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oring Method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31초

데이터 마이닝에서의 폴리클라스 (Polyclass in Data Mining)

  • 구자용;박헌진;최대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13권2호
    • /
    • pp.489-503
    • /
    • 2000
  •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부터 의사 결정에 유용한 정보 및 지식을 발견하려는 일련의 데이터분석 및 모형 선정과정을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마이닝의 적용 예로는 신규고객에 대한 신용평가, 고객이탈방지 등과 같은 분야에서 발생하는 스코링 문제를 들 수 있는데 신용평가에서는 신용이 나쁠 가능성을 스코어로 나타내고 스코어가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특별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며 고객이탈방지에서는 이탈가능성을 스코어로 나타내고 스코어가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이탈 방지 캠페인을 벌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코링 문제를 사후확률에 대한 모형화 문제로 파악하였다. 폴리클라스를 스코링 문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한 후 이를 독일 신용 데이터, 국내 모 PC통신회사 데이터 및 국내 모 이동통신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스코링의 성능은 이득률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는데 나무 모형에 비하여 폴리클라스 방법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청소년에서 수면 무호흡 진단을 위한 수면 다원 검사의 판독 방법 (Scoring Methods of Polysomnography for Diagnosis of Sleep Apnea in Adolescents)

  • 이규성;신승수;이일재;최병주;최지호;박도양;김한태;김현준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1호
    • /
    • pp.593-599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Respiratory scoring guidelines for children and adults have been used for evaluating adolescents both in the 2007 and 2012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 scoring manuals. We compared the scoring methods of polysomnography used in these scoring manuals, where pediatric and adult scoring rules were adopted for the diagnosis of sleep apnea in adolescents. Subjects and Method 106 Korean subjects aged between 13 and 18 years were enrolled. All subjects underwent overnight polysomnography in a sleep laboratory. Data were scored according to both pediatric and adult guidelines in the 2007 and 2012 AASM scoring manuals. Results Both pediatric and adult apnea hypopnea index (AHI) using the 2012 metho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using the 2007 method. The difference in AHI compared between pediatric and adult scores with the 2012 AASM scoring system was markedly decreased from that with the 2007 method. There was a significant discordance in sleep apnea diagnosis between pediatric and adult scoring rules in the 2012 method. Conclusion Both pediatric and adult rules were used for the diagnosis of adolescent sleep apnea in the 2012 method.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scordance in the diagnosis between pediatric and adult scoring guidelines in the 2012 AASM manual, probably due to different cut-off values of AHI for the diagnosis of sleep apnea in pediatric (${\geq}1$) and adult (${\geq}5$)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a more reasonable cut-off value for the diagnosis of sleep apnea in adolescents.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 Alternative to the Standardized Scoring System in CSAT)

  • 황형태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3호
    • /
    • pp.521-532
    • /
    • 2005
  •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부터는 수험생들마다 응시 과목들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과목별 난이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표준점수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본격적으로 표준점수제를 도입하여 운영해 본 결과, 과목선택의 조합에 따라서 과목별 표준점수의 차이가 지나치게 크게 나타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표준점수제에 대한 전면적인 개선이 강력하게 요구되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행 표준점수제의 문제점들을 좀더 심도있게 분석해 보고, 그 개선방안으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개발한 가산점수제(Additive scoring system)에 의한 결정점수는 현행의 표준점수제가 갖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거나 크게 개선하며,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계산이 간편하다는 등의 장점들도 갖추고 있다.

A Method for Identifying Splice Sites and Translation Start Sites in Human Genomic Sequences

  • Kim, Ki-Bong;Park, Kie-Jung;Kong, Eun-Bae
    • BMB Reports
    • /
    • 제35권5호
    • /
    • pp.513-517
    • /
    • 2002
  • We describe a new method for identifying the sequences that signal the start of translation, and the boundaries between exons and introns (donor and acceptor sites) in human mRNA. According to the mandatory keyword, ORGANISM, and feature key, CDS, a large set of standard data for each signal site was extracted from the ASCII flat file, gbpri.seq, in the GenBank release 108.0. This was used to generate the scoring matrices, which summarize the sequence information for each signal site. The scoring matrices take into account the independent nucleotide frequencies between adjacent bases in each position within the signal site regions, and the relative weight on each nucleotide in proportion to their probabilities in the known signal sites. Using a scoring scheme that is based on the nucleotide scoring matrices, the method has grea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hen used to locate signals in uncharacterized human genomic DNA. These matrices are especially effective at distinguishing true and false sites.

