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2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Ways to Impro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tise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이재봉;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63-271
    • /
    • 2017
  •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직교사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교과목 신설에 대비하여 중등 과학교사의 자격종별로 현직교사 재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과학교육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을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및 내용 구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교사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 현장의 중등학교 과학교사 자격증 유형별 특징과 통합과학 지도를 위해 추가되어야 할 교사 역량을 탐색하여, 교사 자격증 유형별로 2015 개정 통합과학의 이해 직무 연수(A형), 통합과학 직무연수(B형), 통합과학 부전공 자격연수(C형) 등 3가지 유형의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연수 프로그램 유형별로 교사 자격증별 대상자, 운영시간, 연수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에 기초하여 현직 교사뿐만 아니라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안과 통합과학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과학 지도를 위한 현직교사 재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상의 유의점 및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과학 영재교육 교사 연수에서 '교수내용지식'을 활용한 교수 전략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with Us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he Gifted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 최원호;손정우;이봉우;이인호;최정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9-23
    • /
    • 2009
  • This research defined professionality of science teacher from the perspective of PCK. An teaching strategy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he gifted educa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definition and implemented at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about the teaching strategy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ould improve the program.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teaching strategy propos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crafting activity materials', 'conducting inquiry-based experiment', 'developing rubric for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The survey carried out for the participant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the rubric for gifted identification, developing activity material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developing the rubric of gifted identification as properties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ur the gifted education. However, the insufficiency of time and opportunities for being fully engaged in such a program made teachers feel lack of self-confidence in developing activity material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rubric for gifted identification. Therefore, teacher training programs reflecting real features of the gifted education should be constantly developed and provi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 PDF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Training Program)

  • 남승권;최완식;윤자룡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4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가정과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교육활동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기술 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가정과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체계화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 가정과 교사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은 46개 과목과 121개 교육 내용으로 구조화 되었는데,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및 대학 등의 교사 재교육 기관에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활용할 가치가 있다. 셋째, 기술 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기술 가정과 교사로서의 전문성 계발 활동', '다양한 평가도구의 제작', '효과적인 발문 전략' 및 '학습의욕을 높이는 기술' 순으로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술 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교육 내용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며 추후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 탐색 -지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Exploring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xpertise through Infographics Cre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Focus on the Subject Earth Science)

  • 김현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9-4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인포그래픽 유형을 분석하고 교사들의 그래픽 제작 도구 활용 실태를 점검함으로써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화자료를 분석하여 인포그래픽의 유형에 따른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유형별로 제시하고 연수 프로그램 이수 전후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교사들의 인포그래픽에 대한 인식 및 역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지구과학 교과에서는 도표형, 지도형, 비교분석형 인포그래픽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텍스트 보조형 인포그래픽으로 제시하였다. 과학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프로그램을 5회 진행한 결과 완성형, 텍스트 보조형, 불완전형, 그레이디언트형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였으며, 평가 문항 출제를 위한 불완전형 인포그래픽의 제작 수요가 가장 높았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과학교사는 인포그래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인포그래픽을 제작해 본 경험이 없어 양질의 인포그래픽을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이수 후, 74.1%의 교사들이 수업자료와 평가 문항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느꼈으며, 새로운 유형의 인포그래픽을 개발하는 과정이 전공 지식 재교육과 교수-학습방법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포그래픽 제작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사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 이윤주;하시연;최선혜;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41-349
    • /
    • 2020
  • 본 연구는 2017년 8월 국립횡성숲체원에서 진행된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에 참가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직무연수 참여 전과 후에 교사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효능감과 관련해 교사의 자신감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실질적인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Focusing on International School for Geoscience Resources)

