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

검색결과 2,793건 처리시간 0.025초

PWR 사용후핵연료 중 Sm 동위원소 정량을 위한 분리 및 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Samarium and its Isotopes in PWR Spent Nuclear Fuels)

  • 김정석;전영신;최광순;박순달;이창헌;김원호
    • 분석과학
    • /
    • 제14권4호
    • /
    • pp.291-299
    • /
    • 2001
  • 사용후핵연료내 핵분열생성물중 Sm 동위원소 정량을 위한 분리 및 정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차적으로 핵분열생성물 대신 여러 비방사성 금속이온(Cs, Ba, Gd, Eu, Sm 및 Nd)들로 구성된 모의용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Sm은 AG $1{\times}8$ 음이온교환수지관에서 1 M $HNO_3$/90% MeOH 용액으로 세척 후 0.5 M $HNO_3$/80% MeOH 용액으로 용리하였다. 용출액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의 Ba을 제거하기 위하여 0.2 M alpha-hydroxyisobutyric acid 용액(pH 4.5-4.6)으로 전처리한 AG $50W{\times}8$ 양이온교환수지관에서 정제하였으며, 순수한 Sm을 90% 이상 분리, 회수할 수 있었다. 실제 PWR 사용후핵연료에 함유되어 있는 Sm의 분리 및 정제에 적용하여 용출액을 질량분석한 결과 Gd, Eu, Pm, Nd 및 BaO에 의한 동중원소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154}Sm$ 스파이크를 이용한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으로 사용후핵연료 중의 Sm 및 각각의 성분 동위원소($^{147}Sm$, $^{148}Sm$, $^{149}Sm$, $^{150}Sm$, $^{151}Sm$, $^{152}Sm$ and $^{154}Sm$)들을 정량하였다.

  • PDF

국부용융성장법으로 제조된 Sm이 첨가된 YBCO 초전도체의 용융온도 및 성장 속도에 따른 미세구조 (Melt growth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Sm-doped YBCO super-conductor by zone melting method)

  • 김소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8-72
    • /
    • 2004
  • Sm 원소가 첨가된 $(Sm/Y)_{1.8}Ba_{2.4}Cu_{3.4}O_{7-x}$[이하 (Sm/Y)1.8] 고온초전도체를 국부용융성장법을 이용해 대기 중에서 용융성장실험을 하였다. 초기 (Sm/Y)1.8 초전도체 시편은 rubber 몰드를 이용해 냉간정수압성형(CIP) 과정을 거쳐 길이 방향 원통형상으로 제조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Sm/Y)1.8 초전도체는 용융온도 및 성장속도에 따라 광학현미경, TEM그리고 SQUID magnetometer를 이용해 미세구조 및 초전도특성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 (Sm/Y)1.8 초전도체의 최적의 용융온도 및 성장속도는 $1085^{\circ}C$에서 3.5mm/hr로 나타났다. 특히 일방향으로 용융성장된 (Sm/Y)1.8 초전도체의 광학현미경 및 TEM에 의하 미세구조 관측 결과, 초전도상인 (Sm/Y)123 matrix내에 비초전도상인 (Sm/Y)211 inclusions이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관측되었다. 초전도특성을 평가한 결과 용융성장된 (Sm/Y)1.8초전도체는 90K에서 임계온도가 시작되어 77K이상의 온도에서 포화되는 특성을 보였다.

MAGNETISM OF NANOCOMPOSITE CoSm-BASED FILMS

  • Shan, Z.S.;Liu, Y.;Jeong, S.Y.;Zhang, Y.B.;Al-Omari, I.A.;Sellmyer, D.J.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702-709
    • /
    • 1995
  • In this paper we review recent work in our laboratory on nanocomposite CoSm-based films including CoSm with Cr underlayer (CoSm//Cr), exchange-coupled magnetic films consisting of CoSm and FeCo layers (CoSm/FeCo), and CoSm multilayers with nonmagnetic spacing layers of SmO (CoSm/SmO). The emphasis is on detailed investigations of microstructure and magnetic properties for CoSm//Cr films, exchange-spring effects for CoSm/FeCo films, and interlayer effects for (CoSm/ SmO) multilayers.

