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emankeum tidal fla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새만금 갯벌의 입도조성과 유기물질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 Composition and Organic Matter Distribution for Tidal Flat Sediments in the Saemankeum Area)

  • 유선재;김종구;조은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9-54
    • /
    • 2003
  • 새만금 갯벌의 입조조성 및 유기물질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1999년 갯벌 91개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입도의 특성을 보면 새만금 갯벌은 사질이 우세하였고, 세립한 제이차 혼합물인 실트질이 추가된 반면 Clay 함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평균값의 범위는 $4.60\~10.90\;{\phi}$이었고 분급도 범위는 $-0.1\~1.75\;{\phi}$이었다. 그리고 왜도의 범위는 $-1.0\~0.92\;{\phi}$이었으며 첨도의 범위는 $0.27\~6.75\;{\phi}$를 보였다. 그러므로 새만금 방조제 공사에 의해 갯벌은 심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기물질과 관련된 항목을 살펴보면, ORP의 범위는 -133$\~$200 mV로 평균 73 mV의 산화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전체 91개 지점 중 24개 지점에서 환원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CODs의 농도범위는 $17.54\~6,176.25\;mg/kg$을 보였고 총탄소와 총황의 비 (S/C)는 0.02$\~$0.45 (평균0.24) 범위를 보였다. 그러므로 새만금 갯벌은 아직까지는 육상에서 유입되는 인위적인 유기 오염물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새만금 갯벌은 사질이며 육상에서 유입되는 유기물 오염이 낮아 수산생물 생육 장소로 적합하므로 계속 보존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조사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갯벌의 수직적 환경 특성 (The vert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sediments)

  • 김종구;유선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29
    • /
    • 2000
  • As one of the fundamental survey to evaluate 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at the tidal flat sediments, we studied vert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ree tidal flat sediments, Chunjangdae, Eueunri and Gyewhado. These are dissmilar to external feature in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ed; As the results of particle analysis, Eueunri tidal flat fediment located in Keum river estuary consists of 98.98% as silt & clay, Chunjangdae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SeocheonGun consists of 97.99% as sand. And Gyewhado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Saemankeum in Saemankeum area consists area consists of 32.81% as silt & clay and 67.19% as sand.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I.L., COD, POC, PON) in Eueunri tidal flat sediment which highly content of silt & clay were 3~4 times higher than others.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 at each layer were slightly increase goes with deepen layer.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I.L. and COD, POC, PON were obtaine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 range of 0.821~0.940.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pH and COD, POC, PON were high(>r=0.9). Filteration rate in Chunjangdae tidal flat sediment was 0.01584cm/s as mean value, but the other were almost nothing filtered off.

  • PDF

한국 서해 새만금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에 대한 HPLC 분석 (HPLC Analysis of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hos in the Saemank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오승진;문창호;박미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5-225
    • /
    • 2004
  •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hos in the Saemankeum tidal flat were studied by HPLC analysis of the photosynthetic pigments from November 2001 to November 2002.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ediment were also investig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os biomass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The detected photosynthetic pigments of microphytobenthos were chlorophyll a, b, c, fucoxanthin, 19'-hexanoyloxyfucoxanthin, violaxanthin, diadinoxanthin, alloxanthin, diatoxanthin, zeaxanthin+lutein, peridinin and beta-carotene. Pheophytin a, the degradation product of chlorophyll a, was also detected. The results of pigmen analysis suggest the presence of diatom (fucoxanthin), euglenophytes (chlorophyll b), chlorophytes (chlorophyll b + lutein), cyanobacteria (zeaxanthin), cryptophytes (alloxanthin), chrysophytes (fucoxanthin + violaxanthin), prymnesiophytes (19'-hexanoyloxyfucoxanthin) and dinoflagellates (peridini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top 0.5 cm of sediment was in the range of $0.24\;mg{\cdot}m\^{-2}\;-32.11\;mg{\cdot}m\^{-2}$ in the study area. The increase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spring indicates the occurrence of a microphytobenthic bloom. In the summer, there was a sharp decrease of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hich was probably due to high grazing activity by macrobenthos. The annual mea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study area was low compared to that in most of other tidal flat areas probably due to active resuspension of microphytobenthos and high grazing activity by macrobenthos.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os biomass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because of a large variety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Pigment analysis indicated that while diatoms were dominated in the microphytobenthic community of the Geojon tidal flat, euglenophytes and/or chlorophytes coexisted with diatoms in the Mangyung River tidal flat.

