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gassum hemiphyllu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모자반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지방세포 생성억제 효과 (Sargassum sp. Attenuates Oxidative Stress and Suppresses Lipid Accumulation in vitro)

  • 김정애;;안별님;권명숙;문옥주;김미향;이상현;유기환;김육용;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4-283
    • /
    • 2014
  • 인간 생체 내 산화스트레스는 조직적 손상을 일으켜 당뇨병, 심장혈관계질환, 비만 등의 대사성 질환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예방용 천연 보조제 개발의 일환으로 모자반 3종류(Sargassum hemiphyllum, Sargassum thunbergii, Sargassum honeri)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지방생성억제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세포 내 ROS 활성 및 NO 함량의 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지방세포생성억제활성은 3T3L1세포를 이용하여 지방세포의 축적 정도와 $PPAR{\gamma}$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각각 Oil-Red O 염색법과 RT-PCR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 모자반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자반 중에서 S. hemiphyllum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소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MTT assay을 통해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물들이 RAW 264.7 cell에 대한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세포내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 내 ROS 소거능의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DCF 형광도 값이 낮게 나왔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광도 값이 일정하여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물에는 세포 내 ROS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PS 처리에 의해 증가한 NO 값은 모자반의 추출물들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 정도는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 처리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모자반의 추출물들을 3T3-L1지방세포에 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한 결과 모자반 추출물 중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이 세포 내 지방 축적 및 $PPAR{\gamma}$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모자반 추출물들 중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이 높은 항산화 활성과 지방세포 생성억제 효능을 보유하고 있는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짝잎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argassum hemiphyllum Extracts)

  • 박지혜;박선희;김민지;김꽃봉우리;최정수;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8-123
    • /
    • 2017
  • 본 연구는 짝잎모자반(S. hemiphyllum)을 95% 에탄올과 물로 각각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각각 17.91 mg/g과 13.44 mg/g으로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1, 0.5, 0.1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은 각각 96, 96, 62% 및 92, 90, 44%로 에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 에탄올과 물 추출물 모두 대조구인 ascorbic acid에 비하여 낮은 값을 보였으며 에탄올 및 물 추출물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금속봉쇄력의 경우 1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9%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물 추출물은 28%의 활성을 보여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ancimat에 의한 유지 산화 억제능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대조구인 BHP에 비해 낮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짝잎모자반 추출물은 뛰어난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특히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짝잎모자반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사료된다.

짝잎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의 암세포주 증식 억제 및 항산화 효과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hemiphyllum on Inhibition of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and Antioxidant Activity)

  • 최형주;서영완;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33-153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에 속하는 짝잎모자반을 용매별로 추출하여 인체 위암 및 결장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및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A+M) 및 methanol 추출물(MeOH)을 인체 위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고(P<0.05), MeOH 추출물의 경우 인체 결장암 세포에 비해 위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가 높았다. 분획물들인 hexane, BuOH, 85% MeOH, water 분획물을 5 mg/ml의 농도로 인체 위암 및 결장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암세포의 성장을 크게 억제시켰으며(P<0.05) 위암세포와 비교해 볼 때 결장암 세포에서 보다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A+M 추출물 및 MeOH 추출물과 각 분획물들을 10mg/ml의 농도로 HT-1080 섬유육종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 처리군은 blank군과 control군과 비교하였을 때, 측정 시간 120분 동안 계속적으로 높은 세포내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능력을 나타내었으며(p<0.05), BuOH 및 hexane 분획물들을 처리한 경우에서는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 처리군들보다는 다소 낮은 활성을 나타내지만, control군에 비해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율이 현저히 낮았음을 관찰할 수 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짝잎모자반의 추출물 및 각 분회물들은 인체 암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였으며 지질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시켜 우수한 산화 방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모자반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Sargassum Extracts)