  • PDF

우식치아와 정상치아의 교합면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mutans의 비교 (THE COMPARISON OF STREPTOCOCCUS MUTANS ISOLATED FROM OCCLUSAL SURFACES OF CARIES AND NON-CARIES TEETH)

  • 박호원;정태성;정진;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9-141
    • /
    • 2001
  • 우식치아의 교합면과 정상치아의 교합면에서 균을 채취한 결과, 우식치아의 교합면에서는 $3.43\times10^5$ CFU, 정상치아의 교합면에서는$3.43\times10^3$ CFU가 MSB 배지상에서 검출되었다. API test를 이용하여 당발효 및 생화학적 성상을 관찰한 결과, 우식치면에서 분리된 세균은 20종 모두 S. mutans였으나, 건강한 치면에서는 2개의 세균만 S. mutans로 동정되었다. 우식치면과 정상치면에서 분리된 균주 S. mutans SM1과 S. mutans SM2는 $\alpha-galactosidase$ 활성을 제외하곤 당발효 및 생화학적 성상이 모두 일치하였다. 증식에 있어서, 두 균주 모두 pH 5.5에서 증식이 가장 활발하였고, 자당의 농도는 SM1은 20%일 때 SM2는 5%일 때 최대 증식을 보였다. SM1은 배지의 $CaCl_2$농도가 16mM, KCl농도가 160mM, $MgCl_2$농도가 6.4mM 이었을 때 증식이 가장 활발하였고, SM2는 $CaCl_2$ 농도가 16mM, KCl 농도가 40mM, $MgCl_2$ 농도가 6.4mM 이었을때 증식이 가장 활발하였다. Sodium bicarbonate 완충액과 Sodium phosphate 완충액의 경우, SM1과 SM2 모두 1mM에서 증식이 활발하였다. Tris 완충액의 경우, SM1은 1mM에서, SM2는 10mM에서 증식이 활발하였다. Potassium phosphate 완충액의 경우, SM2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식이 억제된 반면, SM1은 100mM 까지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식이 활발하였다. SM1과 SM2의 염색체를 추출한 후 Primer gtfB-F961과 gtfC-R5574를 사용하여 gtf 유전자를 PCR 한결과, 4.6kb의 단일 band를 얻었고 이 band를 분리하여 제한효소로 처리한 결과, EcoR I 처치시 S. mutans GS-5, SM1과 SM2모두 약 0.8kb와 3.8kb의 DNA절편을 보여 같은 양상을 나타냈고, Hind III 처치시 GS-5와 SM1은 잘리지 않았고, SM2의 경우 2.4kb, 1.8kb, 400bp의 3조각의 절편으로 나뉘어 SM1과 SM2의 gtf 유전자의 상사성이 관찰되었다. BamH I처치시 SM1과 SM2는 4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어 같은 양상을 보였고, GS톤의 경우는 3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Kpn I, Sma I, Xho I 그리고 Pst I에는 절단되지 않았다.

  • PDF

스퍼터 제조조건에 따르는 SmCo/Cr 박막의 자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Effects of Deposition Conditions on Magnetic Properties of SmCo/Cr)

  • 나태준;고광식;이성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312-320
    • /
    • 1999
  •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제조한 SmCo/Cr 박막의 스퍼터 제조조건에 따르는 자기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Sm 조성이 약 20 at %이고 Cr(50 nm)/SmCo(40 nm, 50W, 20mT)/Cr(150 nm, 100W, 30 mT)인 조건에서 제조한 시편에서 3.2 kOe의 최대 보자력을 얻었다. SmCo/Cr의 보자력은 하지층 표면거칠기와 SmCo의 조성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Cr 하지층의 거칠기는 Ar 분압과 두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이는 SmCo 입자의 고립을 증가시켜 보자력이 증가된다. 본 SmCo 박막 증착시 사용한 RF 투입전력 및 Ar 분압은 SmCo의 조성을 변화시키며 최적의 조성(약 20 at.%Sm)에서 최대 보자력을 보인다. 또한 RF 파워 증가나 Ar 분압 증가에 의해 생긴 Cr 하지층의 표면거칠기, 치밀하지 않은 주상 계면구조등의 결함이 자구벽 이동을 방해하여 보자력 증가에 영향을 끼친다.

