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 like activity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2초

몇가지 과실, 채소류를 혼합한 사과주스의 SOD 유사활성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 홍희도;강남길;김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84-1487
    • /
    • 1998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16종의 과실, 채소 착즙액 및 농축품의 SOD 유사활성을 pyrogallol autoxid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열안정성, 사과주스에 첨가시 사과주스의 SOD 유사활성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브로콜리 착즙액이 41.7%, 딸기, 당근 착즙액 등이 3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케일농축액, 키위 착즙액, 무 착즙액이 $24.1{\sim}27.6%$ 정도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95^{\circ}C$에서 20분까지 처리시에도 SOD 유사활성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과주스의 SOD 유사활성을 100%로 할 때 사과주스에 당근농축액과 키위착즙액을 20% 첨가시에는 120%정도, 딸기와 브로콜리 착즙액은 135%의 높은 SOD 유사활성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무 착즙액의 경우 사과주스에 20% 첨가시 148%로 가장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볶음 처리 새송이버섯의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기능적 특성 변화 (Change in Functional Properties by Extraction Condition of Roasted Pleurotus eryngii)

  • 윤성란;이명희;김현구;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2-270
    • /
    • 2006
  • 볶음 처리한 새송이버섯의 환류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생리기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에탄올농도에 따라서는 50% 에탄올농도로 추출하였을 때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수소공여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75% 에탄올농도로 추출하였을 때 SOD유사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에는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수소공여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D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수소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매에 대한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수소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볶음 처리한 새송이버섯의 추출조건 설정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채취 시기에 따른 와송 추출물의 항상화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bility of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Harvest Times)

  • 최선영;정미자;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4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harvest times, by measuring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reducing power,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and antioxidant activity within a linoleic acid emulsion. EDA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methanol extract had slightly stronger effects than the water extract. And reducing power and SOD-like activity were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Overall, based on the data, the methanol extract of O. japonicus A. Berger harvested during $August{\sim}October$ presented the highest level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may be a good candidate as a natural antioxidant source.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Lepista nuda)

  • 이양숙;박동철;주은영;신승렬;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42-947
    • /
    • 2005
  • 민자주방망이버섯의 항산화력을 알아보기 위해 환류 추출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물과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각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농도에 따른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ppm농도에서 마이크로웨이브 물추출물(MWE)이 $87.73\%$로 가장 높았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에탄을 추출물(MEE)은 $84.84\%$로서 환류 추출방법을 이용한 환류 물추출물(RWE)의 $60.47\%$와 환류 에탄올추출물(REE)의 $60.13\%$보다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000ppm 농도에서 REE$(42.03\%)$, RWE$(38.21\%)$는 MWE$(29.24\%)$와 MEE$(24.58\%)$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 조건의 1,000ppm 농도에서 MWE$(29.77\%)$, MEE$(25.47\%)$는 RWE$(25.12\%)$와 REE$(22.94\%)$보다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 민자주방망이버섯은 MWE에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았으며, SOD 유사활성은 REE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The Effect of NMDA/glycine Receptor Antagonist, 7-Chlorokynurenic Acid on Cultured Astrocytes Damaged by Ischemia-like Condition

  • 정인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5-362
    • /
    • 2009
  • I evalu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N-methyl-D-aspartate (NMDA)/glycine receptor antagonist, 7-chlorokinurenic acid (CKA) on cultured mouse astrocytes damaged by ischemia-like condition (ILC). The protective effect of CKA was assessed by cell viability,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CKA on the cell apoptosis, the expression and the activity of caspase 3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ting. CKA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decreased by ILC. CKA also decreased the LDH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In addition, CKA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caspase 3 associated with apoptosis, and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by the decrease of caspase 3 activity as like the caspase 3 inhibitor, Av-DVED-MED. From these res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S induces cell cytotoxicity in cultured astrocytes and CKA, NMDA/glycine receptor antagonist, is effective on the prevention of the cytotoxicity due to ILS by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the inhibition of apoptosis.

  • PD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inger Extracts Originated from Different Habitat

