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 lanc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까나리액젓 중의 아미노태질소 측정 (Estimation of Amino-nitrogen Content in Salt-fermented Sand Lance Sauce)

  • 조형제;송민우;임영선;최영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213-223
    • /
    • 2000
  • 액젓중의 아미태질소 함량의 정확한 측정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아미노태질소 함량 측정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포르몰법, TNBS법 그리고 동염법(銅鹽法)으로 까나리액젓의 숙성기간 및 시판액젓중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을 측정 비교하고, 액젓중의 아미노태질소 함량 측정시에 식염농도, 가열 및 MSG(monosodium glutamate) 첨가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까나리액젓의 숙성기간중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에 따라서 일정하게 증가하였으며, 포르몰법이 가장 높았고 TNBS법 및 동염법(銅鹽法)의 순서였다. 12개월 숙성후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포르몰법을 기준으로 TNBS법은 88.7% 그리고 동염법(銅鹽法)은 75.2%였으며. 시판 까나리액젓중의 아미노태질소 함량도 포르몰법이 가장 높았고 TNBS법 및 동염법(銅鹽法)의 순서였다. 탈염 액젓중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포르몰법 및 TNBS법은 비슷한 값이었고, 동염법(銅鹽法)은 약간 낮았으며, 식염 첨가량이 많을 수록 포르몰법 및 동염법(銅鹽法)은 감소하였으나 TNBS법은 거의 일정하였다. 가열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포르몰법이 가장 높았고. TNBS법 및 동염법(銅鹽法)의 순서였다. MSG 첨가에 따른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증가하였으며, 숙성기간 및 가열중의 결과와 유사하게 포르몰법이 가장 많았고, TNBS법 및 동염법(銅鹽法)의 순서였다.

  • PDF

발효촉진제로 속성 발효한 까나리 어간장의 화학 및 미생물적 특성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Manufactured with Fermentation Accelerating Agents)

  • 김우재;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47-454
    • /
    • 2003
  • 동해안 특산 어종인 까나리어간장을 속성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발효촉진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의 숙성 중 화학성분 및 생균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creatine 량은 오징어내장첨가구는 숙성 2개월째, 나머지 첨가구에서는 3개월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TBA가는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한 다음 일정수준 유지 내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전 숙성기간에 걸쳐 오징어내장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른 첨가구들 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 있어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및 lys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생균수는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중 증가하였다가 숙성 후기에 감소하였으며 오징어내장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koji 첨가구가 향기 및 맛에 있어서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이 오징어내장첨가구이었다. 속성 까나리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속성 발효제로서 오징어내장 및 koji는 발효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맛을 형성하므로 까나리 어간장의 속성제조에 발효촉진제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여 진다.

프로폴리스 첨가 양미리 연육 튀김 어묵의 품질특성 (Quality of Fried Fish Paste Prepared with Sand-lance (Hypoptychus dybowskii) Meat and Propolis Additive)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박인숙;김옥선;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0-175
    • /
    • 2008
  • We made sand-lance meat paste containing 0.1-0.5% propol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volatile basic nitrogen, pH, viable cell count, and sensory evaluation. The fried sand-lance meat paste made with added propolis had a lower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after frying compared to the control prepared with potassium sorbate. The antioxidant and antispoiling effect of propolis on the fried fish meat paste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propolis added. The fried sand-lance meat paste made with 0.2% added propolis was very acceptable. In addition, the bitter taste of the sand-lance meat paste containing 0.2% propolis was blocked by adding 2% sweet amber powder to the paste.

Prevention of Precipitation in Sand Lance Fish Sauce by Chelating Agents

  • Moon, Kyung-Whan;Kim, Seong-Yeong;Kim, Jin-Man;Chang, Un-Jae;Bae, Song-Hwan;Suh, Hyung-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14-117
    • /
    • 2008
  • Chelating agents to sand lance fish sauce for the prevention of precipitate formation were applied. The precipitates consisted of crude protein (74.4%), ash (18.7%), and other components (6.9%). Sand lance sauce was mainly composed of glutamic acid (3.69 mg/g), alanine (2.96 mg/g), and lysine (2.64 mg/g). However,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hydrophobic amino acids, phenylalanine, isoleucine, and leucine, in the precipitates. Sodium ions were not detected in the precipitate; rather, the main elements were Mg ($1.98{\times}10^4\;{\mu}g/g)$, K ($1.36{\times}10^4\;{\mu}g/g)$, and Ca ($6.66{\times}10^2\;{\mu}g/g)$. In HPLC analysis, fish sauce was composed of 2 main peaks with molecular weights of 85.5 and 528.4 Da, respectively. However, the precipitate contained one peak with a molecular weight of 1,513.5 Da. The addition of 0.2% malic acid and citric acid caused 55 and 70% prevention of the precipitate, respectively. Citric acid was the most effective chelating agent and efficiently prevented precipitation in the fish sauce.

