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 life

검색결과 1,130건 처리시간 0.031초

파로설계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Design against Metal Fatigue)

  • 이순복
    • 한국기계연구소 소보
    • /
    • 제4권1호
    • /
    • pp.19-26
    • /
    • 1981
  • Fatigue, the birth and growth of cracks in metal parts subjected to repeated loading, has been a problem plaguing engineer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dvent of rotating or reciprocating machinery. Designing against metal fatigue was studied briefly in several aspects. Examples of fatigue failures were shown. Fatigue was classified by loading: uniaxial Fatigue, multiaxial fatigue, cumulative fatigue da¬mage. Fatigue design criteria were discussed: Infinite-Life Design, Safe-Life Design, Fail-Safe Design, and Damage Tolerant Design. Mitigation of notch effects by design, improvement of fatigue strength of metal parts by residual stress and surface finishing were discussed. Relative fatigue beha¬vior was studied under various environmantal conditions. Especially the effects of corrosion, temperature, fretting, and irradiation were covered.

  • PDF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이용한 화물차 디지털 운행기록 단말기의 안전운행 보상시스템 구현 (Development of The Safe Driving Reward System for Truck Digital Tachograph using Hyperledger Fabric)

  • 김용배;백주용;김종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47-56
    • /
    • 2022
  • 본 논문의 안전운행 보상시스템은 안전운전을 수행한 차량운전자에게 직접적인 보상을 제공하여 안전운전의 동기를 부여하고 적극적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줄여 생명과 재산의 손실을 줄이는데 목표가 있다. 기존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경우 차량의 운전상태를 기록만 하였으나, 안전운전보상시스템은 사고예방 효과를 높이기 위한 지원책으로서 안전운전을 수행한 경우 금전적 보상을 통해 위험운전을 피하고 안전운전을 하도록 유도하였다. 즉, 과속으로 인한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속도 준수, 또는 차 간 거리 유지, 지정차로 운행 등의 안전운행 지시를 수행한 경우 직접적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운전 동기를 부여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이러한 안전운행 데이터와 보상내용은 투명하고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하므로 보상근거와 보상내용을 폐쇄형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그러나 블록체인 시스템은 투명성과 안전성이 보장되는 반면에 낮은 데이터 처리속도가 문제가 되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블록생성 가속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으로 블록을 생성하는 속도가 10TPS(Transaction per second) 내외의 낮은 속도를 나타내어, 블록의 생성속도를 높이기 위해 가속 기능을 적용한 결과 1,000TPS 이상의 고성능 네트워크를 구현하였다.

십자형 필릿 용접부에서의 무한 피로수명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Infinite Fatigue Life in Cruciform Fillet Welded Joint)

  • 이용복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5
    • /
    • 2013
  • 용접에 의한 가스설비, 교량, 선박 등 강 구조물의 접합 방법은 대부분 십자형이나 T형의 필릿 용접으로 이루어지며 구조물의 형상과 용도에 따라 완전 용입 또는 불완전 용입 상태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십자형 필릿용접 구조물에 대하여 재료 두께별 용입 깊이에 따른 피로 균열 특성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로부터 무한수명 영역내에서의 안전 설계응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미 용입 길이가 길면 루트 부 파괴가 되어 무한 수명 영역은 작고 미 용입 길이가 짧으면 토우부 파괴가 되어 무한 수명 영역은 크게 나타났다. 3층 용접한 재료 두께 20mm의 경우가 2층 용접한 재료 두께 10mm, 15mm의 경우보다 미세한 페라이트 침상 조직을 더 많게 형성시켜 노치 인성을 증가시키므로 서 피로강도와 무한 수명을 더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Regulatory roles of ginseng on inflammatory caspases, executioners of inflammasome activation

  • Yun, Miyong;Yi, Young-S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373-385
    • /
    • 2020
  • Inflammation is an immune response that protects against pathogens and cellular stress. The hallmark of inflammatory responses is inflammasome activation in response to various stimuli. This subsequently activates downstream effectors, that is, inflammatory caspases such as caspase-1, 4, 5, 11, and 12. Extensive efforts have been made on developing effective and safe anti-inflammatory therapeutics, and ginseng has long been traditionally used as efficacious and safe herbal medicine in treating various inflammatory and inflammation-mediated diseases. Many studies have successfully shown that ginseng plays an anti-inflammatory role by inhibiting inflammasomes and inflammasome-activated inflammatory caspases. This review discusses the regulatory roles of ginseng on inflammatory caspases in inflammatory responses and also suggests new research areas on the anti-inflammatory function of ginseng, which provides a novel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of ginseng as an effective and safe anti-inflammatory herbal medicine.