  • Lim, Tae-Soo;Oh, Hyun-In;Kwon, Joong-Ho;Kim, Hyun-K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43-147
    • /
    • 2006
  •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grown ginger (KG) and Chinese-grown ginger (CG) extracts were examined. Ginger was extracted with water, and 50 and 100% ethanol, and then nitrite-scavenging activity (NSA),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of extracts were investigated. NSA at pH 1.2 was the most effective in 50% ethanol extracts of both origins. SOD-like activities of water and 50% ethanol extracts of both samples were 8.66-35.95% lower than those of 1 and 0.1% L-ascorbate solutions. SOD-like activity of KG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CG extracts, and water extracts of samples were the highest. EDA of KG extract was higher (22.23-86.95%) than that of CG extract, while both sample extracts showed lower EDA than those of 1 and 0.1% L-ascorbate solutions.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of a Sterol Glucoside form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 조민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7-82
    • /
    • 2007
  • 쑥갓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쑥갓 총 메탄올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는 총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H가 1.5일 때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C_{50}$값은 39ppm으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15ppm과 36ppm일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chlorogenic acid와 동등한 소거작용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silica 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의 활성성분인 compound I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compound를 $^{1}H-NMR$$^{13}C-NMR$ spectral data를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I은 ${\beta}-sitosterol-O-{\beta}-D-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Compound I과 그 aglycone인 ${\beta}-sitosterol$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pH 1.5에서 각각 15ppm과 36ppm일때 compound I의 $IC_{50}$값이 335ppm, ${\beta}-sitosterol$$IC_{50}$값이 41ppm으로 가수분해된 aglycone이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훨씬 높았다. SOD 유사활성의 경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EC_{50}$ 값은 38ppm, 449ppm으로 이와 비교시 ${\beta}-sitosterol$과 배당체의 $EC_{50}$ 값은 1,291ppm과 2,000ppm 이상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볶음 새송이버섯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 in Quality Properties of Extracts from Roasted Pleurotus eryngii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

  • 윤성란;이명희;김현구;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32-739
    • /
    • 2006
  • 볶음처리한 새송이버섯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즉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 및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pH 1.2에서의 아질산염소거능은 5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75% 에탄을 농도로 추출하였을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7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D유사활성 및 아질산염소거능의 경우추출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power 의 경우 100 W로 추출하였을 때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 및 전자공여능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은 25 W일 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질산염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잎의 처리방법과 추출조건에 따른 감잎차의 Vitamin C와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의 변화 (Changes of Vitamin C and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and Extraction Condition)

  • 박윤주;강명희;김종익;박옥진;이미숙;장해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1-285
    • /
    • 1995
  • 감잎차의 효과적인 제조법 및 음용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세가지 방법(재래식, 증자법, 발효법)에 의해 감잎으로부터 감잎차를 제조하여 vitamin C와 SOD 유사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Vitamin C는 발효법에 의해 제조된 감잎차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이 수치는(551.85 mg%) 생감잎에 들어 있는 vitamin C의 (1173.67 mg%) 47%에 해당하는 양이며 재래식 및 증자법에 의한 감잎차에 대해 각각 42배, 8배나 되는 많은 양임이 밝혀졌다. 반면 SOD 유사활성은 재래식(833.33 SOD unit/g)과 발효법(816.33 SOD unit/g)에 의해 제조된 감잎차가 증자법(754.72 SOD unit/g)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절대 수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라 증자법 감잎차의 vitamin C는 온도에 상관없이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발효법 감잎차는 $60^{\circ}C$$70^{\circ}C$에서는 추출량이 시간의 증가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80^{\circ}C$$90^{\circ}C$에서는 추출시간 5분까지는 증가하고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발효법 감잎차의 vitamin C의 최적 추출조건은 $80^{\circ}C$$90^{\circ}C$에서 3분과 5분이었고 $70^{\circ}C$에서는 5분과 10분 그리고, $60^{\circ}C$에서는 10분이었다. 재래식 감잎차의 vitamin C는 그 양이 적어 실험에 사용된 DNP법에 의해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SOD유사활성을 살펴볼 때 재래식 및 증자법 감잎차는 추출시간에 따라 $80^{\circ}C$$90^{\circ}C$에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효법 감잎차는 $80^{\circ}C$$90^{\circ}C$에서 증가${\rightarrow}$감소${\rightarrow}$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재래식 및 증자법에 의한 감잎차보다 $80^{\circ}C$$90^{\circ}C$ 경우 추출시간에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은 3분과 10분이었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the root and bark of Ulmus davidiana

  • Sim, Ki Hyeon;Han, Young Sil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3-140
    • /
    • 2019
  • Antioxidant activities of Ulmus davidiana root and bark extracts were evaluated by various antioxidant tests, including DPPH radical-scavenging, nitric oxide-scavenging, superoxide anion radical-scavenging, and ABTS radical-scavenging assays,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nalysis, along with the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Both the extracts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by these testing methods. Ulmus davidiana root extract possessed strong reducing power and nitric oxide-scavenging activity, and high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free radicals including the superoxide anion, and the ABTS and DPPH radicals, but a weaker scavenging activity of SOD. In contrast, the Ulmus davidiana bark extract exhibited a strong SOD-like activity, but all the other activities were weak. It was observed that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Ulmus davidiana root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lmus davidiana bark ex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