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receivers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SNS 구전정보 특성이 외식상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수신자 특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Effects of SNS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Restaurant Food - Focused on the SNS WOM Receivers Characteristics as Moderator -)

  • 박대섭;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39-52
    • /
    • 2016
  •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NS WOM characteristic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s perceived in restaurant participants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SNS receivers' characteristics on formulated model. Survey method was employed to consumers who are using SNS to find restaurant food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Seoul area. A total of 25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230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missing and unusual dat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ividness of SNS WOM characteristics had a greater effect on attitude of restaurant food than timeliness, but the consensus and neutrality of SNS WOM characteristic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of restaurant food. Second, SNS receivers characteristic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vividness and timeliness of SNS WOM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However, SNS receivers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a moderating role relationships between consensus and neutrality of SNS WOM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Third, attitude of restaurant f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NS 사회적 자본이 외식상품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위험과 SNS 수신자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NS Social Capital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of Food Produc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SNS Receiver Characteristics)

  • 이형주;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31-1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NS 사회적 자본이 외식상품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특히 지각위험과 SNS 수신자 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6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해서 서울 경기 지역에서 SNS를 경험해 본 외식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23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설문지를 제외한 유효한 자료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SNS 상에서의 사회적 자본(연결적 사회자본, 결속적 사회자본)이 모두 외식상품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위험은 SNS상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신뢰 간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수신자 특성은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와 구매의도간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