Support Vector Machines을 이용한 개인신용평가 : 중국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Support Vector Machines to Personal Credit Scoring: Focusing on Financial Institutions in China)

  • 딩쉬엔저;이영찬
    • 산업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33-46
    • /
    • 2018
  • 개인신용평가는 은행이 대출을 승인할 때 수익성 있는 의사결정을 적절히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이다. 최근 많은 분류 알고리즘 및 모델이 개인신용평가에 사용되고 있다. 개인신용평가 기법은 대체로 통계적 방법과 비 통계적 방법으로 구분된다. 통계적 방법에는 선형회귀분석, 판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등이 포함된다. 비 통계적 방법에는 선형계획법, 신경망, 유전자 알고리즘 및 Support Vector Machines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신용평가모형 개발을 위해 어떠한 방법이 최선인지에 관해서는 일관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금융기관의 개인 신용 데이터를 사용하여 가장 대표적인 신용평가 기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신경망 그리고 Support Vector Machines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모형을 각각 구축하여 고객을 분류하고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Support Vector Machines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신경망보다 더 나은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건강장수마을사업 평가지수 산정방안 연구 (A Study of a Scoring Method for Evaluating the Project of Rural Well-longevity Villages)

  • 서교;한이철;이정재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36-44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es and a scoring method for effectively evaluating the project of rural well-longevity villages which makes up for insufficient parts of existing projects on improving settlement foundation and production environment. Evaluating indices include qualitative factors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so a scoring method based on an information measure technique is used for evaluating the results from each village. Evaluating indices are pro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purpose for evaluation. Result indices can be used for ranking project villages and fundamental indices can be used to analyze villages elaborately to improve project plans.

  • PDF

투표 기반 서술형 주관식 답안 자동 채점 모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Scoring Model Using a Voting Method for Descriptive Answers)

  • 허정만;박소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7-2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투표기법을 이용하여 서술형 주관식 문제에 대한 학습자 답안을 자동으로 채점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모델 구축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문제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서술형 주관식 답안 자동 채점 모델을 따로 구축하지 않는다. 제안하는 방법은 서술형 주관식 답안 자동 채점에 유용한 자질을 추출하기 위해서, 모범 답안과 학습자 답안을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질을 추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답안 채점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각 학습자 답안을 여러 기계학습 기반 분류기를 이용하여 채점하고, 각 채점 결과를 투표하여 만장일치로 선택한 채점 결과를 최종 채점 결과로 결정한다. 실험결과 기계학습 기반 분류기 C4.5만 사용한 채점 결과는 정확률이 83.00%인데 반해, 기계학습 기반 분류기 C4.5, ME, SVM에서 만장일치로 선택한 채점 결과는 정확률이 90.57%까지 개선되었다.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OMR 답안지 채점방법의 구현 (Implementation of OMR Answer Paper Scoring Method Using Image Processing Method)

  • 권혁한;황기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69-17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Gray Scale과 이미지 분할 방법을 이용하여 OMR 답안지에 대한 자동 채점처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취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Gray Scale과 이미지 분할 방법으로 객관식 선다형 답란의 OMR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또한 뒷면의 단답식 서답형 답란의 On-Line 채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제로 구현하였다. 그 결과 단답식 서답형을 채점하는 채점교사들은 자유롭게 주어진 기간내에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채점을 완료 할 수 있었고, 객관식 선다형의 채점은 추가로 OMR 판독기에 의한 처리를 하지 않아 시간적으로 많은 이점이 있었다. 향후 단답식 서답형의 경우에도 이미지처리를 활용하여 자동 채점을 하게 된다면 각 급 학교 및 국가에서 시행하는 대량의 답안지의 채점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중학생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채점 방식 및 척도의 수에 따른 신뢰도 분석 (An Analysis on Reliabilities of Scoring Methods and Rubric Ratings Number for Performance Assess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Investigation Activities)

  • 김형준;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5-290
    • /
    • 2010
  • 중학생의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의 신뢰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적 채점을 하는 경우에는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채점척도의 수준을 어느 정도로 분석적으로 해야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중학생들이 작성한 4개의 과학탐구과제에 대한 활동지를 두 명의 채점자가 총체적 채점 방식, 분석적 채점 방식, 분석적 채점 중 채점척도를 2, 3, 4~7수준으로 다르게 하여 채점하였다. 총체적 채점 방식은 과제 간 내적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분석적 채점 방식은 채점자간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채점척도 3수준의 경우는 4~7수준의 경우와 활동간 내적 일치도와 채점자간의 신뢰도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능력추정치별 학생의 분포, 문항곤란도 및 문항특성곡선의 경우 채점척도 3수준의 경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총체적 채점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는 과제 간 내적일치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분석적 채점 방식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채점자 간 일치도를 높이기 위한 채점자간 협의등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분석적 채점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는 채점척도 3수준으로 충분히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평가 유형과 채점 방식 및 신뢰도 분석 (Analysis of Assessment Types, Scoring Methods and Reliability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 이기영;안희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3-18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가 어떤 평가 유형과 채점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이용하여 과학 수행평가 점수가 얼마나 신뢰로운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수행평가의 유형은 크게 지필형과 과제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지필형으로는 중등학교 모두 응답제한형 서술형검사만을 실시하고 있었다. 과제형은 과정 평가와 결과물 평가로 나눌 수 있었다. 채점 방식은 1명의 교사가 모든 서술형문항과 수행과제를 채점하거나, 2명의 교사가 수행과제를 나누어 채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2명 이상의 교사가 서술형문항을 나누거나 교차하여 채점하는 경우는 없었다. 표집된 7개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신뢰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갇다: (1) 서술형 문항의 특성이 수행과제의 특성보다 학생들의 수행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2) 수행과제 채점에서 채점자가 피험자를 다르게 채점하는 정도는 학교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3) 7개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일반화가능도(신뢰도)는 대부분 적정 수준인 0.8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도를 얻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많은 수의 서술형 문항과 수행과제 그리고 채점자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