  • 심하은;노대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142-146
    • /
    • 2024
  • 전세계적으로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학합성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천연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 전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갈조류의 일종으로서 식용으로도 이용되는 만큼 안전성이 확보되어있는 해조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 짝잎 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 쌍발이 모자반(Sargassum patens)의 3가지 종류의 모자반으로부터 열수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으며,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 및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결과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결과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으며 tyrosinase inhibition을 이용한 미백효과시험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의 미백효과가 상당히 우수하였다. 그러나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와 항염증효과는 비교적 낮았다. 결론적으로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은 세포독성이 적었고,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과산화아질산염과 DPPH 라디칼에 대한 해조추출물의 소거 활성 효과 (Studies on Screening of Seaweed Extracts for Peroxynitrit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 이희정;김유아;박기의;정현아;유종수;안종웅;이범종;서영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59-64
    • /
    • 2004
  • As a part of our search for novel antioxidants from the seaweeds, we have investigated radical scavenging effect for their crude extract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uthentic peroxynitrite, and 3-morpholinsydnonimine (SIN-1), a peroxynitrite-generating species in vitro. Thirty-four seaweeds were screened for $ONOO^-$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 potent inhibitory effect against peroxynitrite generated by SIN-1 at $5{\mu}g/ml$ of methanol extracts was observed in order of Ishige okamurae(95.3%), Sargassum hemiphyllum(90.2%), Symphyocladia latiuscula(89.6%), Porphyra suborbiculata(86.7%), and Gelidium amamsii(85.9%), Also, a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 against direct authentic peroxynitrite was revekaled for methanol extracts of Ishige okamurae(66.2%) and Sargassum hemiphyllum(55.2%) and the acetone/methylene chloride(1:1) extract of Gigatina tenella (61.0%). In our measurement for evaluating the capacity to scavenge the stable free radical of DPPH, acetone/methylene chloride(1:1) extracts of Symphyocladia latiuscula, Gloiopeltis furcata, and Sargassum thunbergii and the methanol extract of Sargassum sp. showed an inhibitory potency of 85.8%, 82.8%, 74.1%, and 64.0%, respectively.

한국산 갈조식물 모자반속(Sargassum)의 분류 I. Bactrophycus아속 Teretia절 (Taxonomy of the Genus Sargassum (Fucales, Phaeophyceae) from Korea I. Subgenus Bactrophycus Section Teretia)

  • 옥정현;이인규
    • ALGAE
    • /
    • 제20권2호
    • /
    • pp.77-90
    • /
    • 2005
  • Eight species of Sargassum subgenus Bactrophycus section Teretia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Korea: S. confusum C. Agardh, S. pallidum (Turner) C. Agardh, S. muticum (Yendo) Fensholt, S. thunbergii (Mertens ex Roth) Kuntze, S. fulvellum (Turner) C. Agardh, S. hemiphyllum (Turner) C. Agardh, S. nipponicum Yendo, and S. miyabei Yendo. These species were investigated on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Korea. The valuable taxonomic characters between similar species of this section were discuss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ickness of leaves, types of holdfasts, shape of leaves and vesicle, and length of rhizoids.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Prolyl Endopeptidase, Tyrosinase 저해 및 항응고 활성 스크리닝 (Inhibition Activities of Sea Weeds on Prolyl Endopeptidase, Tyrosinase and Coagulation)

  • 이현진;김진희;이주현;김종식;곽상태;이경복;송경식;최병욱;이봉호
    • 생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1-237
    • /
    • 1999
  • About forty sea weeds were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against prolyl endopeptidase, tyrosinase and thrombus coagulation. Out of them, methanolic extract of Ecklonia cava, Sargassum patens, Sargassum hemiphyllum, Sargassum thunbergii, Sargassum singgildianum, Hizikia fusiformis, and Ishige okamurae inhibited more than 90% of prolyl endopeptidase activity at 40 ppm. Sargassum siliquastrum and Ecklonia cava exhibited 51% and 76% of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yrosinase at 40 ppm, respectively. In APTT assay system, Sargassum singgildianum, Pterocladia capilacea and Hizikia fusiformis delayed coagulation of thrombus about two times (210, 211, and 198% over control at ca 367 ppm, respectively) and in TT assay, Lomentaria catenata, Laurencia okamurae, and Hizikia fusiformis did most effectively (216,197, and 251% at ca 367 ppm, respectively).