시판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액젓에서 Putrescine 생성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trescine-producing Bacteria in Commercially Available Sauces Made from Salted and Fermented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 엄인선;김태옥;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73-581
    • /
    • 2016
  • Bacterial decarboxylation of amino acids in food leads to the production of biogenic amines, which can cause reactions in human that include headaches, nausea, palpitations, chills, and severe respiratory distress. The amine putrescine is an especially effective inhibitor of metabolizing enzymes and amplifies histamine intoxication and tyramine poisoning. Using an L-ornithine decarboxylating medium, we isolated 14 putrescine-producing bacteria from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an API kit and 16S rRNA analysis, as Lysinibacillus fusiformis (1 strain),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6 strains), Lysinibacillus macroides (1 strain), Lysinibacillus sphaericus (3 strains), Bacillus fusiformis (1 strain), Paenibacillus favisporus (1 strain), and Staphylococcus caprae (1 strain). These strains produced between 1.66 to 236.97 μg/mL of putrescine after 48 h incubation. Lysinibacillus spp. were the dominant putrescine-producing bacteria in sand lance sauces, which produced 236.97 μg/mL of putrescine from a culture broth containing 0.5% L-ornithin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utrescine-producing bacteria from sand lance sauces.

시판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액젓에서 분리한 tryptamine 생성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ryptamine-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 엄인선;김태옥;김희대;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92-799
    • /
    • 2016
  • We isolated seven tryptamine-producing bacteria from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using an L-tryptophan decarboxylating medium. These tryptamine-producing bacteria, identified using an API kit and 16S rRNA analysis, included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one strain), Lysinibacillus fusiformis (four strain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two strains). Lysinibacillus spp. produced the highest levels of tryptamine in culture broth containing 0.5% L-tryptophan, compared with 1.0% and 2.0% preparations. After 72 h of incubation, Staphylococcus epidermidis produced the highest levels of tryptamine ($60.50{\mu}g/mL$ and $664.86{\mu}g/mL$) in culture broth containing 2.0% L-tryptophan. While Lysinibacillus spp. comprised the dominant tryptamine-producing bacteria in sand lance sauces, Staphylococcus epidermidis also showed high tryptamine-producing activity.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ryptamine-producing bacteria in sand lance sauces.

속성 까나리액젓의 제조 및 품질 평가 (Processing of the Rapid Fermented Sauce using Northern Sand Lance and Quality Evaluation)

  • 정용진;서지형;박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6-89
    • /
    • 2005
  • Thermoase를 이용하여 속성 까나리액젓 생산 가능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속성 까나리 액젓의 발효조건으로 thermoase $0.2\%$ 첨가, 발효온도 $60^{\circ}C$ 및 발효시간 9시간으로 설정되었다. 설정된 발효조건에서 생산된 속성 까나리 액젓은 시판 액젓 제품에 비해 밝은 갈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부 시판 액젓에 비해 속성 까나리 액젓은 총 질소, 아미노태 질소 및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다소 낮았으나, 감미성 아미노산 비율이 높았다. Thermoase를 이용한 까나리 액젓은 발효시간이 짧고 염장처리 된 까나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화된 명태연승의 조획성능 (Catching Performance for the Mechanized Pollock Longline)

  • 이춘우;박성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4호
    • /
    • pp.292-298
    • /
    • 1994
  • Catching performance of a mechanized pollock longline system compared with traditional one were examined in order to evaluate the practicality during two cruises in the Sokcho area. Mechanized longline system consists of random baiter, bait cutting machine, storage rails, and line hauler. Baiting efficiency of random baiter was 90-95% with 4-5kt shooting speed. Catching performance of the first experiment, salted sand lance only used as a bai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chanized operation with use fresh sand lance as a bait caught significantly more pollock than traditional one with use salted sand lance (P<0.016). Improved catch rates were about 2 times. As soak time goes on,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shows a steady increase up to 6~7 hours and thereafter gradually decrease.

  • PDF

The Effects of Alkaline Treatment and Potato-Starch Content on the Quality of Fish Meat Paste Products Prepared from Pacific Sandlance Ammodytes personatus Girard

  • Yoo, Byung-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3호
    • /
    • pp.161-167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washes and alkaline treatments ($NaHCO_3$ concentrations) and the concentration of potato starch on the quality of fish meat paste products prepared from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Girard. We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er ratings for the all textural parameters (hardness, brittleness, elasticity, and cohesiveness) of the sand-lance meat paste products (SLMPPs) that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a 0.5% $NaHCO_3$ concentration. We determined that an 8% concentration of potato starch leads to the best textural properties in SLMPPs. As the amount of potato starch was increased, the redness values of SLMPP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but the differences in the sensory evaluation parameters (texture,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between the SLMPPs were not significant.

속성 발효 까나리 어간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e-Fermented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 김우재;김상무;이시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09-714
    • /
    • 2002
  • 본 실험은 동해안 특산 어종인 까나리 액젓의 속성제조를 위하여 발효촉진제 (오징어 내장, koji 및 효소)를 첨가한 다음 15$^{\circ}C$에서 숙성 중 여러 가지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숙성기간 동안 수분은 모든 실험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숙성 1개월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의 숙성기간에서는 미세한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다. 조지방은 숙성 기간 동안 오징어 내장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은 koji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회분은 숙성기간동안 모든 실험구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는 모든 실험구에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징어 내장 첨가구가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TMA 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3개월째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그 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태 질소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3개월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숙성 4개월이하부터는 모든 실험구에서 급격한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VBN 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2개월까지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나 숙성 3개월째에 모든 발효 촉진제 첨가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전 숙성 기간에 걸쳐 오징어 내장 첨가군이 가장 높은 VBN 함량을 나타내었다. 숙성 중 오징어 내장 첨가군에서는 본 논문에서는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숙성 3개월째 다른 첨가군과는 다른 독특한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나타내었다. 속성 까나리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속성 발효제로서 오징어내장 및 koji는 발효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맛을 형성하므로 까나리 어간장의 속성제조에 발효촉진제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