조간대 갯벌지형 영상 관측 고찰 (Study on Intertidal Flat Topography Observation Using Camera Images)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09-115
    • /
    • 2006
  •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사이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다. 이를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수륙 경계선을 추출하여 기하보정을 하면 각 등고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 정보를 얻는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방조제 건설이후 방조제 외측에서 가장 뚜렷한 갯벌 지형 변화를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갯벌 지형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여 지형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높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시기에 영상 관측된 지형 자료로부터 그 변화를 검토하였다.

조간대 갯벌지형 영상 관측 고찰 (Study on Intertidal Flat Topography Observation Using Camera Images)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45-151
    • /
    • 2006
  •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사이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다. 이를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수륙 경계선을 추출하여 기하보정을 하면 각 등고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 정보를 얻는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방조제 건설이후 방조제 외측에서 가장 뚜렷한 갯벌 지형 변화를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갯벌 지형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여 지형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높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시기에 영상 관측된 지형 자료로부터 그 변화를 검토하였다.

만경수역 해수 유통시 조석환경변화 고찰 (Tidal behavior changes in Mangyeong reservoir area with permitting sea-water intrusion through the sluice gate)

  • 권순국;박영욱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1-24
    • /
    • 2001
  • As one of the phil-environmental alternative plan of Saemankeum project, gradual development is recommended. The procedure of the Saemankeum project start with the completion of 32 km long sea-dikes which contains two discharge gates until the year 2004. Second step is pre-development of Mangyoung area permitting temporary intrusion of sea water, i.e. tides, by the opening of discharge gate until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on the water quality of this area secures permanent meet to government's water quality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future condition of this tidal flat with the point of view tidal environments, salt, water quality, soil mechanics, etc. of Mangyoung area when the sea water still passed in the inland reservoir through the discharge gate.

  • PDF

새만금지역 하구갯벌의 유기물 분해능력 평가 (Estimation of Decomposition Capacity for Organic Matter in Tidal Flat Sediments at Saemankeum Area)

  • 김종구;유선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15-321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ecomposition capacity for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s (Hajae, Dongjin and Mankyung). The decomposition rate constants (K') have been determined by Thomas slope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values of each tidal flats. The decomposition rates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were initially very slow, but at the end of 12 hours, very sharply increased. The values of decomposition rate constant for Dongjin, Mankyung and Hajae tidal flat sediment were 1.364$day^{-1}$/, 1.080d$day^{-1}$ and 0.735$day^{-1}$, respectively. The decomposition rate constant of Dongjin tidal flat sediment which affected by livestock wastewater was higher than others. The decomposition quantity (mg/g/day)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s was 0.4mg/g/day for Dongjin, 0.36mg/g/day for Mankyung and 0.36mg/g/day for Hajae. The average of decomposition quantity was 0.37mg/g/day. To calculate purification capacity (kg/ha)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we applied to two assumption ; 1) biological action by microbe is occur within 0.1cm under surface 2) specific gravity of sediment are 2.5g/$\textrm{cm}^2$.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organic matter by microbe of tidal flat sediment was calculated to 9.25kg/ha. The relationships between decomposition rate constant (K') and ignition loss (I. L), chemical oxygen demand by sediment (CO $D_{sed}$), total carbon(TC), silt and clay as index of organic matter were a high positive($R^2$=0.97~1.00).