  • PDF

제주도 연안 서식 해조류에 대한 주요 활성성분 및 항산화효능 연구 (Studies on Bio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rine Algae from Jeju Island)

  • 김태희;고석천;오건우;박현호;이대성;임미진;이정민;유종수;김창수;최일환;정원교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0-3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 components and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30 marine alg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in Korea. The contents of bioacitve substance of extracts from marine algae, such total polyphenol and carbohydrate, were determined. The extract of Distromium decumbens ha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polyphenol content (21.27%), and that of Gracilaria incurvata Okamura ha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10.18%).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obtained from algae were tes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DPPH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xtracts of Distromium decumbens, Sargassum hemiphyllum (Turner) C.Agardh, Sargassum serratifolium (C. Agardh) C. Agardh and Acrosorium yendoi Yamada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8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at of Dictyota okamurae (Dawson) $H{\ddot{o}}tning$, Schnetter, et Prud'homme van Reine, Myagropsis myagroides (Martens ex Turner) Fensholt, Sargassum serratifolium (C. Agardh) C. Agardh and Cladophora wrightiana Harvey showed more than 50%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g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would be good raw materials for antioxidant.

Macroalgal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on Udo, Jeju Island, Korea

  • Kang, Jeong-Chan;Choi, Han-Gil;Kim, Myung-Sook
    • ALGAE
    • /
    • 제26권4호
    • /
    • pp.333-342
    • /
    • 2011
  • Macroalgae are important primary producers in marine ecosystem. They don'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as bioindicators but also provide economic resources for humans. Seasonal and vertical variations in seaweed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ecological status of seaweed beds around Udo, near Jeju Island. We obtained samples at two sites in the high-intertidal to subtidal zones using the quadrat method between June 2010 and May 2011. A total of 262 species were collected, including 31 green, 61 brown, and 170 red algae. The composition of algal species revealed a decrease in species growing in cold water in comparison with the list 20 years ago. The macroalgal mean biomass (g wet wt $m^{-2}$) was 3,476 g and 2,393 g from the two sites, respectively. Ecklonia cava had the greatest biomass at both sites. The seasonal dominant species by biomass at site 1 from the low-intertidal to 1-3 m depth of the subtidal zone was mostly comprised of thick-leathery form, such as Sargassum hemiphyllum, S. coreanum, and Ecklonia cava, whereas site 2 was comprised of the turf form, such as Chondrophycus intermedius, Chondracanthus intermedius, Dictyopteris prolifera, and Gelidium elegans. The current ecological status of the seaweed community in Udo is stable based on diversity and dominance indices.

제주 연안 갈조류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Cytoprotective Effects of Phaeophyta Extracts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in HT-22 Mouse Neuronal Cells)

  • 신동범;한은혜;박성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4-230
    • /
    • 2014
  • 항암, 항염증 및 비만억제 등의 생리활성을 지닌 해조류는 최근 건강기능 식품, 기능성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 산업 분야에서 미용과 건강식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종의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과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beta}$)의 신경독성에 대한 HT-22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천연물로부터 안전하고 새로운 신경세포 보호소재를 개발해내고자 한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미역쇠를 포함한 8종의 갈조류에서는 비교적 낮은 활성산소 소거능을 보인 반면, 감태와 패에서 강력한 활성산소 소거능이 나왔다. $A{\beta}$의 신경독성에 대해 10종의 갈조류 추출물이 갖는 HT-22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분석과 APP, BACE1, iNOS 단백질의 발현양상 및 ERK1/2, p38, JNK1/2 단백질의 활성화 양상을 분석했다. MTT 분석 결과, $A{\beta}$의 신경독성으로부터 미역쇠가 $25{\mu}g/mL$의 농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세포를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알쏭이모자반, 불레기말, 바위수염, 짝잎모자반도 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5종의 갈조류를 가지고 수행한 단백질 발현분석 결과, 미역쇠는 $A{\beta}$의 신경독성에 의해 HT-22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인 BACE1과 iNOS의 발현을 저해하였다. 이는 미역쇠의 세포보호효과가 $A{\beta}$의 신경독성으로부터 일어난 ERK와 p38의 활성화에 연관된 세포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특히 식용 갈조류인 미역쇠는 $A{\beta}$에 의해 유도된 신경독성에 대해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