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Based Instruction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구성주의 교육방법의 구현요소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as a Practical Element of Constructivism)

  • 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15-236
    • /
    • 2011
  • 구성주의교육은 현대지식기반 사회에서 학교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구성주의는 학습자의 사회적 학교생활을 통해서 지식의 구성이 개인적, 주관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학습자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지식의 개인적, 주관적 구성은 오늘날 학교교육의 목표를 학습자중심교육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교육의 원리와 특성을 규명하고, 구성주의교육의 구현요소로서 학교도서관활용수업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학교도서관활용수업은 최근 학교현장에서 관심을 받고 있으나 아직은 충분한 단계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활용수업의 범위와 단계를 조사하고 구성주의교육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성주의교육은 학습자의 실제적(authentic)경험과 체험을 중시하는 학습환경의 조성을 강조하며, 자료중심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토의학습, 문제 중심학습, 프로젝트학습 등의 학습방법이 효과적이다. 학교도서관은 학교의 정보자료센터로서 자료중심교육의 필수적 요소이며, 학교도서관활용수업은 가장 효과적인 자료중심교육의 방법이다.

사서교사와 국어교사의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 기민진;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3-14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용 교과서인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를 협동수업을 통해서 운영하고,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자료를 기반으로 사서교사와 국어교사가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평가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국어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동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충분한 기교재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활용력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자료 활용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탄력형 시간표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웹 기반의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Web-Based Reading Instruction System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26
    • /
    • 2003
  • 지금까지의 독서교육은 교수-학습 활동과 연계되지 못한 채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독서의 본질적인 측면보다는 독서자료의 제공이나 책을 다 읽고 난 후의 표현 활동에 치중하여 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과학습과 독서 활동을 연계하고, 독서자료의 접근은 물론 실제 책을 읽는 인지적 활동 그리고 책을 읽고 난 다음의 표현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웹 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을 설계, 제안하였다. 북어드벤처, 썬링크등 기존의 독서교육 시스템을 분석하여 웹 기반독서교육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설계, 제안하였다. 제안한 웹 기반의 독서교육시스템은 독서안내, 나의 독서수준, 책 고르기, 독서 전략, 독서표현, 독서토론 등 6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 PDF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esign Model for School Library-based Instruction under EduTech)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1-5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에듀테크 기반 교육은 학습 경계를 확장하고, 학습자 중심의 디퍼러닝을 위한 새로운 수업 환경과 학습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제이론에 기반을 둔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분석 단계, 사전 학습 및 개발 단계, 수업 운영 단계, 협동수업 평가 단계'로 구성된 4단계 교수 설계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플립러닝과 백워드 교수 설계 요소 및 탐구기반학습 요소를 반영하여 학생 맞춤형 자료 개발과 탐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의 범위를 사전 학습, 대면 학습, 추가 학습으로 확대하여, 협동수업의 다양성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에듀테크 환경에서 학교도서관활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사서교사의 전문성, 학교도서관 공간, 예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활용한 도서관협력수업 설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를 중심으로 (Designing a Library Collaborative Instruction Using the Archives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Focusing on the Korean History Subject in High School)

  • 송미애;이지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71
    • /
    • 2023
  • 우리나라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많은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록강국임에도 후대를 위한 기록의 적극적 활용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기록물을 학교 수업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교 교과 수업에 활용한 기록물은 세계기록유산으로 선정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이며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협력수업 설계를 수행하였다. 도서관협력수업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와 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이 협력하는 형태이며 총 3차시로 설계되었다.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설계한 결과, 도서관협력수업 계획서, 교수학습안, 학습지 등이 도출되었다. 설계된 도서관 협력수업의 실현은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기록물이 연계되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기록의 이용자층이 교사와 학생으로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Activation Strategy of the School Library Instruction)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7-116
    • /
    • 2007
  • 학교도서관 교육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위한 도구교과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학교도서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학교도서관 통합 교육과정은 학교도서관 교육의 사고전략과 교과교육 과정의 학습주제를 통합한 것이다. 학교도서관 통합교육과정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강화하고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계와 협동 전략으로써 범교과 학습주제를 기반으로 10학년을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 영향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Inten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 김승희;박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21-1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 연령이 30대인 경우, 근무학교의 규모가 작은 경우, 도서관 협력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에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변수 중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교사효능감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방형 문항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협력수업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도서관교육과 그 과제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 and the Task in Korean Primary School)

  • 유소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5-55
    • /
    • 2002
  • 초등학교 도서관 교육이 학교교육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창의성 함양에 초점을 둔 효율방법을 사용할 것이 요청된다. 그러한 교육방법은 The Big Six와 같은 학습모형의 이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모형을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하려면 도서실의 설치, 자료확보, 사서교사 채용, 학습모델을 이용한 정보기술교육의 교안개발 보급, 등 여러 가지 교육에 필요한 선결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 PDF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n the Library Us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우윤희;김종성;이용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89-313
    • /
    • 2013
  • 이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을 실행함으로써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수 학습지원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1년간 20회(40시간)에 걸쳐 실제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연구보고서법 수행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활용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mart Learning in the School Library)

  • 이승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7-5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을 정보활용교육 측면에서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모형은 ADDIE 모형과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게 도서관의 시설, 자료, 인적자원, 정보문제 해결과정, 협동수업 및 블렌디드 학습,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용 등이 고려되었다. 수업 모형은 "학습목표 설정${\rightarrow}$학습자 분석${\rightarrow}$학습환경 분석${\rightarrow}$학습과제 분석${\rightarrow}$교수 전략${\rightarrow}$매체 선정 및 개발${\rightarrow}$수업적용${\rightarrow}$평가"의 순서로 개발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스마트러닝의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수업 예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