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Addic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SNS 사용자 중독 형성 매커니즘과 중독 예방 전략 (Understanding the formation mechanism of SNS addiction and its prevention strategy)

  • 김병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4호
    • /
    • pp.27-47
    • /
    • 2019
  •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mechanism of SNS addiction. Based on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we considered relationship maintenance, perceived enjoyment, and self-expression as main desires to induce SNS addiction. The characteristics of SNS users were also considered as major factors affecting SNS addiction. In particular, self-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s were considered to be prevention factors that could reduce SNS addiction, while SNS relational intimacy was considered to be a facilitator that would increase SNS addic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ethod was used to test the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a sample of 224 Facebook users who have used it more than 6 months.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Findings Relationship mainten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sclosure intention and SNS addiction, respectively. Perceived enjoy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disclosure intention, while it was in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NS addiction. However, self-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self-disclosure intention and SNS addiction.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both self-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s had negative effects on SNS addiction. The analysis results found that SNS relational intim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SNS addiction.

Social Network Services Addiction in the Workplace

  • Choi, Youngkeun;Chu, Kyounghee;Choi, Eun-J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1호
    • /
    • pp.249-259
    • /
    • 2019
  • Studies looking at many aspects of SNS addiction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recent years. Most of the SNS addiction research has focused on individual behaviors. There is little academic research about SNS addiction in the workplace. This study, therefore, plan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behaviors related to SNS addiction in the workplace. We investigate whether negative behaviors in the workplace induce SNS addiction, and how SNS addiction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 or social attitudes of employees. We also explore the possible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We use an online survey and collected 285 responses from office workers in South Korea. The results test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 first, that both abusive supervision and workplace bullying have aroused SNS addiction among employees; second, employees' SNS addiction increases both from work-to-family-conflicts and family-to-work-conflicts; and third, SNS addic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place bullying,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abusive supervision, workplace bullying, and work-family conflicts. The study finds that abusive supervision and workplace bullying are important antecedents of SNS addiction, and that SNS addiction affects conflicts in both 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situations. Therefore, companies should be cognizant of potential mediating influences in monitoring employees' SNS usage in order to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s.

대학생의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조규영;김윤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138-115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providing the basic data to develop SN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63 university students in B & K cities from 2 to 19 September, 2013 and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1.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of SNS addiction were average using time daily in weekend(${\beta}=.116$, p=.003), SNS using time per connect(${\beta}=.156$, p=<.001), communication motive(${\beta}=.214$, p<.001), non-loneliness motive(${\beta}=.114$, p=.010), social capital(${\beta}=.127$, p=.001), psychological problems(${\beta}=.381$,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54.2% of the variance in SNS addi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a need to develop the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SNS addiction for health promotion of university students.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조소연;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5-140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주일 이내에 SNS이용 경험이 있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더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네트워크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적합한 SNS이용에 대해 교육과 건강하고 바람직한 SNS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 김종욱;박상철;전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179-185
    • /
    • 2015
  • 모바일 인터넷 기술의 진보와 함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은 일상생활에서 흔한 일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기존 연구들은 인터넷 중독이나 모바일 폰 중독을 활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SNS 사용맥락에서 중독에 관한 연구는 논의가 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인터넷 중독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회화, 즐거움, 고독감과 같은 변수들이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대하였다.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최소자승 추정법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화, 즐거움, 고독감 모두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화 역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사회적 배제감의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The mediation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 이성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1-30
    • /
    • 2023
  • 본 논문은 사회적 배제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조절곤란이 매개변인으로 기능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298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전반적 사회적 배제감은 정서조절곤란을 완전히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배제감의 하위 차원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후 정서조절곤란을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았다. 무시 경험은 정서조절경험을 부분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거절 경험은 정서조절경험을 완전히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배제감을 설정할 때 전반적인 요인으로 설정하는 것뿐 아니라 개별적인 요인으로 나누어서 접근하는 것도 의미가 있음을 말해준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이 특성불안과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Trait-Anxiety and Quality of Sleep in University students')

  • 정추영;서영숙;조은하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47-1155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university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trait-anxiety and quality of sleep. This study is going to offer basic resource that required to make the way that is able to reduce the anxiety with figuring out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 Method: 213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s 20 to 30 age of university students who use SNS. Collecting resource period was April 4 to May 11, 2018. Analyses consisted of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showed SNS addiction tendency and quality of sleep(r=.45, p<.000). Major Influence factor is predicted addiction tendency of SNS using time (F=21.21, p=.000) and trait-anxiety (F=23.55, p=.000). Of the highest trait-anxiety affects quality of sleep (F=24.82 p=.000).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information programs and design appropriate SN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that can induce trait-anxiety and improve quality of sleep. Thus follow-up study should have diverse participants to investigate SNS addiction tendency, trait-anxiety and quality of sleep that influenced by overusing SNS.

융복합 시대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들의 중독 요인에 대한 연구: 습관의 역할 (A Study on Antecedents of SNS User's Addiction in the Age of Convergence: The Role of SNS Habit)

  • 김병수;김대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161-168
    • /
    • 2015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과잉적 사용으로 야기되는 서비스 중독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비스 중독은 능률 저하, 심리 및 육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 모형에서는 서비스 습관을 서비스 중독 형성의 핵심 요인으로 고려하였으며, 자기표현, 네트워크 관리, 정보 검색의 영향도 함께 살펴보았다. 페이스북 사용자 206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안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 분석 결과 서비스 습관은 서비스 중독 형성의 핵심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자기표현, 네트워크 관리, 정보 검색은 서비스 습관을 매개로 하여 서비스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용자들에 대한 중독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관련 디지털 융복합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Their SNS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 양인숙;황선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71-38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employ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Sobel test and Bootstrap method, and Kappa squared mediation effect size measure were used to identify the mediator's significance. A convenience sample of 195 subjects was recruited from two universities in Korea.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2.58{\pm}1.81$. The subject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SNS addiction with a mean score of $14.33{\pm}4.80$. The overall model significantly explained 37.0% of variances in the subjects' SNS addiction after controlling gender, age, grade, major, period of SNS using, time spent on SNS per day, and times accessed SNS per day. Of the predictors, time spent on SNS per da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NS addiction. Self-esteem was the mediator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NS addiction. Conclusion: Whe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ng SNS addiction, interventions for reducing time spent on SNS per day, not having upwar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improving the self-esteem should be considered. These findings might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strategies for preventing SNS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 Esteem and Adult Attachment on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 권예진;김다빈;서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7-5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 실태를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 중 불안정 애착(애착불안, 애착 회피)이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30명을 오프라인과 온라인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그 중 유효한 271명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87.4%가 SNS를 사용하고 있었고, 주로 사용하는 SNS는 '페이스북(82.3%)'이었다. 일별 SNS 사용시간은 '1시간 이상~2시간 미만(24.7%)'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여성이 남성보다 SNS중독경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 중에 애착불안와 애착회피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SNS 중독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불안정 애착 중 애착불안만이 중독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생의 신분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 위험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