  • PDF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구간 주변에서의 지형변화예측(수공) (Time Dependent Morphological Changes around the Closure Gap in Saemankeum)

  • 박영욱;어대수;박상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65-370
    • /
    • 2000
  • Sea dike construction for the tidal flat reclamation works in estuary and coast may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motion and wave conditions in the region. In turn, a new hydraulic condition provides the impacts on sediment transport pattern and forms a new morphological environment. Also,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the closure works of sea dike are closely related with a safy of sea dike. Therefore, the prediction of morphological changes is required secure the safe closure work and the economic design of sea dike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nges due to sea dike construction, hydrodynamic changes of tides and waves have to be evaluated, then sediment transport and sea bottom changes are computed. Mathematical modelling is required for representation of interrelation of tidal motion, wave and sediment transport. In this study, numerical model MORSYS is applied to compute the hydrodynamics and morphological changes around the closure gap for Saemankuem dike. This model allows a flexible integration of the module for waves, currents, sediment transport and bottom changes.

  • PDF

새만금 갯벌의 중금속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or Tidal Flat Sediments in the Saemankeum Area)

  • 김종구;유선재;조은일;안욱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1
    • /
    • 2003
  • 새만금 간척사업이 진행중인 만경, 동진강 하구의 조간대 갯벌에 대한 중금속 분포 및 거동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은 1994년 관측자료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시화호 퇴적물보다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수준을 나타내었다. 퇴적물의 중금속 농도는 시화호 보다 Cu 1/4배, Zn 1/3배, Cr 1/2배 이하의 낮은 값이었다. 농축계수는 Pb와 Zn을 제외하고는 1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시화호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중금속 과잉량에서는 Cu, Cr, Fe, Mn은 부족하였으며, Pb와 Zn은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과 유기물량과의 관계에서 유기물 농도와 중금속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강열감량과의 상관분석에서 모든 중금속이 좋은 상관성 (r=0.424$\~$0.839)을 보였고, 특히 산화 Fe, Mn, Ai은 0.7 이상의 높은 정의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중금속과 입도와의 상관조사에서 입도가 세립할수록 중금속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실트와의 상관분석에서 Cu와 Pb를 제외한 다른 중금속은 0.552$\~$0.732의 정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새만금 하구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정도는 시화호 퇴적물과 비교하여 많이 낮았는데, 이는 시화호의 경우 연안에 위치한 공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반면, 만경강과 동진강하구 주변에는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전주와 익산도 하구와는 상대적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비하여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증가하였으며, 그 변동율은 C. calcitrans의 경우가 S. costatum보다 높았다. 그러나 V. alginolyticus와 혼합배양한 경우 C. calcitrans는 포화지방산이 증가한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 costatum은 순수 배양한 조체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C. calcitrans는 Shewanella sp. SR-14에 의하여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이 증가되고, 이러한 지방산은 이 균이 생성하는 조류증식 저해물질과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더욱 조류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5.3\%$로 높은 편이었으며, 유화성은 50.3$\pm$$1.2\%$였으나 유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갯벌의 물리적 특성과 중금속 흡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s)

  • 나영;이성백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5-33
    • /
    • 2001
  • 새만금 간척으로 인해 변화된 조류흐름이 갯벌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이에 따른 물리적 특성이 중금속의 오염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회분실험을 통하여 중금속의 종류와 농도 변화에 따른 흡착특성을 알아보고, 흡착등온식을 적용시켰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해류의 흐름변화로 강 하구 부분에 퇴적현상이 일어나고 있었으며, 이 현상은 중금속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입도 분포와 유기물 함량 그리고 양이온 치환능력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금속 흡착능력은 30분 이내에 주입농도의 90%이상이 흡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새만금의 흐름 양상은 토양 입도를 변화시킬 것이며, 역시 중금속의 흡착능력의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