  • PDF

A Conceptualization of Social Media Fatigue and Its Dimensions

  • Lee, Dong-Joo;Bang, Youngsok;Kim, Myoung-Soo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35-57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the construct of social media (SM) fatigue.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qualitative approach is employed to understand how SM users currently perceive (or interpret) the goals of SM usage and to conceptualize SM fatigue and its dimensions. We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three SM users and group discussions among eighty SM users. Findings - we draw a definition of SM fatigue from a resource view that excessive SM use might lead to SM fatigue by depleting the internal resources of SM users. Furth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from interviews and group discussions, we find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SM fatigue and identify five dimensions of SM fatigue-fatigue from the social obligation to interact with people, the importance of self-appearance, the quality of information, the quantity of information, and undesirable events-and common sources of fatigue in each dimensi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conceptualization of SM fatigue elaborated in this study could enable scientific exploration of the role of SM fatigue in users' attitudes or behavior formation and change. On a practical front, this study would be valuable to companies by facilitating systematic investigations of their customers' fatigue through the lens of the SM fatigue dimensions.

Sm을 첨가한 SrTiO3 형광체의 발광특성 (Luminescent Properties of SrTiO3 Phosphors doped with Sm)

  • 박창섭;유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019-1023
    • /
    • 2008
  •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SrTiO_3$:Sm red phosphors synthesized by solid state reaction method were studied under 254 nm excitation. Emission bands at 576 nm and 616 nm in heavily $Sm^{3+}$ ion doped $SrTiO_3$:Sm phosphors were observed, which were attributed to $^4G_{5/2}\rightarrow{^6}H_{5/2}$ and $^4G_{5/2}\rightarrow{^6}H_{7/2}$ transition of $Sm^{3+}$, respectively. The $Sm^{3+}$ ion concentration exhibiting the maximum emission intensity in the $SrTiO_3$:Sm was 30 mol%. The luminescence caused by $Sm^{3+}$ in the $SrTiO_3$:Sm phosphors was interpret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Sm^{3+}$ ions.

환원.확산법에 의한 $Sm_{2}Fe_{17}N_{x}$ 계 희토류 영구자석의 제조에 관한 기초연구(제 1보) -$Sm_{2}Fe_{17}$금속간화합물 합금분말의 제조- (A Basic Study on the Production of $Sm_{2}Fe_{17}N_{x}$ System Rare Earth Permanent Magnet by the Reduction and Diffusion(I) - Production of Alloy Powder of $Sm_{2}Fe_{17}$ Intermetallic Compound -)

  • 송창빈;조통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8호
    • /
    • pp.720-725
    • /
    • 1998
  • 환원.확산법에 의해 $Sm_{2}Fe_{17}N_{x}$ 계 희토류 영구자석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선 $Sm_{2}Fe_{17}$ 금속간화합물의 제조를 위하여, 금속 Ca에 의한 $Sm_2O_3$의 환원반응과 Fe분말중에 Sm의 확산반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자는 $1000^{\circ}C$이상의 고온의 경우에 매우 빠르게 완료되지만, 후자의 Fe분말의 중심까지 Sm의 확산반응의 완료(완전한 균질화조건)는 $1100^{\circ}C$에서 3h 정도의 R-D 반응이 필요하며, 이 확산반응이 전체반응에 있어서 율속단계임을 알았다. Sm-Fe 계의 금속간화합물들의 성장은$ 1000^{\circ}C$이하에서는 $SmFe_2$, $SmFe_3$,$Sm_{2}Fe_{17}$금속간화합물의 3개의 상이 관찰되었으나, $1100^{\circ}C$에서는 $Sm_{2}Fe_{17}$ 금속간화합물의 상만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최종시료의 산소 및 Ca량은 각각 0.72wt% 및 0.11wt%이었다.