  • 이윤수;김형범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2-9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생태 만족도 결과를 분석하여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초등교원과 중등교원에게 어떠한 만족도와 교육 효과를 보이는지와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향후 교원연수과정 운영에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2017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총 4회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및 중등교원 98명을 대상으로 학습생태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생태 만족도 결과는 초등 중등교원연수 모두 4.58 이상의 다소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교원연수가 연수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습동기와 학습발달을 나타내는 내부 요인에서는 초등교원연수 4.70, 중등교원연수 4.64였으며, 지질과학 및 지구과학 전공과 이외의 전공으로 구분하여 연수 콘텐츠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내용과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중간요인은 초등교원연수가 4.67, 중등교원연수가 4.72를 나타내었다. 또한 교원연수가 과학기술문화라는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 교수 학습 모형의 개발과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지원과 강사의 질을 나타내는 외부요인에서는 초등교원연수가 4.83, 중등교원연수가 4.72로 초등교원연수가 중등교원연수보다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연수중 수업의 흥미유발과 학교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연수교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 연구기관을 활용한 교사 연수가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공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using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ion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 김영민;최진수;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38-4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perceptions and images of teachers about engineering, according to practical training in laboratories of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s. For this purpose, 149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visiting th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s and examined the perception of engineers and engineering. Through this teacher training program, perceptions and images of most teachers are changed positively and they can understand practically about engineering, and related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peration, and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using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with excell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Preference on Subjects for their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3-1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별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현직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분석 결과 사서교사들은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과 같이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관련된 연수과목을 핵심 업무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용 콘텐츠 개발과 수업용 자료 개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사서교사가 도서관 활성화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관리, 이용자 요구 및 교육과정 분석, 이용자 교육 평가 그리고 정보활용교육 평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해, 정보시스템 구축 그리고 정보시스템과 교육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사서교사 연수과목은 학교도서관 교육과 교육과정 연계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연수 방법은 이론 중심의 강의보다는 사례 연구와 개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등학교 과학교육의 내실화방안에 대한 연구 -중등 과학교사교육 및 재교육- (A study on the Program for substantial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 조희형;이문원;조영신;한인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2
    • /
    • 1989
  • Secondary schools in Korea have been faced with with several critical problems with regard to science education, with one of the most fundament problems being associated with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which is a part of project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in secondary schools, had its purposes to inquire into the following are as. ${\circ}$system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circ}$curricular contents and its operation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circ}$systems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its operations ${\circ}$analyses of problems associated with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fulfill these objectives this study used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circ}$curricular hour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re not sufficient for competent science teacher. opportunities for self-training in major are as are seldom given to the most of the science teachers ${\circ}$systematic organization for in-service traings is in urgert need. In addition to there-findings strategies for improving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 PDF

과학교사교육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entoring Program Model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 남정희;고미례;이순덕;고문숙;성화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613-1626
    • /
    • 2012
  • 이 연구는 현직 과학교사들의 교사교육에 대한 실태 및 멘토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요소들을 찾아내어 이를 바탕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직 교사교육에 대한 실태 및 멘토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개발하고 중등과학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멘토링에 대한 심층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14명의 과학교사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및 인터뷰를 통하여 과학교사들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사교육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교육의 구체적인 실행에 있어 일부 요소들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은 수업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현행 교사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험이 많은 현직 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필요로 하였다.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방법으로 '수업 프로그램 개발', '교수이론과 다양한 교수법', '자신의 수업의 평가 및 개선', '교과서 내용 지식'에 대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연수를 희망하였다. 멘토링과 관련된 인식 부분에서는 학교 현장에 바탕을 둔 멘토링 프로그램을 선호하였으며, 멘토링 프로그램에는 멘토-멘티 간의 상호작용, 멘토링 구성원들 간의 협력적인 문제 해결 경험, 멘토링으로 부터 생성된 자료의 공유, 그리고 멘토 혹은 멘티 들의 지식공동체 구성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호작용을 강조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주된 개념 요소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멘토의 반성적 사고(Reflection for Mentor)', '멘티의 반성적 사고(Reflection for Mentee)', '평가(Evaluation)'의 4개 요소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 주요 요소들은 '교수 피드백', '세미나와 워크숍', '자기평가', '협의회'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 멘토링 모델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