헬리콥터 로터 무베어링 허브 시스템 복합재 구성품 피로 안전수명 해석 (Fatigue Safe Life Analysis of Helicopter Rotor Bearingless Hub System Composite Components)

  • 김태주;기영중;김덕관
    • 항공우주기술
    • /
    • 제13권1호
    • /
    • pp.10-19
    • /
    • 2014
  • 기존의 헬리콥터 로터 시스템에서 기계적 힌지/베어링 부품을 복합재 빔 구성품으로 대체하여 중량과 부품수를 줄인 무베어링 허브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그 중 중요 구성품인 유연보와 토크튜브에 대한 피로 안전수명 해석을 수행하였다. VABS를 이용한 2차원 단면 해석 수행을 통해 인장, 굽힘 및 뒤틀림 강성을 도출하였으며 2차원 탄성 보 모델에 대한 단면 구조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각 단면에 발생하는 변형율을 계산하였다. 각 복합재 소재에 대한 S-N 곡선을 Wohler equation을 적용하여 생성하였으며, 정적구조해석을 통해 피로파손에 취약할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에 대한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헬리콥터 운영시로부터 구성품에 발생하는 하중은 CAMRAD II를 통해 계산하였으며, 하중해석 결과를 HELIX/FELIX 표준 하중 스펙트럼에 적용하여 무베어링 로터 허브 시스템의 하중 스펙트럼을 생성한 후,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피로 안전수명을 산출하였다.

헬리콥터 주로터 조종 시스템 회전형 스와시플레이트 피로 안전수명 평가 (Fatigue Safe Life Evaluation of Rotating Swashplate of Helicopter Main Rotor Control System)

  • 김동철;이판호;강신현;최영돈;김태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2호
    • /
    • pp.203-210
    • /
    • 2012
  • 주로터 조종 시스템은 헬리콥터의 추력 및 조종력을 담당하는 헬리콥터의 핵심 구성품이다. 주로터 조종 시스템은 스와시플레이트 조립체, 시져 조립체, 피치로드 조립체, 가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력 및 조종력 등 다양한 하중에 견디고 최적화된 피로 안전 수명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 시스템 구성품 중 회전형 스와시플레이트는 피치로드 하중과 회전형 시져 하중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핵심 구성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터 조종 시스템의 회전형 스와시플레이트 구성품에 대하여 피로 시험과 FEM 결과 비교를 통해 결과의 정확성을 입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명을 평가하여 피로 안전수명을 도출하였다.

여성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체중 조절 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r by Female Consumers Eating Life Styles)

  • 한인경;하애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7-184
    • /
    • 2009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ating lifestyles of female consumers and whether they influenced weight control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ating lifestyles of the subjects were presented four types: 'active eating life pursuit type', 'safe economical type', 'gourmet type' and 'passive negligence type'. In general, most cases were of the 'passive negligence type'. Second, weight control behavior was analyzed according to eating lifesty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emale consumers of the 'active eating life pursuit type' and 'safe economy type' had high behavior levels in each aspect of weight control attitude, subjective regulation,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behavior intention. Third, the 'gourmet type', with a strong preference for taste, and the 'passive negligence type', with fewer eating considerations in general, showed weaker attitudes towards weight control and the recognition of pressure from people around them. As such, the level of consideration for food or eating was correlated with weight control. These findings impliedy that the more active, safer, and economical women are in their general eating style, the stronger they perceive weight control issues.

토빗분석을 적용한 X세대, MZ세대의 외식지출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Dining-out Expenses by Generation X and Generation MZ Based on Tobit Model)

  • 민지은;한경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4-292
    • /
    • 2021
  • The food service industry has grown larger with changes i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this saturated food service industry, generation X and MZ are the main consumer forces that demand attention. That is because a generation is the main psychographic factor that reflects personal values and lifestyle based on one's life cycle. From such a perspective, a generation in marketing has been used as a variable to predict a market by supplementing demographic factors.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generations into generation X and generation MZ with the use of the 2019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b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and then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group and personal dining-out expense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pplying the Tobit model using SPSS and R. The positively influential variables on generation X's personal dining-out expenditure were male, single person, high income and simple lifestyle, whereas housewives, personal ethical consciousness, behavioral ethical consciousness, and safe dietary life were negatively influential variables. The positively influential variables on generation MZ's personal dining-out expenditures were male, dual-income, high education level, corporate and governmental ethical consciousness, whil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safe dietary life were negatively influential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