  • PDF

Magnetic and Magnetostrictive Properties of Amorphous Sm-Fe and Sm-Fe-B Thin Films

  • Choi, Y.S.;Lee, S.R.;Han, S.H.;Kim, H.J.;Lim, S.H.
    • Journal of Magnetics
    • /
    • 제3권2호
    • /
    • pp.55-63
    • /
    • 1998
  • Magnetic and magnetostrictive properties of amorphous Sm-Fe and Sm-Fe-B thin films a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over a wide composition range from 14.1 to 71.7 at.% Sm. The films were fabrica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using a composite target composed of an Fe (or Fe-B) plate and Sm chips. The amount of B added ranges from 0.3 to 0.8 at. %. The microstructure,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mainly consists of an amorphous phase in the intermediate Sm content range from 20 to 45 at.%. Together with an amorphous phase, crystalline phases of Fe and Sm also exist at low and high ends of the Sm content, respectively. Well-developed in-plane anisotropy is formed over the whole compositionrange, except for the low Sm content below 15 at.% and the high Sm content above 55 at %. As the Sm content increases,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decreases linearly and the coercive force tends to increase, with the exception of the low Sm content where very large magnitudes of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and the coercive force are observed due to the existence of the crystalline $\alpha$-Fe phase. The coercive force is affected rather substantially by the B addition, resulting in lower values of the coercive force in the practically important Sm content range of 30 to 40 at.%. Good magnetic softness indicated by well-developed in-plane anisotropy, a square-shaped hysteresis loop and a low magnitude of the coercive force results in good magnetostrictive characteristics in both Sm-Fe-B thin films. The magnetostrictive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at low magnetic fields, are further improved by the addition of B; for example, at a magnetic field of 100 Oe, the magnitude of magnetostriction is -350 ppm in a Sm-Fe thin film and it is -470 ppm in a B containing Sm-Fe thin film.

  • PDF

Electrochemical Behavior of Sm(III) on the Aluminium-Gallium Alloy Electrode in LiCl-KCl Eutectic

  • Ye, Chang-Mei;Jiang, Shi-Lin;Liu, Ya-Lan;Xu, Kai;Yang, Shao-Hua;Chang, Ke-Ke;Ren, Hao;Chai, Zhi-Fang;Shi, Wei-Qun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76
    • /
    • 2021
  • In this study,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of Sm on the binary liquid Al-Ga cathode in the LiCl-KCl molten salt system is investigated. First, the co-reduction process of Sm(III)-Al(III), Sm(III)-Ga(III), and Sm(III)-Ga(III)-Al(III) on the W electrode (inert) were studied using cyclic voltammetry (CV), square-wave voltammetry (SWV) and open circuit potential (OCP) methods, respectively. It was identified that Sm(III) can be co-reduced with Al(III) or Ga(III) to form AlzSmy or GaxSmy intermetallic compounds. Subsequently, the under-potential deposition of Sm(III) at the Al, Ga, and Al-Ga active cathode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ormation of Sm-based intermetallic compounds. The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SEM-EDS) analyses indicated that Ga3Sm and Ga6Sm intermetallic compounds were formed on the Mo grid electrode (inert) during the potentiostatic electrolysis in LiCl-KCl-SmCl3-AlCl3-GaCl3 melt, while only Ga6Sm intermetallic compound was generated on the Al-Ga alloy electrode during the galvanostatic electrolysis in LiCl-KCl-SmCl3 melt. The electro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m and Ga was predominant in the Al-Ga alloy electrode, with Al only acting as an additive to lower the melting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