반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수계와 섬진강 수계에 대한 논의 CN값을 추정하기위해 수문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시험지구는 영산강 수계 내에 위치한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화양리 학야지구와 섬진강 수계 내에 위치한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고원리 적성지구로 2004년부터 2007년 영농기(5월$\sim$9월)동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두 시험지구에서 각각 강우량과 유출량을 조사하여 강우-유출 관계식을 유도하여 CN값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CN-I, CN-II, CN-III 값은 학야지구에서 각각 65, 85, 94로 나타났고, 적성지구에서 각각 69, 89, 97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CN-II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stimation Methods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Small Basin (소유역의 지하수함양율 추정기법)

  • 박재성;김경호;전민우;김지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2
    • /
    • pp.76-86
    • /
    • 1999
  •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properly to predict the demand of groundwater and to establish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groundwater in the future. In this paper, A small basin in Chojung area is selected to calculate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the calculation, water balance analysis, SCS-CN (Soil Conservation Service-Curve Number) method. groundwater-level analysis and hydrograph of outflow analysis are applied to this area. Data of precipitation measured by Chungju climatological station for about 10 years are used for water balance analysis and SCS-CN method. For the groundwater-level analysis. variations of groundwater-level measured from the 3 test wells in 1997's are used and stage-discharge rating curves in this area for 3 years are used for the hydrograph of outflow. The recharge rate calculated by water balance is 19%, 12.95% by SCS-CN method. 16.51% by groundwater-level analysis and 10.9% by hydrograph of outflow analysis and the overall average recharge rate is about 14.84%.

  • PDF

Using Detailed Soil Maps(1:5,000) to Estimate SCS Runoff Curve Number in a Small Watershed (SCS-CN 산정을 위한 수치세부정밀토양도의 활용)

  • Hong, Suk-Young;Jung, Kang-Ho;Choi, Chol-Uong;Jang, Min-Won;Kim, Yi-Hyun;Ha,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6-115
    • /
    • 2007
  •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수치토양도는 수문 수자원 분야에서 SCS-CN법을 이용한 유효우량 및 유출곡선 산정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토양조사 국책사업 결과 전산화된 토양도 및 토양검정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토양정보 웹 시스템은 전국의 토양 전자지도와 토양 통계 자료를 주제별로 검색하거나 필지별 토양분석 성적에 따른 토양관리처방서를 조회하는데 사용되는 농업분야 이외의 사용자 그룹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활용 및 유통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수치토양도가 수문학적 토양유형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먼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다음으로는 수문 수자원 분야 활용 측면에서 수치토양도가 제공하는 속성, 축척, 제공형태, 좌표체계, 서비스 방식 등에 대하여 활용정책을 마련하여 이에 따라 자료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앞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될 수치세부정밀토양도와 토양유형을 이용하여 충북 괴산군 소수면의 소유역에 대해 SCS 삼각법에 따른 단위도 작성, 유효우량 산출 및 유출곡선을 작성한 결과 농업과학기술원의 정 등(2006)이 분류한 토양유형을 이용한 결과 정 등(1995)에 따른 토양유형을 이용한 결과에 비해 CN값과 유효우량이 더 높게 나타났고 삼각단위도로부터 유도한 정점의 유출량과 시간별 유량 관측값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