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S cours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Need and Significance of S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 Choi, Kyung-Hee;Chong, Hyun-Ju;Lee, Ki-Soon;Chang, Hyun-Sook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50-657
    • /
    • 2005
  • The study purported to develop STS education course material at the university level in order to enhance science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 developed STS course was provided to 265 freshmen and sophomore students, majoring in the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and Fine Art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examining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toward and perspectives on ST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Ten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rom VOSTS for the survey. One additional questionnaire asked the students to elaborate their opinions on the need for a STS education course. The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ypes of questions and students' majors. As result, the developed STS course significantly increased students' science literacy. Among the participants, 97.7% responded that there is a need for STS education and provided reasons for such nee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a STS class at the university level.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responses, there were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the students' major. These differences imply that the major, academic background, level of interest in science, and knowledge of science of the students affect their perceptions on identifying the need for a STS education course.

한양대학교 STS 전공 과정의 개발과 운영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STS Course at Hanyang University)

  • 남영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5-204
    • /
    • 2012
  • 이 글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수행인문학부 STS(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전공 과정의 개발과 운영과정에 대한 분석이다. STS 전공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학생들에게 제2전공으로 이수할 것을 권장하고 있는 수행인문학 융합전공 5개 과정 중 하나이다. 수행인문학 과정은 2005~2009년 사이 교육부의 "수도권 대학특성화 지원 사업"에 의해 과정이 개발된 뒤 한양대학교 행정체계 내에 수행인문학부로 독립되어 현재 과정이 운영 중에 있다. 이 중 STS 과정은 과학기술학에 기반을 둔 인문학과 과학기술을 연결하는 복합학 과정이라 할 수 있다. STS 전공 과정의 설립은 전공의 내용과 운영 과정 모두에 있어서 학제적 교육에 대한 새로운 융합적 시도로서 의미가 깊다. 본문에서는 STS 전공의 교육과정 로드맵과 교육 운영 방법에 대해 논하고 개발과정과 운영 결과의 장단점을 분석해 본다. 융합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재, 이 글은 간 학문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STS 과정이 대학 내 전공과정으로 편입되고 운영되는 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대한민국 대학체계 내에서 실행가능한 대안적 융합교육 모델들을 고민해보는 적절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과학-기술-사회(S-T-S)교육 도입을 위한 시도 (The Attempt to Introduce Science-Technology-Society(S-T-S) Education to Korean Science Education)

  • 하미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9-85
    • /
    • 1991
  •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of the modern society, science & technology influences the society significantly. Thus, Korean education, especially the science education must be reviewed in the terms of tha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social, environmental context's science education-STS education. STS education is to arise the ability of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 participating in a discussion. The areas of this are knowledge, process, creativity, attitude, application. Also there are social issues approach & the social studies of science approach in the STS education. The social issues approach is the predominant approach to STS education; the social studies of science approach is often found in the form of goals & objectives for STS education. In order to introduce STS education to Korean science education,this author suggests the following; 1. The relation between science & society in science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more. 2.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STS education appropriate for Korean society must be preceded. 3. The new course about STS and technical education in the level of college must be developed.

  • PDF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과학-기술-사회(STS)에 대한 인식도 조사 (The Examination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학 Perceptions about Science - Technology -Society(STS).)

  • 김맹희;권치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1호
    • /
    • pp.29-3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and compare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Technology-and Society (STS), particularly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ir interaction within society, and the epistemology of science. Large percentag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nderstood to perceive as follows : 1. they regarded the science as 〃Knowledge scheme aiming content'and technology as 'skill for solution of actual problems'. 2. they revealed themselves to perceive tat science/ technology influence our lives through new terms and ideas, that science/ technology is affected by governmental policies and that all the people concerned including scientist and technologist should participate in the course of decision making. 3. they perceived that scientist perform their studies by characteristic abilities and that the studies are affected by their religious viewpoint. Moreover, they were understood to perceive that scientific knowledge are construct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4. they perceived that scientist discover and develop scientific laws by scientific methods such as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and that those scientific laws could be changed later.

  • PDF

Constructivism and STS Reflected in the Korean Education Programs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 Cha, Hee-Young;Chung, Wan-Ho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62
    • /
    • 2004
  •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education programs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flect constructivist perspectives. To identify how to introduce the idea of constructivism and STS into the courses of the current Korean education programs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two programs were selected: the Qualifying In-service Program held in Seoul and the pre-service programs established in the four departments of science edu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Chungbuk. The course guidebooks, syllabi, and text materials prepared for implementation of the cour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mail correspondence with the program instructors who had conveyed both ideas to the trainees provided us more precise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es, such as the total time provided the ideas and the teaching strategies used to implement the clas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programs included the ideas of constructivism and STS more than did the Qualifying In-service Program. It is necessary that the courses included in the Korean in-service program, in particular the Qualifying In-service Program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have to be more focused on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s.

현대 과학문화의 간학문적 이해에 대한 연구 - '과학기술과 사회' 교양강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Modern Science Culture - Focusing on Case Study of 'STS Course')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33-66
    • /
    • 2004
  • 오늘날 과학은 더 이상 과학지식으로 환원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고 포괄적인 과학활동으로 증대되었고, 이 활동에 관여하는 행위자들 역시 과학기술자의 좁은 범위를 넘어 연구지원체계, 언론, 교육, 기업 등 넓은 범위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과학이라고 총칭되는 이 활동은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문화인 셈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요구되는 소통은 문화로서의 과학에 대한 이해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는 과학"이다. 흔히 STS라 불리는 과학기술학은 이처럼 포괄적이고 끊임없이 변모하는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간학문적 접근방식이다. STS라고 총칭되는 학문 영역이 탄생하게 된 배경자체가 날로 사회에 대한 규정력이 높아가는 과학에 대한 이해의 시급한 필요성 때문이었다. 따라서 간학문적 접근방식인 STS의 연구성과를 과학교육을 비롯한 과학커뮤니케이션에 적용시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지난 2002년에서 2004년까지 고려대학교의 자유교양 과목으로 개설되었던 "과학기술과 사회" 강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학문적 배경과 관심사가 다양한 학부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새롭고 낮선 과학기술적 주제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그리고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날로 복잡해지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다양한 쟁점들을 이해하는데 간학문적 접근방식이 어떤 도움이 되는지 밝히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과학문화의 간학문적 이해라는 주제에 접근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80년대 후반이후 과학기술과 대중의 소통을 연구한 "대중의 과학이해(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의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오늘날 과학지식과 이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과학기술과 사회"의 사례 분석은 발표와 토론 수업에서 수강자들이 간학문적 접근방식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에 대한 이해를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 PDF

Tumoral calcinosis and calciphylaxis treated with subtotal parathyroidectomy and sodium thiosulphate

  • Cho, Hyunjeong;Yi, Yongjin;Kang, Eunjeong;Park, Seokwoo;Cho, Eun Jin;Cho, Sung Tae;Chun, Rho Won;Lee, Kyu Eun;Oh, Kook-Hwa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68-71
    • /
    • 2016
  • Tumoral calcinosis (TC) is a condition resulting from extensive calcium phosphate precipitation, primarily in the periarticular tissues around major joints. Calciphylaxis is a fatal ischemic vasculopathy mainly affecting dermal blood vessels and subcutaneous fat. This syndrome is rare and predominantly occurs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Here, we report on a rare case involving a patient with TC complicated with calciphylaxis. Our patient was a 31-year-old man undergoing hemodialysis who presented with masses on both shoulders and necrotic cutaneous ulcers, which were associated with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on his lower legs. He underwent subtotal parathyroidectomy, and sodium thiosulfate (STS) was administered for 27 weeks. Twenty months after beginning the STS treatment course, he experienced dramatic relief of his TC and calciphylaxis.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태도, STS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Experiment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Scientific Attitude,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ionship, and Views on Nature of Science)

  • 김민환;김성훈;노태희;최숙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91-797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태도, STS와 NOS에 대한 견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22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이수 전후에 각각 검사를 실시하고 두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에 대한 흥미 점수와 과학적 태도 점수는 이수 전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STS에 대한 견해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 연구 윤리에 관한 항목의 견해는 이수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NOS에 대한 견해의 점수는 모든 영역에서 이수 전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융합형 과학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과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 및 포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Integrated Science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Students' Views on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ionship,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ce Aspiration)

  • 양찬호;김민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49-55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융합형 과학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융합형 과학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과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포부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14명으로, 융합형 과학 이수 전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NOS에 대한 견해 점수는 융합형 과학의 이수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NOS의 하위영역인 과학 지식의 임시성과 상상력의 사용의 경우에는 이수 후 검사 점수가 이수 전검사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STS에 대한 견해나 과학에 대한 흥미 및 포부에서는 융합형 과학 이수 전후의 검사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융합형 과학 이수가 학생들의 NOS와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포부를 향상시키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